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선진국 토양ㆍ지하수 환경정책 패러다임 발굴을 통한 국내 정책사업 연구기획

Title
OECD 선진국 토양ㆍ지하수 환경정책 패러다임 발굴을 통한 국내 정책사업 연구기획
Authors
박용하
Co-Author
현윤정; 차은지; 박지은; 양지훈; 이수재; 황상일; 송민경; 문소영; 이충기; 윤대희; 이승일; 심보은; 이소라
Issue Date
2017-06-30
Publisher
환경부,한국환경산업기술원
Series/Report No.
토양ㆍ지하수오염방지기술개발사업
Page
346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134
Language
한국어
Keywords
토양?지하수, OECD, 연구개발, 패러다임, 기획, 기능, 건강성, 조화, 훼손, 안보, 토양?지하수보전정책, 기술 및 산업 로드맵, soil and groundwater, OECD, R&D, paradigm, planning, function, health, harmony, degradation, security, policy, technology and industry, roadmap
Abstract
Ⅰ. 연구과제명 ㅇ 주관과제명 : OECD 선진국 토양·지하수 환경정책 패러다임 발굴을 통한 국내 정책사업 연구기획 ㅇ (세부) 과제명 : 토양·지하수환경기술·산업 수요 및 전망분석 Ⅱ.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ㅇ 현재까지 우리나라의 토양지하수환경정책은 주로 토양지하수의 오염관리 및 방지에 초점을 두고 있어 토양지하수환경의 통합생태관리체계에 부합하는 미래방향을 설정하고 새로운 정책방향과 정책과제를 설정할 필요가 있음 ㅇ 본 연구의 목적은 OECD 국가에서 수행하고 있는 토양?지하수 환경정책의 조사 분석을 통해 향후 우리나라가 선진국형 토양?지하수 환경정책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정책 패러다임을 발굴하고, 이를 통해 미래의 토양?지하수 환경기술·산업 및 전망을 토대로 하여 중장기 핵심이슈를 제시하고 로드맵을 수립하는 데 있음 Ⅲ.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ㅇ OECD 선진국형 토양·지하수환경정책 패러다임 발굴 ㅇ 국내 토양·지하수환경정책 성과분석 및 미래전망 ㅇ 토양·지하수환경정책 중장기 핵심이슈 및 정책사업 로드맵 수립 ㅇ 향후 토양·지하수환경 기술·산업 수요 및 전망분석 Ⅳ. 연구개발 결과 ㅇ 우리나라에서 1980년대 이후 현재까지 추진하고 있는 토양·지하수 정책은 UN의 지속가능개발목적 (SDG,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과 생물다양성협약(Convention on Biodiversity), 넥서스 접근(Nexus Approach)에서의 토양·지하수에 대한 정책, 그리고 EU의 토양·지하수 정책과 비교하면 매우 낮은 단계에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토양 및 지하수의 기능과 생태계서비스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한 정책, 기술·산업개발이 거의 이뤄지고 있지 있음 ㅇ 토양·지하수환경은 토양·지하수의 생태적 이용가치를 향상시키고 환경자원 순환과 회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책영역으로, OECD 주요 선진국과 UN 등의 국제회의 및 학술회의에서는 물, 에너지, 식량, 폐기물, 대기를 함께 아우르는 모든 환경요소, 공간, 이동과 변화를 통찰하여 연계하여 접근 -우리나라의 토양·지하수 정책 흐름과 주요 이슈를 고려할 때, OECD 주요 선진국에서의 토양·지하수 정책의 목적과 목표, 최근 UN 등에서 논의되고 설정된 SDG에 따라 토양지하수환경을 보전하고 지속가능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개념 및 수단으로서 넥서스 접근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음 ㅇ 토양·지하수환경 정책의 비전은 현재와 미래, 그리고 과학과 정책을 연결시키는 새로운 개념(패러다임)의 틀로써, 우리나라의 국내외 여건, 기후변화와 토지이용변화, 세대간과 세대내 균형을 고려하는 환경정의 실현 등의 정책변화요인, UN에서의 토양·지하수 환경보전 등의 국제동향 등을 고려할 때, 토양·지하수환경 비전을 건강, 행복, 조화로움(Health, Happiness, Harmony)으로 할 수 있음 ㅇ 토양·지하수 환경의 보전 및 지속가능한 이용은 국가안보 차원의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i) 인간과 생태계 위해 요인의 저감, ii) 기후와 토양·지하수 환경 변화에 대한 적응력 제고, iii) 인간의 건강과 복지, 토양생태계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인 환경 위해에 대한 회피, iv) 토양생태계와 자원과 지속가능한 경제 발전 및 사회적 불평등 해소에 기여하는 사회적 복원력을 회복하는 것임 ㅇ 토양?지하수 新패러다임 정책에 기반한 기술 및 산업으로 토양부문은 9개 영역인 i) 기후변화 감축 및 적응기술, ii) 토양 기능 회복 기술, iii) 토양침식 방지·복원기술, iv) 토양의 생물다양성 보전 및 지속 가능한 이용, 확보 기술, v) 토양질(유기물 등) 관리기술, vi) 토양 차폐 관리기술, vii) 토양산성화·염화방지기술, viii) 토양사태(land slide)평가·방지 기술, ix) 법, 제도·정보화 기술로 구분하여 부문별로 세부 기술개발 내용을 제시 ㅇ 지하수 부문은 5개 영역인 i) 사전예방적 지하수 수질 (및 지하수 의존 생태계) 보전·관리, ii) 지하수 이용 가치 제고를 위한 정책 선진화, iii) 오염지하수 사후관리 강화, iv) 수질 관련 산업 육성 및 기술개발 촉진, v) 수질 (및 지하수 의존 생태계) 관리 기반 강화로 구분하여 부문별로 세부 기술개발 내용을 제시 ㅇ 토양?지하수 新패러다임 정책에 기반한 기술 및 산업으로 토양?지하수 정책 및 기술 내용을 향후 10년을 단기(2018∼2020), 중기(2021∼2023), 장기(2024∼)로 구분하고 기간별 발전 과제의 로드맵을 제시 Ⅴ.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기대효과) ㅇ 토양?지하수 분야 정책 및 실무 담당, 기술개발자들의 교육 및 홍보 자료로 활용 ㅇ 토양?지하수 분야 중장기계획 추진전략을 보완하고, 미래 연구 및 기술개발 분야 발굴(사전예방 등 통합적 정책 강화를 위한 자료 마련)에 활용


