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감리제도 도입에 대한 타당성분석

Title
환경감리제도 도입에 대한 타당성분석
Authors
전동준
Co-Author
김지영
Issue Date
2013-09-24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정책보고서 : 2013-03
Page
64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47
Keywords
환경감리, 환경영향평가, 사후환경영향평가, 건설감리, 환경평가제도, Environmental Supervisio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Post-environmental Monitoring, Construction Supervision, Environmental Evaluation System
Abstract
1970년대 후반 도입된 환경영향평가제도는 환경훼손 및 오염에 대한 사전예방은 물론 환경보전과 지속가능한 발전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시키는데 크게 기여해 오고 있다. 그러나 개발사업이 시작되면 감독공무원의 인력 부족으로 인해 협의의견의 반영여부, 저감대책 실효성, 환경안전관리 등을 확인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이다. 사후환경영형평가 단계에서 해당 과정이 엔지니어링업체에 위탁되면서 형식적으로 수행되고 있다. 특히 사후모니터링을 위탁받은 업체는 공사 중 중대한 문제가 발생하더라도 발주처에 공사변경, 설계변경, 공사중지 등의 의견을 피력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90년대 중반 도입된 건설감리제도는 부실공사 방지, 품질향상 및 안전성 확보 등 우리나라 공공부문 건설공사에 많은 기여를 하고 있다. 특히 민간의 우수한 기술인력을 활용하여 감독공무원의 인력부족을 해소하고 감독기능을 강화함으로써 부실공사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책임감리의 금액과 건수, 감리원의 수 등에서도 제도 도입 초기와 비교하여 비약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와 같이 건설분야에서 감리제도가 도입 이후 대부분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환경감리도입의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감리제도도입을 포함하여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제도개선방안들에 대해 주관적 평가를 통한 비교·검토를 수행하였다. 환경감리제도의 경우 사후관리의 실효성 측면에서는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새로운 제도의 도입에 따른 비용증가 및 관련 부처와 산업분야에서의 반발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었다. 그러나 환경감리를 통한 사후관리를 민간에 이양함으로써 민간 자율의 사후관리가 정착될 경우 환경서비스산업 분야의 새로운 일자리 창출이 다른 대안들에 비해 상대적 우위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 제도 도입 시 긍정적인 측면으로 작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ystem introduced in the late 1970s has greatly been contributing not only to prevent environmental damage and pollution, but recognize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However, after development projects start, it has not been easy to confirm whether negotiated opinion to be reflected, effectiveness of reduction measures and management of environmental safety due to lack of supervisory government officials. It has formally been done since it has been contracted out to engineering companies at post-environmental effect evaluation stage. Companies that have been contracted to perform post-monitoring tend to have difficulty in suggesting an opinion to orderer about construction change, design change and halt of construction even in the case of gross problem while on constructio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introduced in the mid-1990s has significantly been contributing to public construction work in Korea in preventing poor construction, increasing quality and securing safety. Particularly, it has been yielding fruits in advanced prevention of poor construction by solving manpower shortage of supervisory government officials utilizing excellent technical personnel and strengthening supervisory role. The amount and number of supervision and the supervisors have dramatically been increased compare to the initial introduction. Thus, it has been confirmed that supervision system has positive effect in construction in most of the time and could be a sufficient ground for introducing environmental supervision system. Improvement measures currently underway including environmental supervision system has been compared and reviewed through subjective evaluation. Environmental supervision system is expected to increase cost arising from the introduction of a new system and raise backlash among pertinent ministries and industry, though it has been confirmed to have excellent effectiveness in post management. However, if autonomous post management is to be settled by transferring post management through environmental supervision to private, it would be a positive aspect when introducing the system since creating new jobs in environmental service industry are considered to be in a relatively dominant position to other alternative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주요 연구내용, 방법 및 기대효과
3. 선행연구현황

제2장 현행 건설감리제도의 현황
1. 건설감리제도의 도입배경, 현황 및 분석
가. 건설감리제도 도입배경
나. 건설감리제도의 현황
다. 건설감리제도의 성과분석
2. 기타 감리제도 현황 및 분석

제3장 환경감리제도의 목적과 배경
1. 환경감리제도 도입 제안 배경
2. 환경감리의 정의와 제도도입 목적
가. 환경감리의 정의
나. 환경감리제도의 목적

제4장 환경영향평가제도와 환경감리제도와의 관계분석
1. 환경감리의 업무범위 및 내용
가. 환경감리 업무의 범위
나. 환경감리원의 자격과 임무
다. 사후환경영향평가와의 관계

제5장 환경감리제도 도입에 따른 타당성 분석
1. 사후환경영향평가 관리 개선(안) 검토
2. 환경감리제도 도입에 따른 타당성 분석

제6장·결 론

참 고 문 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