샛강 관리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Ⅰ)

Title
샛강 관리 및 이용활성화 방안 연구(Ⅰ)
Authors
강형식
Co-Author
이병국; 한대호; 김혜령
Issue Date
2015-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사업보고서 : 2015-11
Page
201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358
Language
한국어
Keywords
한강,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샛강 관리, 물환경, 이용활성화, Hangang River, Yeouido Saetgang Stream, Ecological Park, Management of Urban Ecological park, Use Activation, Water Environment
Abstract
With the reduction of ecological spaces in urban area, the public’s interest in the urban water environment has grown. Despite their importance, however, urban small rivers including the Saetgang Stream are being abandoned. The Saetgang Stream means a branch river in Korean and by definition, “a branch river is led off from the main river and joined by an alluvial island”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providing habitat for biodiversity. For that reason, the Saetgang Stream in Yeouido can be a politically representative example of the management and revitalization of urban small riv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specific areas of waterway structure, water quality, odor and ecological monitoring to identify Saetgang Stream’s environmental condition. In addition, current status and issues were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interviews with responsible public officials and local community committee members and by accepting expert opinions. In this context, the aim of this study is firstly to investigate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the use and management of the Saetgang Stream, then to provid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suggestions in the first year of the two-year study. 1) Policy direction and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on th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Hangang River. Trying to conserve urban ecological spaces without using them is not realistic at all. For that reason, the convergence policy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s inevitable. By the same token, this study suggests three fundamental principles; (1) improvement of water circulation; (2) eco-oriented revitalization of usage; (3) promoting the attractiveness by considering the area’s distinct characteristics. 2) Improvement suggestions on the Saetgang Stream’s ecological environment problems based on the analysis of how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is currently used and managed. Due to its waterway structure, Saetgang Stream’s water cannot be naturally circulated. In particular, the river bottom was dredged evenly at the same level of 1.7 m during the renewal in 2008. By analyzing the river flow, it was found that natural water circulation is impossible without additional artificial flow-triggering due to the reversible flow which occurs twice a day by the West Sea tides and the blocking up of Seatgang River‘s inlet by sanding, while the current maintenance flow is 20,047 ㎥/day, which is only about half of the required flow of 38,200 ㎥/day. Moreover, inadequate management resulted in deterioration of water quality. The water quality is Ⅱ~Ⅲ level in normal season with T-P of Ⅳ level. BOD worsens to Ⅳ~Ⅵ level during rainfall and T-P to over Ⅵ level, which is a critical level. The wetlands in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are also unable to serve their purification function and only brings dilutive effect with the inflow of groundwater. Odor intensity of the Saetgang Stream is 1 on the water surface and 2.5 in Saetgang Ecological Park’s trail. The level exceeds 4, similar with the odor of conventional toilets, in places next to the sewers connected to local rainwater pump stations. During ecological monitoring, tadpoles of narrow-mouth frog and hobbies that are classified as Class II endangered species were found in the Saetgang Ecological Park. In addition, the aquatic ecological health assessment rating was D, which represents poor environmental level. While the habitat of narrow-mouth frogs must be preserved, it is realistically unlikely for the Yeouido Saetgang Stream to be classified as an “ecological conservation area” characterized by high biodiversity and high conservation value. 3) Suggestion on the improvement of Saetgang Ecological Park’s usage and management The study by investigating Saetgang Stream’s present usage and management conditions identified its problems and solutions. Consequently, in terms of usage, users were found to be unsatisfied with education program, facility and environment. The number of visitors and participants of ecological education program did not improve even after enhancing accessibility. Also, user behavior was no different from general urban parks. In managerial aspect, frequent restructuring and inter-department rotation were causing low work efficiency and civil complaints were not handled properly. While the exact details of Saetgang Ecological Park’s operation and maintenance budget could not be obtained, it was confirmed that the budget for regular monitoring has not been allocated. This study suggests four improvements as solutions; (1) ensure Saetgang Ecological Park’s legal status as an ecological park; (2) implement adaptive management; (3) improve ecological education programs; (4) discover grassroots organization and induce active and voluntary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본 연구는 샛강 관리 및 이용활성화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1차년도 과제로서, 국내 대표적인 샛강인 여의도 샛강이 현재 직면하고 있는 생태환경과 관리 상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서울 도심을 흐르는 여의도 샛강은 다양한 수변공간을 제공하여 생물들에게는 서식처로서, 시민들에게는 휴식 및 생태체험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여의도 샛강은 과거 홍수기에만 물이 흐르고 평상시에는 습지의 형태로 유지되다가, 한강종합개발 사업의 일환으로 여의도 일대를 정비하면서 1997년도에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으로 개장되었다. 