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에너지 개발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I. 해상풍력사업의 입지 선정을 중심으로

Title
해양에너지 개발을 위한 전략환경평가 방안 연구 : I. 해상풍력사업의 입지 선정을 중심으로
Authors
김태윤
Co-Author
맹준호; 박정일; 이경민
Issue Date
2014-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에너지자원의 환경관리전략 : 2014-02-03
Page
184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253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신재생에너지, 해양에너지, 해상풍력, 환경 영향평가, 입지 선정, Renewable Energy, Ocean Energy, Offshore Wind Farm Project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Site Selection
Abstract
This research suggests strategies for selecting locations of offshore wind farms in consideration of the environment and a plan for evaluating feasibility in the coastal areas of Jeju Island. By investigating previous researches, parameters of selecting locations of offshore wind farm project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parts ?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s, conservation areas and landscape protection, human activities, and the marine environment and marine ecology. In order to use these parameters efficiently, we used marine spatial techniques of GIS and investigated available resources in the country.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s and surveys from the subordinate agencies of the government ministries, the outcomes were classified into a total of six categories ? basic maps of the sea, energy resources, economics, environment protection zone, the marine environment/ecology and human activities. In order to examine these data, we discussed the problem solving difficulties expected at the next theorem, and then put forward a solution. By utilizing these data and GIS, we applied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to Jeju Island which already adopts the offshore wind - energy - development- plan. A number of marine spatial data were obtained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Jeju City and Seogwipo City. By considering the Jeju‘s regional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available data in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s only, offshore wind powers can be located in a wide range of east and west coast of Jeju Island. However, when taking four parameters presented in this study ?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s, conservation areas and landscape protection, human activities, and the marine environment and marine ecology ? into account, the possibility of locating offshore wind farms significantly decreased than before when the energy resources and economics were considered only. To further supplement the findings, setting parameters for each crucial part, priority and weighting of the location standards, and other function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Also, it is desirable to select the optimum site with minimum conflicts with the residents by reaching a social agreement on the location standards. The data and analysis presented in this report will be useful for selecting the locations of future offshore wind farms in Jeju Island, and it will also contribute to minimizing the environmental impacts and complaints from the residents when implementing an offshore wind farm project.


본 연구는 해양에 기반을 둔 신재생에너지사업 중 해상풍력에너지단지 선정 시 환경을 고려한 입지 선택 전략 및 타당성 검토 방안을 제시하고 이를 제주도 주변 해역에 적용하였다.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선정 시 고려하여야 할 항목을 선행 연구의 조사 결과를 통해 네 가지 분야(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보전지역 및 경관 보호, 인간들의 활동,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분류된 항목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GIS를 활용한 해양 공간 기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내에 활용 가능한 자료들을 조사하였다. 자료 조사를 위해 문헌 검토 및 정부 부처와 하위 기관 그리고 인터넷을 통한 조사 작업을 진행하였으며 해양 기본도, 에너지자원, 경제성, 환경보호구역,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 인간 활동 등 총 여섯 개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이들 자료를 조사하고 정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애로 사항 및 문제점에 대하여 논하고 향후 개선 방향을 제안하였다. 조사된 자료와 GIS를 활용하여 해상풍력발전사업의 적정 입지 분석 방법을 해상풍력에너지발전계획이 수립되어 시행하고 있는 제주도 지역에 적용하였다.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시 및 서귀포시를 통해 다수의 해양 공간 자료를 추가로 확보하였다. 활용 가능한 자료를 토대로 제주도의 지역 특성을 고려한 입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에너지자원과 경제성만을 고려하였을 때 제주도 해역에는 동쪽과 서쪽 연안에 넓은 입지 가능 지역들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네 가지 분야(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보전지역 및 경관 보호, 인간들의 활동,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를 모두 고려한 경우에는 에너지자원과 경제성만을 고려한 경우보다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입지가 크게 줄어들었다. 연구 결과에 중요한 부분인 각 항목별 입지 기준의 설정, 입지 기준의 우선순위와 가중치,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될 항목 등에 대해서는 면밀한 고찰이 필요하다. 이와 더불어 입지 기준에 대한 사회적 동의를 통해 이해 당사자들의 갈등이 최소화될 수 있는 최적의 입지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고서에서 제시한 자료와 분석 내용은 향후 제주도 해상풍력단지 선정 시 기초 자료로 활용하여 사업 시행으로 인한 환경적 영향 및 주민들의 민원 발생을 최소화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 내용과 방법
3. 선행 연구

제2장 국내 현황 및 제도
1. 해상풍력발전의 개요 및 환경 영향
가. 해상풍력발전의 개요
나. 국내 운영 현황
다. 환경에 미치는 영향
2. 입지 선정 시 환경 측면 법적 고려 사항
가. 해양환경 관련 법령상 규제 지역
나. 연안 관리 법령
다. 종합고찰

제3장 전략환경평가서 작성 시 적정 입지 검토 방안
1. 국내외 사례 분석
2. 입지 항목의 분류
가.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나. 보전지역 및 경관 보호
다. 인간들의 활동
라.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
3. GIS를 활용한 해양공간계획 기법
가. 스코틀랜드 해상풍력발전 SEA
나. WINDSPEED
다. 국내 연안관리지역계획 및 연안 해역 적성평가
4. 국내 해양 공간 자료의 구축 현황
가. 기본도
나. 에너지자원
다. 경제성(인프라 관련)
라. 환경보호구역
마.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
바. 인간 활동
사. 종합고찰

제4장 적정 입지 분석 사례: 제주도
1. 입지 분석 대상지 선정
2. 입지 항목의 선정 및 자료 구축
가. 에너지자원 및 경제성
나. 보전지역 및 경관 보호
다. 인간들의 활동
라. 해양환경 및 해양생태
3. 시나리오별 입지 항목 설정 및 분석 결과
가. 시나리오별 입지 항목 설정
나. 입지 분석 결과
다. 기 추진 중인 제주도 해상풍력단지 위치와 입지 분석 결과와의 비교

제5장 결 론

참고문헌

부록 해양정보 데이터 베이스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