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관련 취약계층 지원대책 현황조사 및 분석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신지영 -
dc.contributor.other 임영신 -
dc.contributor.other 홍남희 -
dc.contributor.other 김나영 -
dc.contributor.other 배채영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2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28Z -
dc.date.issued 2013113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3-1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08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2/002/기초2013_16_신지영_최종.pdf -
dc.description.abstract 최근 잦아지는 폭염, 혹한, 가뭄 및 홍수 등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는 노약자·장애인·만성질환자 등 기후변화 취약계층 피해는 더 커질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가 특정지역 또는 사회·경제적 계층에 따라 불평등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기후변화 적응에 있어 민감도와 적응능력이 낮은 기후변화 취약계층에 대한 정책적 차원에서 고려는 매우 중요하나 국가 및 지역단위의 정책지원 수준과 관련 기반체계는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가 및 중앙부처 단위에서 수립·시행중인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현황을 조사 및 분석하고 이를 통해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리나라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조사·분석 결과 우리나라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관련 지원대책은 총 44개로 건강분야와 재난/재해분야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처로는 보건복지부가 가장 많은 대책을 소관하고 있다. 또한 집중호우, 홍수, 태풍 등의 풍수해와 관련된 대책과 취약지역 관련 대책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정책수립 단계로는 실제 적용되는 이행단계의 정책이 70% 이상이며, 시설설치, 조성 및 정비 등에 해당하는 구조적 대책이 가장 많았다. 취약계층 지원형태로는 취약계층을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대책과 사전 예방적 성격의 대책이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우리나라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관련 지원대책의 추가 및 보완, 강화가 필요한 부분을 기후현상별로 분석한 결과 가뭄대책에 대해서는 취약시설, 연구 및 자료생산 단계와 정책수립 단계, 비구조적 대책과 사회적 대책 유형, 기반마련 및 사후복구와 관련된 대책, 간접지원 성격의 대책이 미흡하여 이와 관련된 대책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폭염관련 대책은 취약지역과 시설, 정책수립 단계에 해당하는 대책과 사후복구 시점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책이 필요하다. 한파와 관련해서는 가뭄대책과 유사하게 취약지역과 시설, 연구 및 자료생산과 정책수립 단계에 해당하는 대책, 사회적 대책 유형과 기반마련 및 사후복구 단계에서 적용할 수 있는 대책, 간접적인 지원 성격의 대책이 추가·보완될 필요가 있다. 대기오염, 해수면상승 등 기타 현상과 관련된 대책으로는 취약시설과 관련된 대책이 마련이 필요하다. 중앙부처 시행 취약계층 관련 적응대책 검토 결과 우리나라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관련 지원대책에 추가가 가능한 적응대책은 8개 대책으로 이들 대책은 국가단위 취약계층 지원 대책의 특성을 보완 및 강화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신규로써 미흡한 부분에 추가할 수 있는 대책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파악된 국가단위 수립·시행중인 기후변화 취약계층 관련 지원대책 현황 및 특성은 국가단위에서 기후변화 취약계층 보호를 위한 방향 설정, 단기 및 중장기 전략 마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지자체 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관련 대책 마련에 참고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다. -
dc.description.abstract It is being reported that the climate change-caused damages ? such as heat wave, severe cold weather, drought, flooding and the like ? on the vulnerable groups that directly suffer, such as the elderly, disabled, chronically ill patients, etc., have become more frequent of recent; and such damages caused by climate change are occurring in unequal proportions depending on a particular region or a socio- economic class. To this end, considerations at the level of policies geared for the climate change vulnerable population that are low in sensitivity and adaptive capacity are very important; however, the situation is that the level of support for national- and regional-level policies and the related base systems are insufficient. This study was purposed in investigating and analyzing the situation of the support measure policies, which are being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t the national and central government agency levels and in ? by using the results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ional-level support adaptation measures for the populati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s a result of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Korea’s national level supporting adaptation measures for populati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it was seen that the national level supporting measures of Korea as related to populati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are comprised of a total of 44 measures, of which, the health area and the disaster/devastation fields account for the largest percentages, and it was seen that, in regards to government agencies, the Korea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had the most number of measures. In addition, the measures related to damage by wind and flood, such as heavy rains, floods, typhoons, etc., and the measures related vulnerable regions account for more than half of the relevant measures. As for the policy establishment stage, the policies of implementation stage that are actually applied were found to be