그러나 조성 당시 부터 지금까지 오염된 하수, 물순환, 쓰레기, 악취, 해충 등의 민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샛강의 하천환경에 대한 문제점의 근원은 지형학적으로 물순환이 어려운 하천구조라는 점이다. 따라서 한강 본류와의 자연적인 하천수 유입과 유출을 위한 몇 차례의 시도에도 불구하고 지금의 샛강은 자연적인 물 순환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는 구조로 변화했다. 이는 과거의 샛강이 평상시에 습지의 형태로 유지되었던 것과 관련성이 크다. 이러한 근본적인 물순환의 악화는 수질에 영향을 미쳐 샛강을 방문하는 시민들에게 악취와 시각적 불쾌감을 주게 된다. 또한 수생태에도 큰 영향을 끼쳐 수생태의 건강성이 크게 악화되어 있어, 생태공원으로서의 제 역할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샛강 생태자원의 가치가 하락하고 이용자들의 활발한 이용이 저해되어 있는 현 실정을 고려해볼 때, 본 연구는 도시환경 개선과 한강 생태계를 보호하는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이를 위해 먼저 여의도 샛강의 현황과 함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정책방향 속 샛강의 변화상을 살펴보고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의 생태환경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였으며, 또한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이용, 관리 현황 및 문제점을 분석하여 그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첫 번째로 한강과 연계한 샛강의 개발과 보전에 대한 정책 변화를 살펴보고 그 함의를 기반으로 하여 샛강 생태공원 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과 정책방향을 제언하였다. 한강에 대한 개발과 보전 정책의 추진과 변화 속에서 샛강도 그 맥락을 함께 해 왔으며 이는 보전에 대한 당위성과 이용에 대한 필연성을 내포하고 있다. 여의도 샛강은 서울 도심 중심에 위치하며 한강 본류와 연결되어 있어 파편화된 한강 생태계를 보전하는 차원에서 마땅히 보전되어야 한다. 그러나 높은 인구밀도와 주민 휴식공간의 필요성을 고려해 볼 때 그 이용에 대한 필요성도 결코 무시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완전히 접근이 차단된 보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동시에 일반 공원과 같은 이용방안 또한 그 조성 취지에 크게 벗어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보전과 이용을 융합한 정책방향을 결정하는 데 있어 서로 상호보완 관계를 유지하며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샛강 생태공원 관리 및 이용활성화 기본원칙 세 가지를 제시하였다. 두 번째로 여의도 샛강의 하천환경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은 2008년 재조성 당시 한강수를 자연적으로 유입시키기 위해 준설을 감행하였다. 그러나 입구에서 출구까지 하상고의 높이차 없이 EL.1.7 m로 균일하게 준설하여 오히려 샛강의 원활한 물흐름을 방해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특히 준설 이후 홍수위가 오히려 증가됨에도 불구하고, 한강수의 자연적인 물유입을 통한 샛강 자연화에 더 높은 가치를 두어 준설을 감행한 것으로 사료된다. 준설 이후의 항공사진을 분석한 결과, 준설 이후 초기에는 한강수가 자연 유입되는 것처럼 보였으나, 몇 차례 홍수 이후 샛강 유입부가 토사 퇴적으로 폐색되어 한강수의 자연 유입은 불가능한 구조로 변하였다. 또한, 하천 측량결과 샛강 내에 역구배 현상이 발생되어 물흐름이 더욱 악화되는 하천구조로 변화되었다. 더욱이, 샛강 말단부는 임의적인 단면축소 구간과 한강 본류의 영향으로 지금의 샛강은 자연적인 물 유입과 유출이 어려운 구조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공적인 물 유입과 배수 시스템을 통해 샛강 전체에 흐름이 발생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여의도 샛강의 수질모니터링 결과, 비가 오지 않는 평상시에는 BOD 기준으로 Ⅱ~Ⅲ등급(T-P는 Ⅵ등급)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강우 시에는 BOD가 Ⅵ~Ⅵ등급, T-P는 전 구간에서 Ⅵ등급이 훌쩍 넘어가 수질측정이 불가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샛강 수질악화의 원인으로는 CSOs 유입과 물흐름 정체로 인한 오염토 퇴적이 가장 크다. 먼저 CSOs 유입과 관련하여 배수분구 분석을 통해 신길-1지역을 오염우심지역으로 선정하였으며, 이외에도 노량2-2, 노량2-3, 영등포-1 지역에서도 오염부하가 높은 것으로 추정되었다. 따라서 오염 우심지역에 대한 월류수 개선 방안 등을 포함한 수질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샛강 산책로와 주변 그리고 하천 표면에서 악취를 측정한 결과, 물 표면에서도 악취가 발생되어 하천 주변에서 활동이 어려운 수준이었고, 산책로에서도 2.5강도의 악취가 발생되어 심각한 수준이었다. 더욱이 맨홀 주위에서는 악취강도 4를 초과한 재래식 화장실 수준의 참기 어려운 악취 강도가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이정도의 악취 강도는 공단지역에서의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이었다. 여의도 샛강이 서울시 중심에 있고, 국내 최초의 생태공원이라는 상징이 존재하는 지역임에도, 공장지역에서의 악취 허용기준을 초과하는 수준의 악취를 내뿜고 있다는 것 자체로도 샛강에 대한 환경개선이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샛강 지역에서의 식물과 육상동물상, 곤충, 수생생물 등에 대한 생태모니터링을 수행한 결과, 일반 도시하천에서 발견되는 수준의 생물상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시내 다른 도시 하천과 비교한 결과, 서식수변지수를 포함한 어류지수 등 모든 생태 지수들이 D등급의 ‘불량’으로 최하등급인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생물 통합지수 역시 생태환경 불량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물순환 개선을 통한 수환경 건강성 증진과 보호종 관리, 적응적 유지관리 등 샛강에서의 생태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한편 분류군별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한 결과, 생태관리를 통해 수질 및 서식환경이 개선된다 하더라도, 외부 요인으로 인해 보전할 가치가 있는 상태로의 복원은 어렵다는 견해가 우세하였다. 결론적으로 그동안 여의도 샛강에 대한 서울시 정책 방향은 샛강을 생물다양성이 높고 보존가치가 높은 ‘생태보전지역’으로 선정하고, 이를 활용한 크루즈 등의 수상이용을 제안해 왔는데,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이러한 제안을 실행하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사료된다. 최종적으로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의 이용 및 관리 현황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이용현황 및 특성을 살펴본 결과, 이용자들은 프로그램 및 시설, 환경에 대하여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하여 이용자수는 정체된 상태로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는 추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이용 특성 면에서도 이용자들은 샛강 생태공원을 도심 일반 공원으로서 방문하고 있는 행태가 발견되었다. 공원 생태프로그램은 일회성 또는 이벤트성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프로그램 참여 인원은 한정적이었으며 다양성 면에서도 타 생태공원에 비해 부족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관리현황 부분을 살펴보면 잦은 관리부서의 개편과 이동으로 업무효율성 감소가 발생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고 이와 더불어 민원 관리 또한 적절히 처리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영 및 유지관리 예산 현황에서는 정확한 운영비 내역을 확인 할 수 없었으며 모니터링에 대한 예산이 편성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무엇보다 현재 샛강 생태공원은 법적으로 생태공원으로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단순히 생태적 특성을 갖춘 테마공원처럼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이상의 이용 및 관리 현황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샛강 생태공원의 법적 지위 개선과 생태관리 개선 방안을 제언하였다. 마지막으로 샛강 생태공원 생태 프로그램 개선을 통한 공원 이용 활성화의 필요성과 풀뿌리 조직 발주 및 지원을 통한 주민들의 자체적인 참여 방안을 제언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내용 및 추진체계
가. 주요 연구내용
나. 연구 방법
다. 연구 추진체계

