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 연구 : 도로이동오염원을 중심으로

Title
교통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 연구 : 도로이동오염원을 중심으로
Authors
한진석
Co-Author
서은주; 서원호; 김승범; 최윤영
Issue Date
2016-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6-15
Page
126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0449
Language
한국어
Keywords
도로이동오염원, 교통환경정책, 대기환경 개선효과, 상향식 방법, 하향식 방법, Mobile Source, Transport Policy, Air Quality, Bottom-up Approach, Top-down Approach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동오염원을 대상으로 추진하는 교통환경정책의 수립 단계에서 활용 가능한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안은 정책 추진에 따른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과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의 변화, 대기오염물질의 공간적 확산과 이로 인한 인구의 건강영향을 순차적으로 고려한다. 특히, 도로이동오염원의 통행량 변화는 정책 효과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기 때문에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에서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본 연구에서는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 시 교통분석모형 기반의 상향식(BUA: Buttom Up Approach) 방법을 적용하여 하향식(TDA: Top Down Approach) 방법 대비 정책 추진에 따른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를 상세하게 반영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기환경 개선효과 추정방안은 기존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분석 방법론 및 대기질 분석 방법론, 건강영향 분석 방법론, 국내외 관련 연구 사례 등을 검토하여 거시·중위 수준의 분석 방법론과 미시 수준의 분석 방법론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으며, 시나리오 분석을 통하여 제시한 분석 방법론의 활용성을 검토하였다. 도로이동오염원의 배출량 분석 방법론은 정책 유형에 따라 TDA 접근 방법, BUA 접근 방법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정책 추진으로 통행자의 통행행태 변화가 예상되는 경우에는 BUA 접근 방법의 적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방법론은 정책의 수혜 규모, 파급효과 등에 따라 거시·중위 수준 또는 미시 수준으로 적용이 가능하나 도로이동오염원 배출량 산정에 대한 미시 수준의 BUA 방법은 아직까지 공신력 있는 기초자료가 구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현실적인 적용에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proposes an analysis method to test the improvement effects of air quality that can be used at the establishment stage of transport policy targeting mobile sources. The method considers changes to the volume of mobile emissions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air pollutants, atmospheric dispersion of air pollutants, and the effects of air pollutants on the health of local residents, sequentially. In particular, changes to the traffic volume of mobile sources must be considered in the method to improve the effects of the atmospheric environment because the traffic volume has a direct connection to the effects of the policy. In this study, we intend to detail the changes to travelers’s travel behavior following policy enforcement. We will apply the bottom-up approach (BUA) based on the traffic demand model rather than top-down approach (TDA) when calculating changes to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This study proposes analysis methods to test the effects of air quality by classifying into macro/meso-level analysis and micro-level analysis based on reviewing the analysis methodology used to test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analysis methodology for air quality, analysis methodology for health effects, and the related study cases from within and outside Korea. The TDA method and/or BUA method will be used to analyze the emission level of the mobile sources, depending on the type of policy. However, the BUA method must be applied when changes to the traveler’s travel behavior are expected in response to policy enforcement. The analysis method proposed in this study can be applied at the macro/meso level or micro level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benefit from the policy, ripple effect, and other factors; however, application of the micro level BUA method in calculating the emission level of mobile sources is limited because the database on public confidence has not yet been established.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제2장 교통환경정책 동향 분석
1. 국제기구별 정책 동향
2. 국가별 정책 동향
3. 시사점

제3장 도로이동오염원 대기환경 개선효과 분석 방법론
1. 기존 방법론 고찰
2. 관련 연구사례
3. 시사점

제4장 도로이동오염원 대기환경 개선효과 시나리오 분석
1. 분석 개요
2. 대기환경 개선효과 분석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