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능형 화학물질 유해성 심사체계 도입 기반 연구(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최진희 -
dc.contributor.author 박정규 -
dc.contributor.other 신용승 -
dc.contributor.other 서양원 -
dc.contributor.other 정다운 -
dc.contributor.other 간순영 -
dc.contributor.other 윤성지 -
dc.contributor.other 공현숙 -
dc.contributor.other 배희경 -
dc.contributor.other 이승규 -
dc.contributor.other 박명주 -
dc.contributor.other 박연정 -
dc.contributor.other 이보람 -
dc.contributor.other 김혜진 -
dc.contributor.other 정조은 -
dc.contributor.other 정재성 -
dc.contributor.other 김영호 -
dc.contributor.other 김지완 -
dc.contributor.other 배수용 -
dc.contributor.other 임창원 -
dc.contributor.other 정혜린 -
dc.contributor.other 김보경 -
dc.contributor.other 김민종 -
dc.contributor.other 선현석 -
dc.contributor.other 조성철 -
dc.date.accessioned 2019-09-09T19:30:11Z -
dc.date.available 2019-09-09T19:30:11Z -
dc.date.issued 20181126 -
dc.identifier A 환5210 2018-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59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5/027/지능형_화학물질_유해성_심사체계_도입_기반_연구_박정규.pdf -
dc.description.abstract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1) 첨단 생명과학, 정보과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물질의 신규시험법(NAM) 개발 동향 파악, 2) 미국 규제 기관 연합의 대규모 연구인 Tox21/ToxCast, 유럽의 SEURAT 등의 연구 성과 분석, 3)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인식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화학물질 독성예측 분야 분석 등의 결과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의 활용 방안을 모색하고 화학 물질의 유해성 평가에 새로운 과학기술과 연구결과를 접목한 지능형 심사체계를 도입하기 위한 조사 연구 추진 및 단계별 세부 추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과업의 범위) ? OECD, EU, 미국 등 선진국의 화학물질 유해성 평가, 규제 분야에서 현재 또는 미래 과학 도구(tool)로 추진하고 있는 새로운 화학물질 평가 방법론 조사 및 동향 분석 ? 현행 국내 화학물질 규제분야와 관련한 독성 연구·평가 분야의 기술·인력 기반, 연구 현황에 근거하여 선진국의 추진사례가 제시하고 있는 시사점과 지향점 등 도출 ? 최신 화학물질 평가방법론과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지능형 화학물질 심사·평가 체계 도입을 위해 추진해야 하는 단계적 연구 분야 및 세부 추진과제 도출 ? 인공지능과 새로운 과학기술을 연계하는 지능형 화학물질 평가체계 구축을 위한 포럼 구성 및 운영 (연구내용) ? 국내 유해성 심사체계 진단 ? 유해성 심사체계 및 규제현황 조사 ? 유해성 심사 및 평가체계 개선안 ? 화학물질 평가기술 및 연구현황 조사 ? 화학물질 평가방법론 및 로드맵 제시 (결론) 화학물질 규제 강화로 인해 급격히 증가한 독성시험 수요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화학물질 등록평가 체계는 IT, BT 등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바뀌고 있는 독성평가의 패러다임을 반영 하지 못하고 있다. 선진국을 중심으로 다양한 신규시험법들이 개발되고 화학물질의 규제에 활용하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는 만큼, 이 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지 못할 경우 기술 종속의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 첨단 생명과학, 정보과학 기술을 이용한 화학물질 의 신규시험법(NAM) 개발 동향 파악, 2) 미국 규제 기관 연합의 대규모 연구인 Tox21/ToxCast, 유럽의 SEURAT 등의 연구 성과 분석, 3)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 기술 중 하나로 인식되는 인공지능을 활용한 화학물질 독성예측 분야 분석 등의 결과를 통해 이러한 기술들의 활용 방 안을 모색하고 화학물질의 유해성 평가에 새로운 과학기술과 연구결과를 접목한 지능형 심사체 계를 도입하기 위한 조사 연구 추진 및 단계별 세부 추진 과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업무 수행을 위해 유해성 심사체계 개선 부분과 화학물질 평가방법론 개선 부분으로 구분하여 업무를 수행하였다. 유해성 심사체계 개선 부분에서는 유해성 심사체계를 진단하고 국외 유해성 심사체계 및 현황을 조사하고 조사된 내용을 바탕으로 국내 유해성 심사체계 개선사항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 유해성 심사체계의 정확한 현황 파악 및 실질적인 개선사항 도출을 위해 관련기관 담당 자와 컨설팅 기관. 산업체를 대상으로 Interview를 진행하여 각 분야의 의견을 파악하였으며, 국외 현황 확인 및 분석을 통해 현 시점에서 국내 유해성 심사체계에 필요한 사항을 도출하 였다. 크게 4가지의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과제를 기반으로 로드맵을 마련하였다. 화학물질 평가방법론 개선 부분은 본 연구를 통해 고속대량스크리닝, 오믹스, 인공지능 등 첨단 화학물질 독성평가 기술과 미국, 유럽, OECD 등 선진국 및 국제기관을 중심으로 관련 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독성 메커니즘 기반 화학물질 등록평가 체계 구축, 인공지능 활용 화학물질 등록평가 체계 구축, 신규시험법 (NAM) 활용 화학물질 등록평가 체계 구축, 지능형 플랫폼을 사용한 화학물질 등록 데이터 간소화 방안 마련연구에 대한 중장기 로드맵을 제안하였다. 유해성 심사체계 개선 및 화학물질 평가방법론에 대해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로드맵은 장차 국내 화학물질 관리의 기반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1장. 연구개요<br>1절.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br>2절. 연구의 목적<br>3절. 연구의 범위 <br><br>2장. 연구내용 및 방법 ? 유해성 심사체계 개선 <br>1절. 국내 유해성 심사체계 진단 <br>2절. 유해성 심사체계 및 규제현황 조사<br>3절. 유해성 심사 및 평가체계 개선안 <br>4절. 전문가 포럼 운영 <br><br>3장. 연구내용 및 방법 ? 화학물질 평가방법론 개선 <br>1절. 화학물질 평가기술 및 연구현황 <br>2절. 화학물질 평가방법론 및 로드맵 제시 <br><br>4장. 결론 <br><br>참고문헌 <br>부록 1. REACH 등록서류 분석보고서 -
dc.format.extent 17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국립환경과학원 -
dc.title 지능형 화학물질 유해성 심사체계 도입 기반 연구(Ⅰ) -
dc.typ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department 한국환경정책ㆍ평가연구원 -
dc.description.keyword 환경보건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affiliation 중앙대학교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