층간소음의 건강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영민 -
dc.contributor.other 김경민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3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38Z -
dc.date.issued 20140920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4-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17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2/003/기초2014_02박영민.pdf -
dc.description.abstract With ever-increasing nation’s housing demands, multi-family residen -tial occupies 89.9%(as of 2013) of all housing types. Inevitably, noise disputes among the neighbors occupying adjacent apartment unit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apartment noise problem is considered reached a very serious level even world-widely(about 88% of the population is under the stress of the apartment noise). The government has recently modified associated building codes(requiring thicker slabs and to meet stronger impact sound reduction performance standards) and offers apartment noise mediation services for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However, current policy means are limited for more comprehensive management of apartment noises. In order to fundamentally understand the issue and effectively improve the quality of living environment, apartment noise policy should be based on a health effect analysi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 case study of the environmental noise exposure-human body reactions, to analyze the effect of apartment noise on the human health based on a typical exposure scenario of multi-family housing residents. -
dc.description.abstract 2013년 전체 신규주택 수요 중에서 아파트 등 공동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89.9%이다. 이와 같이 공동주택에 다수 세대가 함께 거주함으로써 이웃간 층간소음에 관한 분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한국에서의 층간소음 문제는 세계적으로 상당히 심각한 수준으로, 국민의 약 88%가 층간소음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한편, 정부는 층간소음 분쟁완화를 위해 바닥두께 및 바닥충격음 저감성능 등과 같은 규제강화와 공동주택 단지별로 자체적인 해결을 유도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물리적 규제와 소극적인 관리정책으로는 층간소음 분쟁완화에 한계가 있다. 또한 실내 정온한 생활환경을 위한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층간소음에 대한 건강영향이 고려된 정책마련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환경소음 노출에 따른 인체반응에 대한 국내·외 연구사례를 조사하여 소음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층간소음의 노출기간에 따라 장·단기적 건강영향을 고찰하였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br>2. 건강의 정의 <br><br>제2장 소음 노출-인체반응 관계 <br>1. 성가심 반응(Annoyance) <br>2. 수면방해(Sleep disturbance) <br> 가. 자가보고된 수면방해(Self-reported sleep disturbance) <br> 나. 수면질환-뇌파 반응(Polysomnographic sleep-EEG reactions) <br> 다. 신체동작(Body movements) <br> 라. 자각보고(Reported awakening) <br> 마. 수면방해 평가 <br>3. 심장질환(Cardiovascular) <br> 가. 스트레스 호르몬을 포함한 생물학적 요인 <br> 나. 고혈압 <br> 다. 허혈성 심장질환 <br><br>제3장 층간소음 노출로 인한 건강영향 고찰<br>1. 어린이 주의집중력 및 학습장애 영향 <br>2. 층간소음의 장기노출로 인한 질병부담(DALY) <br><br>제4장 결론 및 제언 <br><br>참고 문헌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42 p.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층간소음 -
dc.subject 건강영향 -
dc.subject 성가심 -
dc.subject 수면방해 -
dc.subject 장애보정 생존연수 -
dc.subject Apartment Noise -
dc.subject Health Effect -
dc.subject Annoyance -
dc.subject Sleep disturbance -
dc.subject DALY -
dc.title 층간소음의 건강영향에 관한 기초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the health effects of apartment noise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4-02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oung M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