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평가 완료된 개발사업 검증 및 평가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상기 -
dc.contributor.other 강광규;이영수;이진희;김태윤;김태형;류정수;이문형;신복수;한장운;백현민;이용성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2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27Z -
dc.date.issued 20131231 -
dc.identifier A 환1185 사업2013-05-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7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4/002/사업보고서_2013-05-01_최상기.pdf -
dc.description.abstract Gyeongin Ara Waterway Project was first initiated following the massive flood damages at Gulpocheon basin in 1987. However, the objective and planning plan of this project went through a number of changes including the addition of canal function, priority construction of spillway, expansion work on spillway and cancellation of Gyeongin Canal construction. As the plan experienced a number of changes while the functions of the spillway and canal were mixed up, it became extremely difficult to maintain the stream flow method and the preservation of the water quality and aquatic ecosystem. Eventually, a massive fish kill incident broke out in April 2012 at the downstream region of Gulhyeonbo where Gulpocheon leads to Ara Waterway, and the incident prompted the private and public joint investigation upon this matter. Consequently,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ess the follow-up investigation by examining the water quality and fish as well as performing the water quality modeling at the navigation channel of Gyeongin Ara Waterway and adjacent ocean. Subsequently, comparison and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upon the latest on-site investigation,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and follow-up environmental effect investigation. And based on the findings, it was attempted to develop an improvement plan for the follow-up environmental monitoring upon Ara Waterway. For the on-site investigation, the inspection of the water quality and fish at the navigation channel was performed twice, and an additional inspection was conducted while it rained. And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latest on-site investigation and the data from the national measurement network, the water quality modeling was ensued upon major categories of the water quality. The comparison and analysis work was performed upon the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follow-up environmental effects investigation and the latest on-site investigation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above. The water quality at the navigation channel during the construction exhibited a significant change from the previous quality during the evaluation, and it also displayed a notable discrepancy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water was filled up. The ocean water quality outside of Incheon Terminal did not show a significant seasonal discrepancy. When the massive fish kill incident broke out, the concentration of dissolved oxygen displayed a particularly poor condition during the 2nd and 3rd quarters of the year 2012 comparing to other periods. It suggests that the fish kill was caused not only by the salinity but also by the oxygen depletion propelled by the organic sediments flowed from Gulpocheon. And the water qualtiy at Gulpocheon deteriorated especially for the first 4 hours of raining; this support the aftermath stated above. For the salinity, its distribution turned out to be even higher during the latest on-site investigation than the follow-up environmental effects investigation. It was learned that the salinity may greatly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on of the floodgate. Based on the latest investigation on fish, it was confirmed that the mouth of the river is developing into a typical environment of brackish water zone as it was reported that both brackish water fish and fresh water fish are equally distributed. According to the results from the water quality modeling at Gyeongin Ara Waterway, Incheon Terminal displayed a fair condition in its water quality due to the inflow of sea water. But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water quality gradually deteriorated as it moves from Incheon Terminal to Gimpo Terminal. The concentration depending on the depth of water varie dlocation and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It was noticeable that the concentration of Chl-a was widely varied between the surface and bottom layers especially near Incheon Terminal. It appeared to be caused by the difference in salinity concentr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needs to shorten the retention time by expanding the quantity of the stream flow. And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modeling, it needs to implement a monthly regular inspection, the examination of the water level and its flow rate, installation and operation of automatic 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and the algae characteristic survey at the major locations within the navigation channel and stream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environmental analysis on Gyeongin Ara Waterway, the important viewpoint was performed on the effects of hypoxic, the assessment of eutrophication, the fish kills and the unrealistic target water quality. And to improve the above, the study was performed on the elimination of sediments through dredge, installation of artificial floating island to remove nutrient salts. To prevent the Algae Increasing