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통합모델 개발(I)

Title
기후변화 적응정책 지원을 위한 토지이용통합모델 개발(I)
Authors
김오석
Co-Author
안소은; 윤정호; 빈슬지; 김기환
Issue Date
2015-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5-13
Page
119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365
Language
한국어
Keywords
토지이용통합모델, 토지이용·피복 변화,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 정확도 검증, Integrated land-use model,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Business-as-usual scenario, Accuracy assessment
Abstract
This report proposes a new land-change model that integrates an econometric model an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science (GIS) to simulate future land-use and land-cover changes of South Korea. The model is designed to factor in socioeconomic and biophysical climate change scenarios so as to support national policies for adaptation. The econometric modeling is specialized at projecting quantity of Built, Agriculture, and Forest based on area, rent, and population density for multiple time periods. The GIS analysis is geared towards prioritizing areas for each land category by taking into account distinct types of land-uses and land-covers, protected areas, road network, etc. Based on the rank maps, the projected quantity is spatially allocated; map comparison methods are then applied to the predictive outcomes in order to quantify the associated uncertainties. The research provides (1) spatially and temporally explicit business-as-usual (BAU) projections of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2) a modular framework to integrate land-change modeling with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3) accuracy assessment of the BAU projections.


기후변화를 비롯한 다양한 환경문제로 인해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변화(land-use and land-cover change) 연구는 전 세계적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반면, 대한민국의 경우는 환경정책 수립의 근간이 되는 이런 연구가 필요한데도 관련 연구가 제약적이며, 그 중에서도 특히 토지이용과 토지피복 변화를 모의하는 통합모델 개발 연구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 부진한 실정이다. 본 보고서는 계량경제학적 토지이용모델링(econometric land-use modeling)과 지리학적 지리정보시스템기반 토지피복 변화 모델링(geographic land-change modeling) 통합에 초점을 두고 있으며, 통합 과정을 통해 개발한 모델을 케일럼(Korea Environment Institute’s Integrated Land-Use Model, KEI-ILUM)이라 명명하였다. 모델 개발 과정에서 케일럼 모델링 결과의 정확도를 기존 지리학적 모델링 결과의 정확도와 비교해 본 결과, 케일럼의 결과가 더 정확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토지이용통합모델인 케일럼은 사회·경제적 요인(socioeconomic factors)과 자연·물리적 인자(biophysical factors)를 동시에 고려할 수 있도록 설계했으므로 다양한 시나리오를 적용할 수 있는 구조를 지닌다. 본 보고서에서는 케일럼에 현 상태 유지 시나리오를 적용하여 2030년의 대한민국 국토 이용 현황을 전망하였고, 그 결과를 시·공간적으로 도출하였다. 모델 결과에 따르면, 경기권과 충청권을 제외한 나머지 지역은 2030년까지 개발이 감소하면서 대신 농지와 산림이 증가하는 시계열적 추세를 나타낸다. 수도권과 제주권의 농지 및 산림이 상대적으로 개발에 취약한 것으로 밝혀졌고, 강원권, 경기 북부와 경북권의 농지가 산림으로 복구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울을 제외한 경기 남북부의 산림은 반대로 농지로 개간될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2. 연구의 주요내용과 범위

제2장 문헌 고찰
1. 선행연구 현황 및 본 연구의 차별성
가. 국외 연구경향
나. 국내 연구경향
2. 토지이용통합모델의 주요 특징

제3장 모델 설계
1. 토지이용통합모델: 케일럼(KEI-ILUM)
가. 케일럼 구조 및 분석틀
나. 미래 토지이용 면적 전망
다.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면적 공간배분
2. 장래인구추계 방법론
가. 기준인구
나. 조사 후 및 조사 간 인구
다. 사망력
라. 출산력
마. 국제인구이동
3. 정확도 검증 방법론

제4장 모델 적용
1. 입력자료 구축
가. 토지피복지도
나. 보호지역
다. 개발예정지역
라. 인문 공간정보
마. 자연 공간정보
2. 모델링 결과
가. 미래 토지이용 면적 전망
나. 토지이용 및 토지피복 면적 공간배분
다. 케일럼 프로젝션
3. 정확도 검증

제5장 결 론

참고 문헌

부 록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