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사업

Title
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사업
Authors
김동현
Co-Author
이준범; 최과림; 홍원경; 손희철; 이태휴; 박재형; 김정훈; 오은주; 김가애; 정찬해
Issue Date
2016-12-31
Publisher
환경부
Series/Report No.
기후변화 적응 : 2016-001-05
Page
187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113
Language
한국어
Abstract
기후변화로 인한 산업계의 피해는 다양한 형태로 발생하고 있으며, 그 크기 역시 점차 심화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는 실정이다. 기후변동성의 증가, 강우 패턴의 변화, 이상기후의 강도와 빈도 증가 등 미래 기업 활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경고하고 있으며(Stern Review, 2006), 글로벌 GDP의 2% 이상 감소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OECD, 2015). 이러한 기후변화의 영향은 산업계의 경제적 피해로 다가오고 있으며, “기후변화 적응”을 통해 관리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후변화 적응은 비즈니스 측면에서 민간부문의 참여를 요구한다. 이미 많은 연구와 국제포럼에서도 비즈니스 성과의 모든 영역에서 기후변화를 고려하여야 한다고 제시되고 있으며, 효과적인 전략이나 핵심구성요소를 파악하고 기술적인 구현이 가능하도록 기후 행동(climate action)에 초점을 맞춘 적응이 이루어지도록 권고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 기후공시기준위원회(CDSB)는 기후변화 관련 위험 정보와 재무보고를 표준화하는 프레임워크의 방향을 보고하였으며, 이는 기후변화에 대한 새로운 기회와 성장동력의 전환점을 제공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민간 기업은 “어떻게 참여하고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초점을 맞출 필요가 있다. 이미 비즈니스 측면에서 전사적 리스크관리(ERM)를 포함한 다양한 리스크관리 방법이 마련되어 있으나, 기후변화나 자연재해 등을 포함하는 기업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대부분의 기업들은 기후변화에 대한 환경적 영향을 컨설팅에 의존하고 있으며, 국외의 많은 기업들은 전문적인 기관에 의뢰하여 컨설팅을 통한 관리를 하고 있는 반면에 국내의 경우 선진국의 컨설팅 업체와 비교하여 규모, 매출 등이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과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민간기업의 기후변화 영향에 대한 정보와 리스크 관리의 편의성을 통합적으로 고려하고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의 마련이 필요하다. 본 사업에서는 민간 기업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정보를 쉽게 접근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인지하고 적응의 관점에서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반영하여 기후변화 적응형 컨설팅에 초점을 맞추어 사업을 수행하였다. 먼저 ‘13~‘15년에 개발·운영된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도구(CRAS;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System)의 평가분석 다변화 방법을 설계하였다. 리스크에 따라 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도록 조기경보시스템(EWS: Early Warning System)의 방향을 제시하였으며, 이는 단기적 관점(기상데이터 활용을 통한 조기경보)과 중·장기적인 관점(핵심위험지표를 통한 사전진단)에서 CRAS시스템의 조기경보체계를 구축하였다. 이러한 조기경보시스템은 설정된 핵심위험요인(Key Risk Indicators)의 임계치에 따라 위험 시그널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으로 CRAS시스템 분석결과와 연동하여 위험의 단계별로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둘째, 공급사슬(supply chain)의 관점에서 모기업-협력업체 간의 맞춤형 적응 컨설팅의 활성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에 운영하였던 리스크 관리 실무교육과정에서는 참여기업에 따라 리스크평가를 수행하였으나, 맞춤형 컨설팅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유지하면서 상호 연계성이 높은 공급사슬 간의 기업을 모집하고 리스크평가를 수행해 기후변화 적응의 노하우를 공유하고 협력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방향이 모색될 수 있다. 또한 경영진과 관리자 인터뷰를 통해 의사결정체계의 확보와 공급사슬 간의 위험 프로파일을 도출하는 등 양방의 기업이 상호 토의를 통해 기후변화 적응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컨설팅을 지원하였다. 마지막으로 CRAS시스템의 리스크 진단 척도인 체크리스트의 다변화를 통해 참여기업의 평가자의 주관성을 객관화할 수 있도록 CRAS시스템의 연동체계를 고려하여 재설계하였다. 이는 CRAS시스템의 연동체계를 고려하여 리스크의 피해분류와 재무구성요소와의 관계에 따라 중점진단항목을 구성하고 세부평가를 통해 리스크 평가의 결과에 반영될 수 있도록 체크리스트를 고도화하였다. 그 결과로 인적, 설비적, 물리환경적, 관리적인 관점에서 4M(Man, Machine, Media, Management)으로 분류하여 11개 항목의 세부적인 진단이 가능하도록 방향을 마련하였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사업 개요
1. 사업의 배경 및 목적
2. 사업의 범위 및 방법

제2장 기후변화 리스크평가 분석 다변화 설계
1. 리스크평가 분석 다변화의 설계 및 방향
가.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분석의 고도화 방향
나. 리스크평가 분석 다변화 설계
2. 조기경보체계(Early Warning System)의 동향
가. 조기경보시스템의 구성 및 활용 현황
나. 기후 리스크 관리와 조기경보 체계의 국제 동향
3. CRAS 조기경보 모델의 구성 및 단계
가. CRAS조기경보 모델의 구성 및 단계
나. 조기경보 정보 제공 서비스 구현(단기적)
다. 핵심위험지표(KRI)를 통한 조기경보시스템(중·장기적)
라. CRAS 핵심 위험 지표(CKRI: CRAS Key Risk Indicator) 및 구현 방안

제3장 리스크관리 도구 고도화 및 수정보완
1. 분석 다변화에 따른 체크리스트 고도화
가. 체크리스트의 다변화 방향 및 구조 설정
나. 국내·외 리스크관리 체크리스트 현황
다. 리스크 체크리스트의 고도화
2.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수정보완
가. 민간기업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 양식
나.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 양식 수정·보완
제4장 민간기업 맞춤형 기후변화 적응 컨설팅 사업
1. 맞춤형 컨설팅 대상 기업 모집 및 수요분석
가. 맞춤형 컨설팅 개요 및 절차
나. 맞춤형 컨설팅 모집 선정 및 범위
다. 참여기업 경영진 인터뷰 및 현장조사
2. 맞춤형 적응 컨설팅 운영 결과
가. 기후적응 리스크관리 실무교육과정 운영
나. 맞춤형 컨설팅 운영 결과
다. CRAS시스템 만족도 설문조사 요약
라. 맞춤형 컨설팅 의의 및 제언
3. 맞춤형 적응 컨설팅 홍보 지원

제5장 결 론
1. 결론 및 시사점
2. 향후 사업추진

참고문헌
참고문헌

부록
부록 1. CRAS시스템 사용자 만족도조사
부록 2. ‘기상기후산업 박람회’ 전시운영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