중장기 환경 전망 및 대응전략 (I)

Title
중장기 환경 전망 및 대응전략 (I)
Authors
강성원
Co-Author
장기복; 강희찬; 곽소윤; 김용건; 배정환; 이미숙; 왕항래
Issue Date
2012-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녹색성장연구보고서 : 2012-01
Page
163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882
Language
한국어
Abstract
본 연구는 2014~23년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른 미래 환경정책의 과제를 예측하고, 그 대응전략을 설계하는 2년차 과제다.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전망- 환경정책 과제 도출 - 시나리오 작성 -대응전략 도출의 4단계로 진행된다. 1년차에는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분석 및 환경정책 과제 도출 단계를 수행하고, 2년차에는 시나리오 작성 및 대응전략 설계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1단계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전망 단계에서는, 사회적 여건으로는 인구와 관련된 인구 증가, 고령화, 도시화 경향, 그리고 소득 양극화 경향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경제적 여건은 생산, 소비, Globalization 3개 영역으로 나누어 전망하였다. 생산영역에서는 경제성장 및 산업구조의 변화, 에너지 산업, 농업 관련 전망을 시도하였고, 소비영역에서는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패턴의 변화 경향을 점검하였으며, Globalization 영역에서는 운송량의 증가 경향에 주목하였다. 사회적 여건과 관련해서, 인구성장이 정체됨에 따라 인구요인으로 인한 환경부담은 약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러나 교통인프라 수요가 잔존하여 도시적 용지가 지속적으로 증대되고, 그에 따른 환경부담이 증가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고령화 및 소득 양극화가 심화됨에 따라 환경피해 민감 계층인 고령층 및 저소득층이 확대되고, 그에 따라 환경문제의 파급효과가 심화될 위험이 있었다. 경제적 여건 중 생산영역에서는 지속적 경제성장, 제조업 중심 산업구조, 화석연료 수요의 증가, 그리고 축산업의 성장에 따라 환경문제가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한국경제는 성장의 동력을 수출제조업에 의존하며, 따라서 경제성장이 지속되면서 환경부담은 점증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그리고 산업부문의 최종 에너지 수요가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겠지만, 가정·상업·공공 부문에서 최종 에너지 수요가 더욱 빠르게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다. 그런데 이러한 산업 및 비산업 부문 에너지 수요는 대부분 화석연료로 충당될 전망이어서,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배출을 억제하기 어려울 우려가 있었다. 농업부문에서는 소득의 증가에 따른 축산업의 성장으로 축산폐수 문제가 심화될 우려가 있었다.


This report is the first part of two year research. We try to identify environmental policy task from year 2014 to 2023, by analyzing socio-economic trend. Also we planed to design policy to face those tasks. The research consists of four steps: (1) Socio-economic trend analysis (2) Identification of environmental policy task. (3) Scenario set up (4) design environmental strategy to face new challenges. In first year, we work on the first two steps. On first step, we analyzed social and economic trends. On social trend analysis, we focused on population related issues - population growth, population aging, urbanization, and growing income gap. Also, we devide economic trend analysis into three parts: production, consumption, globalization. In production part, we covered economic growth, industry composition, energy, and agriculture. In consumption part, we covered consumption pattern change following income growth. In globalization part, we covered the growth of various transportation. Regarding social trend, environmental burden due to population growth would be lessened because the population growth itself would slow down. But, the urban area such as motor ways would expand gradually, and that would increase environmental burden. Also, environmentally less protected population would grow because of rapid aging and growning income gap. In production part among economic trends, we found that the environmental burden would grow because of gradual economic growth, manufacture-dominated industry structure, fossile-fuel demand increase, and the growth of meat production. Since export manufacturing is leading Korean economic growth, the gradual economic growth of Korean economy would make environmental burden heavier. Also, while the industrial energy demand would dominate, commercial-public-household energy demand would grow faster. And these energy demand would be met mainly by fossile-fuel, which would increase GHG and air pollutant emission. Regarding agriculture, income growth tends to increase meat production and emission of livestock wastewater, which would worsen water pollution.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목적
2. 문헌 정리
3. 연구 내용 및 방법

제2장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
1. 환경 관련 사회·경제적 여건
2. 사회적 여건 전망
3. 경제적 여건 전망-생산영역
4. 경제적 여건 전망-소비영역
5. 경제적 여건 전망-Globalization

제3장 부문별 정책 과제 전망
1. 사회·경제적 여건 변화로 인한 부문별 정책 과제
2. 물환경
3. 대기환경
4. 기후변화
5. 자연환경
6. 환경보건
7. 요약 및 시사점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1. 1년차 연구 결과 정리
2. 시사점
3. 2년차 계획

참고 문헌

부록 1 에너지기술 전망
부록 2 우리나라의 신재생에너지 중장기 믹스 전망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Green Growth(녹색성장연구)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