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백두산 분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발전방향 제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박숭환 -
dc.contributor.author 이명진 -
dc.contributor.author 이전희 -
dc.contributor.author 이정호 -
dc.contributor.author 정형섭 -
dc.date.accessioned 2017-08-03T02:20:40Z -
dc.date.available 2017-08-03T02:20:40Z -
dc.date.issued 20150630 -
dc.identifier.citation 환경정책연구 : 제14권 제2호 (통권45호) 2015년 여름 149-170 p. -
dc.identifier.issn 1598-758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125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1/016/7_국내_백두산_분화_관련_연구_동향_분석_및_향후_발전방향_제시.pdf -
dc.description.abstract 현재까지 수행된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연구방향 정립에 근거자료를 제시하고 향후 연구발전방향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국내 백두산 관련 연구 현황을 연구 문헌 인벤토리로 정리하였다. 1980년대부터 2014년까지 총 34년간의 225건의 백두산 연구 문헌 정보를 수집하여 연구 분야, 연구내용 및 방법 등을 정리하여 문헌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인벤토리 기반으로 현재까지 개별 기관에서 진행된 국내 백두산 연구의 동향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백두산 관련 연구는 2010년 이전 69건, 2010년 이후 156건으로 2010년 들어 활발히 수행된 것으로 나타났다. 백두산 분화 감시예측 연구가 54.7%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또한, 백두산이라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연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GNSS 및 원격탐사 기반의 공간정보의 활용도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에 따라 감시예측 분야 주무기관인 기상청 및 국립기상과학원의 연구보고서를 대상으로 연구방법, 활용자료를 중심으로 하는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를 구축하였다. 공간정보 활용 문헌의 인벤토리 분석결과 감시예측 관련연구가 81.6%를 차지하였으며, 공간정보자료 활용 연구가 54.7%로 나타났다. 그러나 백두산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20.1%에 그쳐 향후 실제 백두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 중 백두산 분화와 관련된 공간정보를 직접적으로 활용 가능한 시스템이 구축이 된다면, 기존 백두산 관련 산재된 정보를 공동으로 활용하여 예상되는 연구비용 및 분석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향후 백두산 관련 연구의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여 보다 효율적인 연구의 한 축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주제어] 백두산, 연구 문헌 인벤토리, 공간정보 활용 문헌 인벤토리, 감시예측 -
dc.description.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figure out the research direction and information regarding Mt. Baekdu in Korea through analyses of the research field and trends. Firstly, we made inventory of journal papers, conference proceedings, and research reports published related to Mt. Baekdu. A total of 255 data, spanning the 34 years from the 1980s to the middle of 2014, were acquired and classified into categories according to the year, field, contents and study area. Results show that research on Mt. Baekdu has been performed more than twice since 2010 and study regarding prediction has been carried out in 54.7% cases.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order to study Mt. Baekdu. Secondly, we made and analyzed a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inventory of 234 detailed research contents in research reports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KMA) and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NIMR). Statistics on categories show that research regarding prediction accounted for 81.6% of cases and the study of geo-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accounted for 54.7% of cases. However, the focus on studying the Mt. Baekdu region accounted for only 20.1% of cases. Thus, this indicates that it is necessary to do research at Mt. Bakdu itself. If the directly available 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is developed related to Mt. Baekdu, it will save research costs and analysis time. This study can be used to manage information about the research field of Mt. Baekdu by analysing inventory of research references and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inventories when the Mt. Baekdu area is the focus of future research. [Keywords] Mt. Baekdu, Inventory of Research References, Geospatial Information using Inventory, Prediction and Monitoring -
dc.format.extent 149-170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국내 백두산 분화 관련 연구 동향 분석 및 향후 발전방향 제시 -
dc.title.alternative A study on the research trend and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Mt. Baekdu in Korea -
dc.type 환경정책연구 -
dc.identifier.citationtitle 환경정책연구 -
dc.identifier.citationvolume 제14권 제2호 (통권45호) 2015년 여름 -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환경정책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