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ㆍ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변화 통합 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김철희,이우균 -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contributor.other 권영한 -
dc.contributor.other 이상엽 -
dc.contributor.other 이병국 -
dc.contributor.othe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배현주 -
dc.contributor.other 심창섭 -
dc.contributor.other 이윤 -
dc.contributor.other 김연주 -
dc.contributor.other 조현주 -
dc.contributor.other 김희정 -
dc.contributor.other 남기표 -
dc.contributor.other 박신영 -
dc.contributor.other 강정언 -
dc.contributor.other 유소민 -
dc.contributor.other 곽한빈 -
dc.contributor.other 김문일 -
dc.contributor.other 남기준 -
dc.contributor.other 정래선 -
dc.contributor.other 최솔이 -
dc.contributor.other 이명인 -
dc.contributor.other 김영석 -
dc.contributor.other 김동민 -
dc.contributor.other 반영운 -
dc.contributor.other 윤중석 -
dc.contributor.other 최나래 -
dc.contributor.other 백종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2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21Z -
dc.date.issued 20130630 -
dc.identifier A 환6100 2013-2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1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08/사회경제시나리오를고려한기후변화와통합취약성평가체계개발_채여라.pdf -
dc.description.abstract Ⅰ. 연구과제명 ○ 주관과제명 :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변화 통합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현재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은 서로 다른 사회 경제 상황에 대한 가정에 기반하고 있으며 적응대책 수립에 있어서도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가 반영되지 않아 현실성이 떨어지는 한계점이 존재함 - 정책의 일관성 확보를 위해 온실가스 시나리오와 연계한 GDP 및 산업구조의 변화, 인구 증가 등의 사회 경제 시나리오 핵심 변수들에 대한 미래 전망이 필요함 - 부문별 취약성 평가의 상호 비교를 위해서는 동일한 가정의 미래 상황 하에 부문별 취약성 평가가 필요하며 동일한 가정의 미래 설정을 위해 국가 온실가스 배출 전망에 사용되는 주요 사회 경제 전망과 통일성을 이루는 사회 경제 시나리오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 ○ 기후변화 영향은 부문 간에 상호관계를 가지고 있으나 현재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는 부문별로 독립적으로 수행되고 있어 취약성 평가의 불확실성이 발생함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와 관련된 국내 기술적 기반 및 통합영향평가 체계 등 기본 사항에 대한 구축이 미비한 현재로서는 기존 개발된 모델의 확장을 통한 다 부문의 상호영향 평가 및 정책과의 연계가 어렵기 때문에 정책-영향 연동 및 부문별 상호작용을 물리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통합 평가 기술의 개발이 시급함 ○ 본 연구는 미래 사회경제적 변화를 고려한 시나리오에 기반하고 부문 간 상호 연계성을 고려하여 통합적 취약성 평가 체계를 구축함 - 통합평가모델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수준의 시공간정보 생성을 위해서 수집된 시공간 자료의 시공간 상세화 기법 개발을 통한 자료를 제공함 - 부문별 지역별 취약성 평가 결과의 상호 비교를 통해 객관적으로 취약부문과 지역을 선정하고 적응과 완화 정책의 비교를 용이하게 함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Ⅰ.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와 연계한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1. 취약성 평가를 위한 주요 사회경제 지표 선정 2. 사회?경제 지표 간 상관성을 고려한 중장기 전망 방법론 개발 - 시간해상도: 중기(~2050년까지) 10년 단위, 장기(~2100년) 25년 단위 - 공간해상도: 다중 규모별(국가, 광역, 도시 규모 등) Ⅱ. 부문별(재해, 농업, 건강, 산림?생태계, 해양 등) 기 개발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현황 분석 1. 부문 간 기후변화 취약성 상호 연관성 분석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현황 분석 - 부문 간 기후변화 취약성 상호 연관 분석 2. 수평적 통합 취약성 평가 체계 구축 - 부문 간 상호 연관성을 반영한 수평적 취약성 평가체계 구축 Ⅲ. 수직?수평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개발 1. 시범 적용 결과를 활용한 수직?수평 통합적 취약성 평가체계 구축 2. 기 개발 기술 활용 방법론 포함 Ⅳ. 연구개발 결과 Ⅰ.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와 연계한 사회?경제 시나리오 1. 취약성 평가를 위한 주요 사회경제 지표 2. 사회?경제 지표 간 상관성을 고려한 중장기 전망 - 시간해상도: 중기(~2050년까지) 10년 단위, 장기(~2100년) 25년 단위 - 공간해상도: 다중 규모별(국가, 광역, 도시 규모 등) Ⅱ. 부문별(재난재해, 농업, 건강, 산림?생태계, 해양, 수자원) 기 개발한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현황 1. 부문 간 기후변화 취약성 상호 연관성 -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현황 - 부문 간 기후변화 취약성 상호 연관성 2. 