제2장 여의도 샛강 현황
1. 국내 샛강 현황
가. 샛강 정의와 국내 샛강 현황
나. 샛강의 생태적 중요성
2. 여의도와 샛강 역사
가. 여의도 역사
나. 여의도와 샛강의 지형적 변화
다.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조성사
3.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현황
가. 샛강 생태공원 개요
나. 샛강 생태공원 조성비용
다. 샛강 생태공원에 대한 지역주민 및 관계자 의견


제3장 여의도 샛강의 정책방향과 이용활성화 기본원칙
1. 여의도 샛강의 정책 흐름
가. 한강에 대한 서울시 정책 방향
나. 샛강 생태공원의 정책 흐름
다. 샛강 생태공원의 정책적 시사점
2. 여의도 샛강의 보전과 이용
가. 보전에 대한 당위성
나. 이용에 대한 필연성
3. 이용활성화를 위한 기본원칙 제언
가. 물환경 개선
나. 생태중심 이용활성화
다. 지역 환경 특수성을 고려한 매력도 증진

제4장 여의도 샛강 하천환경 문제점 및 개선방안|
1. 물순환
가. 자연적 물순환 가능성
나. 자연적 물순환 방해요인
다. 샛강 흐름 모의
라. 시사점 및 개선방안
2. 수질
가. 샛강 모니터링 결과
나. 샛강유역 오염물질 발생과 배출경로 분석
다. 시사점 및 수질개선 방안
3. 악취
가. 샛강 악취 조사결과
나. 시사점 및 개선방안
4. 생태
가. 샛강 생태공원 현존 생태모니터링 결과
나. 샛강 생태공원 생태건강성 평가
다. 법적 보호종의 출현과 그 의미
라. 시사점 및 개선방안
5. 결론 및 개선방안 요약

제5장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이용, 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1.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이용 현황
가. 샛강 생태공원 이용자 만족도 현황
나. 샛강 생태공원 이용자수 현황
다. 샛강 생태공원 이용 특성 현황
라. 샛강 생태공원 생태프로그램 현황
2. 여의도 샛강 생태공원 관리현황
가. 샛강 생태공원 관리조직 현황
나. 샛강 생태공원 운영 및 유지관리 예산 현황
다. 샛강 생태공원 민원 관리 현황
라. 샛강 생태공원 법적 분류체계
3. 시사점 및 개선방안
가. 샛강 생태공원 법적 지위 개선
나. 샛강 생태공원 생태관리 개선
다. 샛강 생태공원 생태 프로그램 개선
라. 풀뿌리 조직 발굴 및 지원

참고 문헌

부 록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