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적응 요소를 고려한 토지·건물정보 제공방안 연구

Title
기후적응 요소를 고려한 토지·건물정보 제공방안 연구
Authors
신지영
Co-Author
박현주; 배채영; 김태현; 장훈; 이은석; 한우석; Christoph Sch?nemann; Reinhard Schinke; Regine Ortlepp
Issue Date
2019-10-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9-08
Page
195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847
Language
한국어
Keywords
기후변화 영향, 기후적응 정보, 기후적응 인식, 토지, 건물, Climate Change Impacts, Climate Adaptation Information, Awareness of Climate Change Adaptation, Land, Buildings
Abstract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ㅇ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 이변으로 재난 발생의 빈도, 피해의 크기, 불확실성 증대 - 호우, 대설, 풍랑, 강풍, 태풍, 지진 등으로 인한 인명, 침수, 건물, 선박, 농경지, 농작물, 공공시설, 사유시설 등의 피해액은 2017년 기준 약 1,873억 원 정도 ㅇ 도시화에 따른 인구 집중으로 토지·건물을 집약적으로 이용함에 따라 반지하 주택이나 급경사지 개발 등이 늘어나면서 기후재난 피해 발생 □ 국내 관련 부처 및 주요 관련성 ㅇ 제2차 국가기후변화적응대책(’16-’20) 세부시행계획(I-4-4-4) 이행에 대한 필요성 제기 - 2020년 추진계획에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적응력·회복력 평가·증명 거래 제도화(안) 마련” 명시 ㅇ 환경부·국토교통부 ?국토계획 및 환경보전계획의 통합관리에 관한 공동훈령? 시행(’18.3.28) - 통합관리를 위해 양 계획에 연계·반영해야 할 사항 규정(제8조): 기후변화·에너지 □ 연구 목적 ㅇ 토지 및 건물정보에 기후변화 적응 정보를 포함하기 위한 기반을 구축함으로써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적응력 강화 도모 및 기후변화 주류화 기반 마련 - 기후변화 적응 관점에서 토지·건물이 갖추어야 하는 요소 및 관련 정보현황을 조사·분석 - 정책수용성을 고려한 토지·건물의 기후적응 요소 관련 정보 제공방안 제시


□ Background and necessity of research ㅇ Increase in frequency of disaster occurrence, magnitude of damage and uncertainty due to extreme weather caused by climate change ㅇ Due to the intensive use of land and buildings with the concentration of population and urbanization, the development of semi-underground houses and steep slopes has increased, resulting in damage from climatic disasters □ Domestic ministries and major relevance ㅇ The necessity of implementing the Second National Climate Change Response Plan (’16 -’20) (I-4-4-4) has been raised - “Institutionalization of land and buildings’ climate change adaptability, resilience assessment, and proof trading” was proposed for 2020 plan ㅇ The Ministry of Environment and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implemented the Joint Order on Integrated Management of National Land and Environmental Conservation Plans - Matters to be linked and reflected in both plans for integrated management (Article 8): Climate Change and Energy □ Purpose of research ㅇ Build a foundation to include climate change adaptation information in land and building information to enhance the adaptability to climate change, and lay a foundation for mainstreaming climate change - Investigate and analyze factors that land and buildings should have in terms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nd related data - Propose providing information on climate adaptation factors of land and buildings in consideration of policy acceptability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제2장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
1. 관련 개념
2.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영향
3.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적응 관련 연구 동향
4. 소결

제3장 토지·건물 대상 기후변화 적응 정보 현황 파악
1. 토지·건물 대상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및 정보 현황
2. 토지 관련 정책 및 정보 현황
3. 건물 관련 정책 및 정보 현황
4. 소결

제4장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적응 요소 및 관련 정보 도출
1.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회복력 적용 사례
2. 토지·건물의 기후변화 적응 요소 및 관련 정보

제5장 기후적응 요소를 고려한 토지·건물정보 제공방안 마련
1. 토지·건물의 기후적응 정보 제공 인식 및 수용성
2. 토지·건물의 기후적응 정보 제공방안

제6장 결론 및 제언
1. 연구 요약 및 정책 제언
2. 연구한계 및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Ⅰ. 기후적응 요소를 고려한 토지·건물정보 제공에 대한 국민수용성 설문지
Ⅱ. Climate Change Protection and Adaptation in Germany regarding Summer Heat Waves and Heavy Rainfall
Ⅲ. 독일의 폭우 및 폭염에 대한 기후변화 적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