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 활성화지역 노후건물의 재정비 시나리오별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송지윤 -
dc.date.accessioned 2018-05-15T00:57:32Z -
dc.date.available 2018-05-15T00:57:32Z -
dc.date.issued 20171211 -
dc.identifier A 환1185 WP2017-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09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12/006/기초2017_07_송지윤.pdf -
dc.description.abstract 도시재생 뉴딜정책이 시행됨에 따라 우리나라는 전국적으로 쇠퇴한 도시 지역을 중심으로 도시재생 사업이 추진될 것이다. 그리고 이 중 많은 곳에서 물리적 정비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도시재생 사업과 관련한 논의와 연구는 대부분 도시재생을 통한 지역살리기나 경제활성화와 같은 경제적인 문제, 그리고 젠트리피케이션 등의 사회적인 불평등 문제에 국한되어 있다. 지속가능한 도시를 만들기 위해서는 경제, 사회적 문제뿐 만 아니라 환경적인 문제도 통합적으로 고려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노후건물의 재정비에 따른 환경부하 발생량을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향후 정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을 위한 물리적 정비사업 추진 시, 노후건물 정비 시나리오별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노후건물 정비의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및 모델을 검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먼저 도시재생의 개념을 정리하고 도시재생 사업에서의 물리적 정비 범위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일반적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해당 연구목적에 맞는 환경적 지속가능성의 개념에 대해 그 범위를 구체화하였다. 또한 건물 분야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국내외 정책을 조사하였다. 향후 도시재생 사업의 정책결정 도구로서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정의한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도구에 해당하는 세 가지 방법론, 즉 전과정평가, 물질흐름분석, 에머지분석에 집중하였다. 각 방법론의 개념을 정리하고 국내외 문헌을 조사하여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문헌을 검토 및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도시재생 사업에서 노후건물을 재정비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재정비 시나리오에서 발생 가능한 환경부하에 대해 고찰하였다. 그리고 각 방법론에 적합한 시나리오 설정 방법을 제안하였고, 이를 토대로 향후 관련 연구의 목적에 맞게 시나리오를 구체화하고 적절한 방법론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향후 도시재생의 환경적 지속가능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 도구 개발 연구의 기초연구로서 의의가 있다 하겠다. -
dc.description.abstract As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becomes effectiv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will be launched at the diminishing areas in Republic of Korea, and it is expected to include active physical development. However, previous discussion and studies related to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are limited to the economic issues such as community revit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as well as social inequity issues like gentrification. In order to make sustainable cities, the environmental matter should be considered simultaneously with the economic and social matters. Thus, tools to measure environmental load for refurbishment of the old buildings should be developed quantitatively and they should be utilized in the basis of further policies. This study is a basic research to evaluat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the rehabilitation scenarios of the old buildings as well as the physical refurbishment in the urban regeneration target area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review the literatures and models related to the evaluation of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bout the old building refurbishments. The study consists of the following contents. First, the concept of the urban regeneration and the investigation on the scope of the physical refurbishment are described. Second, review on the general concep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nd specific concept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hich suits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presented. Third, examinations o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for increasing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field of buildings are conducted. Fourth, to develop the evaluation model of the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 a further decision-making tool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s, this study focuses on the three methodologies: 1) Life Cycle Assessment (LCA), 2) Material Flow Analysis (MFA) and 3) Emergy Analysis. The concept of each methodology is summarized and the study also includes the reviews and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documents in conformity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Lastly, the study suggests the scenarios for rehabilitating the old building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and investigates possible environmental loads in the rehabilitation scenarios. Moreover, the study suggests how to set scenarios for each methodology. The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the evaluation tools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in the urban regeneration areas in the futur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 범위 및 방법 <br><br>제2장 도시재생 사업에서 물리적 정비 범위 <br>1. 도시재생 정의 <br>2. 물리적 정비 범위 <br> 가. 물리적 재생과 정비사업의 유형 <br> 나. 정비 관련 용어 정의 <br><br>제3장 노후건물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연구 및 정책 <br>1.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개념 <br>2. 노후건물의 환경적 지속가능성 향상 관련 계획 및 정책 <br><br>제4장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방법론 연구 <br>1. 전과정평가(Life Cycle Assessment) <br> 가. 전과정평가의 개념 및 방법 <br> 나. 건축 및 건설분야 전과정평가 선행연구 <br>2. 물질흐름분석(Material Flow Analysis) <br> 가. 물질흐름분석의 개념과 방법 <br> 나. 도시 및 건축분야의 물질흐름분석 동향 <br>3. 에머지분석(Emergy Analysis) <br> 가. 에머지분석의 개념과 방법 <br> 나. 도시 및 건축분야 에머지분석 선행연구 <br>제5장 도시재생 사업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 시나리오 및 평가방법 <br>1. 노후건물 재정비 시나리오 <br>2. 도시재생 사업에서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방법론 고찰 <br><br>참고문헌 <br><br>Abstract -
dc.format.extent 6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도시재생 -
dc.subject 지속가능성 평가 -
dc.subject 전과정평가 -
dc.subject 물질흐름분석 -
dc.subject 에머지분석 -
dc.subject 지속가능성 -
dc.subject 환경관리 -
dc.subject 지속가능한 도시 -
dc.subject Urban regeneration -
dc.subject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sessment -
dc.subject Life cycle assessment -
dc.subject Material flow analysis -
dc.subject Emergy -
dc.subject Sustainability -
dc.subject Environmental management -
dc.subject Sustainable city -
dc.title 도시재생 활성화지역 노후건물의 재정비 시나리오별 환경적 지속가능성 평가를 위한 기초연구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Basic research for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assessment of scenarios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old buildings in urban regeneration areas -
dc.title.partname Working Paper -
dc.title.partnumber 2017-07 -
dc.description.keyword 환경평가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on S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