수평적 통합 취약성 평가 체계 - 부문 간 상호 연관성을 반영한 수평적 취약성 평가 체계 Ⅲ. 수직?수평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1. 시범 적용 결과를 활용한 수직?수평 통합적 취약성 평가 체계 2. 기 개발 기술 활용 방법론이 포함된 수직?수평적 통합을 위한 방법론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와 연계한 사회 경제 시나리오 - 현재 독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부문별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에 일괄적으로 적용함으로써 기후변화 대책수립의 현실성, 일관성을 확보한 표준 시나리오로 활용 가능 - 온실가스 감축 시나리오와 연계함으로서 통일성 있는 기후변화 대책 수립의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 - 중앙정부 및 지자체 차원의 효율적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 ○ 수직?수평 통합 취약성 평가 체계 - 부문별 취약성 평가에 체계적으로 적용 가능함 - 향후 지속적 연구를 통해 EU의 CLIMSAVE와 같은 한국형 통합평가 모델 개발의 기본 체계로 활용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변화 통합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br><br>제1장 서론 <br>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br>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br>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br><br>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br> 제1절 수직통합 취약성 평가를 위한 사회?경제 시나리오 개발 <br> 제2절 수평통합 취약성 평가를 위한 부문 간의 연계 방안 분석 <br><br>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br> 제1절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br>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br><br>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br> 제1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br> 제2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br> 제3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br><br>제5장 참고문헌 <br><br>부록 - 부문별 전문가 제출자료 작성양식 <br><br>Ⅱ.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의 신뢰도 추정 연구 <br><br>제1장 서 론 <br>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br>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br>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br><br>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br> 제1절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 산정 방법에 따른 불확실성 분석 <br> 제2절 미래 사회?경제 시나리오를 반영한 기후변화 취약성 지수의 불확실성 평가 <br><br>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br>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br>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환경적 성과 포함) <br><br>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br> 제1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 과학기술정보 <br> 제2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br> 제3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br><br>제5장 참고문헌 <br><br>Ⅲ. 대표 지역에 대한 통합취약성 평가 시범 적용 <br><br>제1장 서 론 <br> 제1절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br> 제2절 연구개발의 국내외 현황 <br> 제3절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br><br>제2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br> 제1절 연구개발 수행내용 <br> 제2절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br> 제3절 연구개발 결과 요약 <br><br>제3장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br> 제1절 연도별 연구개발목표의 달성도 <br> 제2절 관련분야의 기술발전 기여도 <br><br>제4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등 <br> 제1절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 정보 <br> 제2절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br> 제3절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현황 <br> 제4절 연도별 연구성과에 대표적 논문 특허 <br><br>제5장 참고문헌 -
dc.format.extent 61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환경부 -
dc.title 사회ㆍ경제 시나리오를 고려한 기후변화 통합 취약성 평가체계 개발 -
dc.type 수탁보고서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of integrated climate change vulnerablilty assessment framework considering socio-economic scenarios -
dc.title.partname 기후변화 적응 통합관리 기술개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