over 70%, and the structural measures that correspond to facility installatio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etc. were the most common. Regarding the form of support for vulnerable population, the measures that directly support vulnerable population and the measures with proactive preventive measures was analyzed to be the most. In addition, the results of analyzing ? by climate phenomenon ? the areas that need additional, complementary and strengthened supporting measures at a national level in Korea, as related to populati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revealed that measures would need to be established due to the fact that they are insufficient in terms of the vulnerable facilities concerning drought and the stages of research and material p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policies, the non-structural measures and social measure types, the measures related to base preparation and post recovery, and measures with indirect support characteristics. As for the heat wave-related measures, the measures that correspond to vulnerable areas and facilities and the stages of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the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at the time of post recovery are needed. With regard to the cold weather, similar to drought measures, it is necessary to add and complement the measures that correspond to vulnerable regions, facilities and the stages of research, material production and establishment of policies, and the measur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social measure types, base preparation and post recovery, and the measures with indirect support characteristics. As for the measures related to atmospheric pollution, sea level rise and other phenomena,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measures that are related to vulnerable facilities.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lementation of adaptation measures of the central government agencies as related to the vulnerable population, the national level adaptation measures of Korea that may be added to the supporting measures related to vulnerable population were seen to be 8 measures; and these measures were analyzed as being able to complemented and strengthened in terms of the national level supporting measures for the vulnerable population, and it was seen that there are no new measures that can be added to the insufficient area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 as examined in this study ? of the national level supporting measures being established and carried out that are related to population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can provide the basic materials for establishing short-term and intermediate to long term strategies and to set directions for protecting the climate change vulnerable population at the national level and they can be utilized as reference materials for establishing local government entity level measures for the climate change vulnerable popul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 목적 <br>3. 연구 내용 및 방법 <br><br>제2장 기후변화 취약계층 개념 <br>1. 기후변화와 취약성 <br>2. 기후변화 취약계층 및 취약지역 <br><br>제3장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대책 조사·분석 틀 <br>1. 기후변화 취약계층·지역 개념 정립 <br>2. 조사범위 설정 <br>3. 분석내용 및 방법 <br> 가. 기후변화 취약계층 대책 현황 조사 및 목록작성 <br> 나.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적응대책 분석 <br> 다.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적응대책 추가사항 검토 <br><br>제4장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대책 조사·분석 결과 <br>1. 국가단위 기후변화 취약계층 적응대책 현황 <br> 가.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및 세부시행계획 <br> 나. 국가 기후변화 적응대책 수정·보완 <br> 다. 종합 <br>2.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분석 <br> 가.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분포 <br> 나. 기후변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특성 <br> 다. 기후현상별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분석 <br>3. 추가 필요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검토 <br> 가. 국가단위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추가 필요사항 <br> 나. 국가대책에 추가 가능한 취약계층 지원 적응대책 검토 <br> 다. 종합 <br><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br>참고문헌 <br><br>Abstract <br><br>부록 -
dc.format.extent 121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기후변화 -
dc.subject 적응대책 -
dc.subject 취약계층 -
dc.subject 취약지역 -
dc.subject Climate Change -
dc.subject Adaptation Policies -
dc.subject Vulnerable Population -
dc.subject Vulnerable area -
dc.title 기후변화 적응관련 취약계층 지원대책 현황조사 및 분석 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support measures for vulnerable population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3-16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hi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 You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