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표기반 접근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전망 (I)

Title
지표기반 접근법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전망 (I)
Authors
채여라
Co-Author
강영경; 장선주
Issue Date
2014-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4-20
Page
177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214
Language
한국어
Keywords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지표, 영향분석, Climate change, Vulnerability, Assessment index, Impact assesment
Abstract
This study identified major socio-economic indicators by sector to represent past and future trend of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Identified major indicators are Cholera, Scrub Typhus, encephalitis incidence rate for health, damage on infrastructure including buildings, roads, harbors, etc., damage on crops, extra morbidity and mortality. We compared each indicators with OECD average data and by municipalities in Korea to find more vulnerable sectors and regions. This study analyzed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se major indicators and climate variables. We found statistical correlations between crop damage with annual average precipitation, vector-borne disease with annual average temperature, property loss with precipitation. We observed the correlations from GWR(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analysis are higher than others. We also found that socio-economic damages are correlated with not just climate variables, but also socio economic variables including demography, incomes and land use.


본 연구는 기존의 많은 자원이 요구되는 모델 기반 사회?경제 영향 분석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고자 주요 사회?경제 영향 지표를 선정하고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지표와 기후 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사회?경제 영향을 산정하고자 수행되었다. 기후변화로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 산정을 위해 부문별 주요 사회?경제 영향지표를 선정해 과거 변화 추세를 분석하고, 각 영향 별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기후 및 사회?경제 요소와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 사회?경제 영향지표는 자료의 가용성, 지표의 중요도 등을 고려해 선정하였다. 콜레라. 쯔쯔가무시, 일본뇌염, 뎅기열 등 매개성 질병 발생건수, 건물, 도로, 항만, 등 사회 기반시설의 재산 피해, 농경지 피해, 농작물 피해, 부상자, 사망자 등 인명피해 등을 주요 사회?경제 영향 지표로 선정하였다. 국가 수준의 주요 사회?경제 영향 지표에 대해서 우리나라와 주요 OECD 국가간 비교를 수행하였다. 국가간 비교 결과 전반적으로 우리나라의 기후변화로 인한 취약성은 OECD 평균 및 전 세계 평균과 비교할 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기아로 인한 조기사망, 말라리아로 인한 조기 사망 등이 OECD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취약 지역 선정을 위해 지자체별로 주요 지표에 대한 추세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사회?경제 영향 지표에 대한 지자체별 추세 분석에 의하면 뎅기열, 쯔쯔가무시, 온열질환자 수가 꾸준히 증가 하고 있었다. 수자원 부문의 지표인 상수도 피해액과 하천 피해액은 뚜렷한 추세가 관측되지 않았으며 에너지부문의 주요지표인 최대전력수요는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국기준 냉방도일(CDD)과 난방도일(HDD) 또한 모두 점진적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기반시설 주요영향지표로서 건물, 도로/교량, 항만, 학교, 철도, 수리 사방임도, 군사, 조림, 통신, 소규모, 어항, 기타시설의 피해액을 분석한 결과, 뚜렷한 경향성은 관측되지 않았으며 태풍, 폭우 등 극한기후현상으로 피해가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농업부문의 주요지표로 농작물 총 생산량, 재배면적 당 생산량, 농경지, 농작물, 폐사두수, 축사잠사, 비닐하우스의 피해 추세를 분석한 결과 농작물 피해와 관련한 주요 경향은 관측되지 않았고 태풍, 폭우 등 극한현상에 의해 피해가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인명피해 부문의 주요지표로 총 이재민 수, 사망자 수, 실종자 수, 부상자 수(만 명당 발생 건수)에 대한 추세분석 결과 뚜렷한 추세는 관측하기 어려웠으며 역시 주로 극한 기후현상에 의하여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회?경제 영향과 기후 및 사회?경제 요소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주요 사회?경제 영향 지표와 기후 및 사회?경제 요소와의 상관 관계 분석 결과 농작물 피해와 연간 강수량, 매개성 전염병 발생건수와 평균기온, 재산 피해와 강수량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후변화와 인한 사회?경제적 영향의 정도는 기후요소의 변화 뿐 아니라 인구 구조, 경제환경, 인프라 현황 등 여러 사회?경제 요소와 복합적으로 결정된다. 사회?경제 영향 지표와 기후 요소 사이에 공간상관성이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기 위해 자기공간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공간적 자기상관성이 존재하였으며 공간자기 상관을 고려한 지리가중 회귀분석의 결과가 다중선형 회귀분석 결과보다 통계적으로 높은 설명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인구밀도, 5세이하 인구비율, 농토면적, 전월세 가구 비율 등 사회?경제적 영향을 갖는 지표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개요
가. 연구 내용
나. 연구추진 방법
3. 지표 기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연구 사례 분석
가. EEA 2012 보고서
나. DARA 보고서
다. Review of Climate Change Indicators
라. OXFAM & WWF
마. 주요 연구의 지표 선정 결과
4. 기후요소별 사회ㆍ경제 영향에 관한 선행 연구 분석

제2장 국가수준의 주요지표 선정 및 분석
1. 국가수준의 주요 지표 선정
2. 주요 국가별 비교
가. 농업
나. 산림/임업
다. 어업/양식업
라. 건강
마. 에너지
바. 관광업
사. 생태계
아. 해수면 상승
자. 수자원
차. 노동

제3장 지자체 수준의 주요 지표 선정 및 분석
1. 지자체 수준의 주요 지표 선정
2. 부문별 추세 분석 및 비교
가. 건강
나. 수자원
다. 사회기반시설
라. 인명피해
마. 에너지
바. 농업
사. 임업
아. 관광업
자. 교통
차. 사회불안정
3. 지역별 사회ㆍ경제 영향 변화 추세 분석

제4장 주요사회ㆍ경제 영향지표와 기후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1. 자료 수집 및 분석
가. 기후요소 변화추세 분석
나. 기후자료와 사회ㆍ경제 영향 지표 데이터 특성 분석 및 처리
2. 기후요소와 사회ㆍ경제적 영향 지표 간의 연관성 분석
가. 기후요소와 사회ㆍ경제 영향 지표의 상관관계 분석
나. 사회?경제적 영향 지표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력 분석
다. 공간적 변이를 고려한 사회ㆍ경제 영향 지표에 대한 기후요소의 영향력 분석
3. 사회?경제적 영향 지표와 기후 및 사회ㆍ경제 요소 간의 연관성 분석
가. 기후 및 사회?경제 요소와의 상관관계 분석
나. 사회?경제 영향 지표에 대한 기후 및 사회ㆍ경제 요소의 영향력 분석

제5장 사회ㆍ경제 영향 지표별 취약 지역 분류 및 특성 분석
1. 사회ㆍ경제 영향 지표별 취약 지역 분류 및 특성 분석
가. 매개성 전염병
나. 인명피해
다. 재산피해
2. 지역별 취약 원인 분석
가. 매개성 전염병
나. 인명피해
다. 재산피해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