was suggested the ultrasound device, the algae removing ship, the spraying of the flocculant and red clay. According to the outcome of the comparison and assessment of the follow-up environmental study at Gyeongin Ara Waterway, an improvement measure on the management of the follow-up environmental monitoring was examined. It suggested a variety of measures including a deposit system to prepare a report on the follow-up environmental effects investigation, the prevention of inadequate preparation and the enhancement of subsequent penalties. Because it still pertains restrictions to strengthen the regulation and management, however, it needs to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business operators to pay more attention. To accomplish the above, the joint efforts should be made by the business operator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other professional organization in addition to the survey firm when the follow-up on-site investigation is conducted. -
dc.description.abstract 경인 아라뱃길 사업계획의 발단은 굴포천 유역에서의 대규모 홍수피해(1987년)였다. 하지만 이후 운하기능 추가, 방수로 우선 건설, 경인운하 건설 취소, 방수로 확장공사, 경인 아라뱃길 사업명 변경 등 사업의 목적과 계획이 여러 번 변경되었다. 이와 같이 방수로와 운하의 기능이 혼재되고 계획이 여러 번 변경됨으로써 유수소통방법, 수질 및 수생태계 보전에 대한 관리가 매우 어렵게 되었다. 결국 굴포천에서 아라뱃길로 연결되는 귤현보의 하류지점에서 물고기 폐사사건(2012년 4월)이 발생하였고, 민관 공동조사가 실시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사후조사의 평가를 위하여 환경영향평가가 완료된 경인 아라뱃길 사업의 주운수로 및 해양 등을 대상으로 수질 및 어류조사와 수질모델링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금번 현장조사와 환경영향평가 및 사후환경영향조사 등과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아라뱃길 사후환경 모니터링의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현장조사는 주운수로를 대상으로 수질 및 어류조사 2회, 강우 시 1회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금번 현장조사결과와 국가측정망자료를 토대로 주요 수질항목에 대하여 수질모델링을 수행하였다. 위와 같은 조사결과를 토대로 환경영향평가와 사후환경영향조사 그리고 금번 현장조사를 비교·분석하였다. 공사 중 주운수로의 수질은 평가 시와 비교하여 매우 변화가 크고 충수 전과 후의 수질이 커다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천터미널 외각 해양 수질은 시기별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폐사 사고가 발생한 당시 2012년 2~3분기 용존산소의 농도가 다른 시기에 비하여 유난히 나쁘게 나타났다. 이는 어류폐사의 원인이 염분뿐만 아니라 굴포천에서 유입되는 유기성 퇴적물에 의한 산소결핍도 커다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특히 강우 시 4시간까지는 굴포천 수질이 크게 나빠지는 조사결과는 위와 같은 현상을 증명해준다고 볼 수 있다. 염분의 경우 사후환경영향조사보다 금번 현장조사의 경우 더 높은 염분도 분포가 나타났다. 갑문 운영에 따라 염분도가 많이 차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금번 어류조사 결과, 기수어종과 담수어종이 균일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강 하구가 전형적인 기수역 수환경으로 변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경인 아라뱃길 수질모델링 결과 인천터미널은 해수유입으로 양호한 수질을 보였다. 인천터미널에서 김포터미널 방향으로 점차 수질이 악화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심에 따라 농도차가 위치 및 수질항목에 따라 많은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인천터미널 부근에서 특히 Chl-a의 표층과 저층의 농도차가 크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염분의 농도차에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향후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유수 소통량을 확대해서 체류시간을 짧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수질모델링 개선을 위해서는 지천과 주운수로 내 주요 지점에 대한 월 단위 정기적인 조사, 수위 및 유량조사, 수질 자동모니터링 장치설치 및 운영, 조류 특성조사 등이 수행되어야 한다. 경인 아라뱃길 환경질 분석결과에 대한 시사점으로 저층 빈산소 영향, 환경질 현황분석조사를 통한 부영양화 평가, 어류 폐사, 비현실적인 목표수질 등을 검토하였다. 또한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준설을 통한 퇴적물 제거, 영양염류 제거를 위한 인공 식물섬 설치, 조류증식의 방지대책으로 초음파 장치, 조류제거선, 황토 및 응집제 살포 등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경인 아라뱃길 사후환경조사를 비교·평가한 결과를 토대로 사후환경 모니터링의 관리방법 개선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사후환경영향조사 보고서 작성을 위한 공탁제 운영, 부실작성 방지, 벌칙규정 강화 등 여러 가지 방안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규제와 관리를 강화하는 데 한계가 있으며, 사업자가 스스로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하여 사후환경 현장조사 시 조사업체뿐만 아니라 사업자, 환경부, 전문기관 등이 공동으로 참여해야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경인 아라뱃길 수질 및 어류의 조사?분석 <br>1. 경인 아라뱃길 사업의 개요 <br>2. 조사 목적 <br>3. 조사 범위 및 내용 <br>4. 환경질 및 어류 조사 결과 <br> 가. 기상 <br> 나. 지표수질 <br> 다. 해양수질 <br> 라. 어류 <br><br>제2장·사후환경영향 조사결과의 비교?분석 <br>1. 경인 아라뱃길 환경영향평가서와 사후환경영향조사서의 비교?분석 <br> 가. 지표수질 <br> 나. 해양수질(정점) <br> 다. 수생태(어류) <br> 라. 수생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br> 마. 수생태(동·식물 플랑크톤) <br>2. 환경영향평가, 사후환경영향조사, 금번 현장조사의 비교?분석 <br> 가. 경인 아라뱃길 수질 비교?분석 <br> 나. 어류 조사결과와 비교?분석 <br><br>제3장·경인 아라뱃길 수질모델링 <br>1. 모델의 적정성 <br>2. 모델 구성 <br>3. 경인 아라뱃길 운영방안 결정을 위한 모델링 수행방안 <br> 가. 체류시간 및 교환율 산정 <br> 나. 염분도에 따른 최대 유동 가능 유량 선정 <br> 다. 원수 수질 개선에 따른 아라뱃길 수질 변화 <br>4. 경인 아라뱃길 수질모형의 비교 <br> 가. 수질모형 비교 목적 <br> 나. 환경영향평가 시 수질 모형 <br> 다. 경인 아라뱃길 운영 시 수질 모형 <br> 라. 평가 시 및 운영 시 수질모형 비교 <br> 마. 비교 수질모형 구축 <br> 바. 수질모형을 위한 개선방안 <br><br>제4장·경인 아라뱃길 시사점 및 개선방안 <br>1. 평가결과에 대한 시사점 <br>2. 경인 아라뱃길 환경질 개선방안 <br>3. 해외운하 관리현황 <br><br>제5장·결론 및 정책적 제언 <br><br>참고 문헌 <br><br>부록 1. 사후환경영향조사와 금번 현장조사결과 <br>부록 2. 서해와 한강의 수질변화 분석 <br>부록 3. 해외운하 사례조사 -
dc.format.extent 251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경인 아라뱃길 -
dc.subject 사후환경영향조사 -
dc.subject 수질모델링 -
dc.subject 부영양화 -
dc.subject 유수소통 -
dc.subject Gyeongin Ara Waterway -
dc.subject Follow-up Environmental Effects Investigation -
dc.subject Water Quality Modeling -
dc.subject Eutrophication -
dc.subject Algae -
dc.subject Brackish Water Zone -
dc.subject Stream Flow -
dc.title 환경평가 완료된 개발사업 검증 및 평가방안 -
dc.type 사업보고서 -
dc.title.original Measures to Evaluate and Assess EIA Completed Development Projects (Waterway Construction) -
dc.title.partname 사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13-05-01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rights.openmeta Y -
dc.rights.openimage Y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 Ki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