Ⅰ. Title ? Main Project : R&D planning of the Korea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through reviewing and analyzing paradigm shifts of the policies in OECD countries ? Unit Project : Demand analysis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industry, and their prospects Ⅱ. The Objective & Necessity of the Research ㅇ Korea's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focusing mainly on contamination management including prevention of soil and groundwater have become an issue for an ecological aspect. It needs to consider the integrated ecological management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and establish a new policy direction and tasks for our future ㅇ Purposes of this study are i) to seek a new and policy paradigm shift of Korea's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ies based on analysis of OECD countries, ii) to investigate core issues of technology and industry development for mid- to long-term periods, and iii) to establish a roadmap for policy, technology and industr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Ⅲ. Contents and Scope ㅇ Seeking for a paradigm shift on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reaching the level of OECD countries ㅇ Analysis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in Korea and prospect ㅇ Investigation of mid- to long-term period's core issues of technology and industry development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and establishing a roadmap ㅇ Analysis of demands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industry and prospect Ⅳ. Results ㅇ In Korea, Soil and groundwater policy since the 1980s is incompatable for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 Convention on Biodiversity, and Nexus Approach, and EU countries' soil and groundwater policy. -In Korea, functions and ecosystem services of soil and groundwater are not considered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soil and groundwater policies, technologies and industries ㅇ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is a core policy area that plays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ecological values of soil and groundwater. OECD countries including The United Kingdom, German, The Netherlands, United States, and Austria take the ecological values into their policies. Integral and the Nexus approach which considers enviro-, socio-, and economical aspects of various factors including land-use, water, energy, food, waste and the atmosphere is carried out in their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ies. The Nexus approach is also a core discussion issue in various international conferences and UN conventions -we may consider the Nexus approach as a key mean to conserve and sustainably utilize th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regarding to our soil and groundwater situation and the OECD countries' policies and the UN SDG ㅇ We choose a policy vision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A policy vision is a conceptual (paradigm) framework connecting science and policy, and present and future. Regarding the climate change, the land use change, enviro-, socio-, and economical aspects of soil and groundwater use of Korea and international trends, we choose the 3Hs (health, happiness, harmony) as the vision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policy. ㅇ As a new shifting paradigm of soil and groundwater security, the policy for the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s should focus on i) reducing human and ecological hazards, ii) improving adaptation ability to climate change,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hanges, iii) avoiding potential environmental risks to human health and welfare, soil ecosystems, and other environmental resources; and iv) restoring resilience to soil ecosystems and other environmental resources which may contribute to resolve the socio- and economical inequality ㅇ Based on the new paradigm shift policy, technologies and industries of soil sector is divided into nine areas: i)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technology, ii) soil functional recovery technology, iii) soil erosion prevention and restoration technology, iv) soil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securing biotechnology, v) soil quality (soil organic matter etc.) management technology, vi) soil sealing management technology, vii) soil acidification and salinization prevention technology, viii) Land slide evaluation and prevention technology; ix) Law, institution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ㅇ Technologies and industries of he groundwater sector is divided into five areas: i) precautionar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groundwater quality (and groundwater-dependent ecosystems), ii) policy development for enhancing groundwater-use value, iii) policy development for managing contaminated groundwater, iv) promotion of industry upbringing and technology development related groundwater quality, and v) enhancing infrastructure of groundwater quality management (and groundwater-dependent ecosystem) ㅇ Based on the new paradigm, a roadmap was developed for suitable and better legislation and institutional appropriates, technologies, and industries of soil and groundwater. The roadmap divides the next 10 years into the short term (2018 ~ 2020), the middle term (2021 ~ 2023) and the long term (2024 ~), and shows detailed contents of future policies, technologies, and industries needed. Ⅴ. Business Application Based the Outcomes ㅇ a benchmarking education and advertizing material for whom is involved in policy, technology, and industr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ㅇ complementing the mid- and long-term strategy and planning of soil groundwater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and utilize to find out policy and research areas (to prepare materials for precautionary and strengthening integrated and the nexus policies)

Table Of Contents

1.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연구개발 목적
1-2. 연구개발의 필요성
1-3. 연구개발 범위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1. 해외 기술개발 현황
2-2. 국내 기술개발 현황

3. 연구수행 내용 및 결과
3-1. 연구개발의 내용(범위) 및 최종목표
3-2. 연구개발 결과 및 토의
3-3. 연구개발 결과 요약

4.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 기여도
4-1. 목표달성도
4-2. 관련분야 기여도

5. 연구결과의 활용계획

6. 연구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 연구개발결과의 보안등급

8. NTIS에 등록한 연구시설·장비 현황

9. 연구개발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실 등의 안전조치 이행실적

10. 연구개발과제의 대표적 연구실적

11. 기타사항

12. 참고문헌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