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차 보조금 지원 정책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진석 -
dc.contributor.other 공성용 -
dc.contributor.other 박지은 -
dc.contributor.other 송한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6:5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6:56Z -
dc.date.issued 201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후2015-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33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9/002/기후_05_한진석.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strengthen its efforts to expand the distribution of green vehicles from 2015. This research examined how much the subsidy support policy for green vehicles, which is to be expanded and implemented from 2015, contribute to market share change of green vehicles in the future and the achieving of greenhouse gas reduction in the transportation section. By doing so, it intended to arrange policy grounds to actively distribute green vehicles and propose a direction of subsidy support policy for green vehicles in the future. Chapter 2 reviewed the present condition of overseas green vehicle-related policies to examine various examples that can be benchmarked in Korea, and Chapter 3 reviewed a survey design to collect analysis data of vehicle choice behavio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Chapter 4 assumed a vehicle choice model and analyzed vehicle choice behavior. Chapter 5 calculated the number of vehicles registered by vehicle class and types in the future and analyzed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based on Life Cycle Analysis(LCA) emission factor. The plans to improve the effects of green vehicle distribution polic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odify the EV distribution plan in Korea and conduct a related research. Second, to increase the greenhouse gas reduction effect by EV distribution, the types of vehicles for EV distribution must be changed to taxi and delivery service vehicles that have longer mileage than cars. Third, there needs to be an effort to actively promote green vehicle and responds to buyers’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Finally, vehicle manufacturers must be encouraged to participate voluntarily in distributing green vehicle. -
dc.description.abstract 정부에서는 2015년부터 친환경차 보급 확대를 위한 노력을 강화하기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부터 확대 시행하는 친환경차 보조금 지원 정책이 장래 친환경차 점유율 변화와 수송부문의 온실가스 감축목표 달성에 기여하는 정도를 검토하여, 친환경차 보급 활성화에 대한 정책적 근거 마련과 향후 친환경차 보조금 지원 정책의 추진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국외 친환경차 관련 정책 현황을 검토하여 국내에서 벤치마킹이 가능한 다양한 사례를 검토하였으며, 3장에서는 차량 구매행태 분석자료 수집을 위한 조사 설계 방안을 검토하였다. 또한 4장에서는 수집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차종선택모형을 추정하여 차량 구매행태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5장에서는 장래 차급별 차종별 등록대수를 추정하고 LCA 배출계수 기반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친환경차 보급 정책의 효과를 제고하기 위한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EV 보급계획에 대한 개선 및 관련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EV 보급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승용차에 비하여 대당 주행거리가 긴 택시, 택배용 차량 등으로 EV 보급 차종을 전환하는 방안이 시급하다. 셋째, 친환경차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와 구매자의 사회경제적 특성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친환경차 보급에 대한 자동차 제작사의 자발적 참여를 촉진해야 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br><br>제2장 국내ㆍ외 친환경차 보급정책 <br>1. 국외 정책 현황 <br>2. 국내 정책 현황 <br><br>제3장 차량 구매행태 분석자료 <br>1. 선행연구 고찰 <br>2. 설문조사 <br><br>제4장 차량 구매행태 분석 <br>1. 이론적 고찰 <br>2. 모형 정립 <br><br>제5장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 <br>1. 장래 등록대수 추정 <br>2. 온실가스 감축 효과 <br><br>제6장 결론 <br>1. 연구결과 요약 <br>2. 정책 제언 <br>3. 향후 연구방향 <br><br>참고문헌 <br><br>부록 조사표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158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친환경차 -
dc.subject 보조금 -
dc.subject 차종선택모형 -
dc.subject LCA 배출계수 -
dc.subject 온실가스 -
dc.subject Green Vehicle -
dc.subject Incentive -
dc.subject Vehicle Choice Model -
dc.subject LCA Emission Factor -
dc.subject Greenhouse Gas -
dc.title 친환경차 보조금 지원 정책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 연구 -
dc.type 기후환경정책연구 -
dc.title.original The effects of green vehicle incentives on greenhouse gas reduction -
dc.title.partname 기후환경정책연구 -
dc.title.partnumber 2015-05 -
dc.description.keyword 기후변화대응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h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n-Seo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Climate Policy(기후환경정책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