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정립 방안

Title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정립 방안
Authors
최희선
Co-Author
안소은; 이후승; 송슬기; 이길상; 권용석; 이상민; 정해준; 최정석
Issue Date
2019-10-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19-02
Page
216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2887
Language
한국어
Keywords
도시공원, 녹지공간, 그린인프라, 자연공간, 도시기반시설, Urban Parks, Green Area, Green Infrastructure, Nature Space, Urban Infrastructure
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도시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도시공원 일몰제’의 위기 속에서도 공원녹지의 가치 및 중요성이 강조됨에 따라 기존 정책의 개선 및 연계 필요성 증대 ㅇ 도시 공원녹지계획의 합리성 확보 차원에서 도시공원의 가치와 기능의 제고를 통해 도시공원 및 녹지의 유형, 대상, 조성기법 등의 개선 방안 도출 필요 ㅇ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 차원에서 관련 주체(중앙정부, 지자체, 소유자, 민간기업, 시민 등)의 역할과 조성 및 관리·활용 체계 등 다각적 측면에서 개선 및 연계 모색 필요 ? 현 공원녹지 정책의 한계와 문제점을 점검하고 미래 도시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공원녹지 정책의 재편 방향 모색 ㅇ 도시 공원녹지와 관련된 국토교통부, 환경부, 산림청, 농림축산식품부 등의 관련부처 간 상호 연계 및 통합적 접근을 통해 정책 추진의 효율성을 높이는 정책대안 제시 Ⅱ.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 ?조선시가지계획령(1934)?을 시작으로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2005)?까지 제도권의 편입과 관련 규정의 신설, 법적 독립 등을 거치면서 변천 ㅇ 급격한 경제성장 시기에는 공원녹지가 개발유보지로 인식되었으나, 이후 환경과 도시의 지속가능성 등의 가치를 지향하며 보다 적극적인 공원녹지 정책 수립 ㅇ 현대에는 도시공원에 대한 개념을 새롭게 규정하고 다양한 제도를 도입함으로써 도시재생, 재해로부터 안전한 도시, 아름다운 도시공간 조성, 시민참여 등을 지향 2.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 관련 부처들의 협력 하에 도시 내 전반적인 오픈스페이스를 검토하여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도시공원과 녹지의 통합적 관리 필요 ㅇ 국토교통부: 도시 시설 중심의 공원녹지에서 구역 등 자연지역으로 범위 확대 ㅇ 환경부: 보전지역 중심에서 보전과 이용을 고려한 도시지역으로 확장(자연공원) ㅇ 농림부/산림청: 도시숲, 도시농업 등 도시지역으로 공간적 영역 확대 및 기능 다양화 ㅇ 범부처 차원에서 환경, 삶의 질을 위한 생활SOC/복지공간으로서의 공원정책 강조 Ⅲ.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 SDGs(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LULUCF(Land use, Land use change and forestry), 미래도시의 변화, 공원녹지의 가치 및 기능 측면에서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에 시사점 제시 2. 해외사례를 통해 본 시사점 ? 영국, 일본, 독일, 호주 주요 4개국의 공원녹지 관련 정책과 법, 조성 현황 등을 살펴보았으며, 각국의 주요 특징을 기반으로 시사점 제시 ㅇ 환경 및 여건 변화로 공원녹지에 대한 필요성 증대에도 불구하고, 도시 내 개발가용지의 수요 증가로 공원녹지 확대에 한계 존재 ㅇ 공원녹지의 환경·생태적 기능뿐 아니라, 사회적·경제적 측면이 고려된 공원녹지 유형 및 조성방안 모색 증대 ㅇ 대부분 국가(연방정부) 차원, 광역(연방주정부) 차원에서는 큰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지자체 차원에서는 권한과 책임에 기반한 정책 및 사업추진력 확보 노력 ㅇ 공원 조성뿐 아니라 조성 후 유지관리 비용 고려 및 최소화를 위한 기법 모색 필요 ㅇ 민간기업 참여수준의 적절한 검토 및 유지관리에 참여할 수 있도록 역할 확대 ㅇ 공원 조성, 유지관리 등에 지역주민의 자발적 참여 유도 및 확대 추세


Ⅰ. Background and Purpose ? Due to the emphasis on the value and importance of parks and green areas in terms of urban sustainability, there is a need to improve current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enhance connections ㅇ Investigate areas for improvement, such as types of urban parks and green areas, subjects, and development methods in order to secure rationale for parks and green areas plans ㅇ Investigate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methods of urban parks from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roles of related organizations (central government, local communities, owners, private and public enterprises, citizens) and improve these methods ? Inspect the current limitations and problems of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find ways to improve the policies to secure future urban sustainability ㅇ Look comprehensively for political alternatives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political movements and mutual connections among the department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policies Ⅱ. Investigation of Current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1. Changes in laws and policie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in Korea ? Starting from the “Ordinance on the City Plans of Joseon (1934)” to the current “Act on Urban Parks, Green Areas, etc. (2005),” new policies, legal independence, and implementation of systems have led to changes in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ㅇ Although development plans were held off for green areas during the times of rapid economic growth, more active policies on parks and green areas were formulated to secure urban and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ㅇ In the present, there is a focus on urban regeneration, developing safe cities free from disasters and aesthetically pleasing urban areas, and encouraging citizen participation by redefining the concept of urban parks and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related to them 2. Analysis of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by various departments ? Need of a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 for urban parks and green areas by reviewing open spaces in general within the cities under the cooperation of related departments ㅇ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Expand the current range of parks and green areas now centering around the urban facilities to regions including natural areas ㅇ Ministry of Environment: Expand the current preserved areas to urban areas for their preservation and public use (e.g., natural parks) ㅇ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Korea Forest Service: Expand spatial areas such as urban forests and urban agricultural lands into cities and diversify their functions ㅇ All organizations should emphasize park policies in terms of environment and lifestyle SOC for improvement in quality of life and welfare space Ⅲ.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and Foreign Examples 1. Research and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 Provide implications for a paradigm shift in understanding the values and functions of parks and green area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land use, land-use change and forestry (LULUCF), and changes in future cities ㅇ Reinforce functions of parks and green areas in terms of safety,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and securing resilience; develop parks considering women, children,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o realize an inclusive society ㅇ Discover locations for possible green space and develop green technology to increase the amount of greenhouse gas absorption ㅇ Investigate a transition to a natural use of land due to decreasing populations and meet the demands and secure management efficiency through smart parks 2. Implications from foreign examples ? Investigate policies and laws related to parks and green areas and the development statuses of four countries: Britain, Japan, Germany, and Australia. Derive implications based on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each country ㅇ Despite the need to improve parks and green areas due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there is an increase in demand for land for development within cit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overcome limitations in improving the parks and green areas ㅇ There should be investigations on the types of parks and green areas and developmental methods that consider not only their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s but also their social and economic aspects ㅇ Generally, the government at the national (or federal) and regional (state government) levels should clearly set the overall directions, while the local governments should establish policies and programs based on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ㅇ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methods for not only developing the parks but also considering and minimizing the maintenance costs after development ㅇ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level of participation in the management of parks to public and private enterprises ㅇ It is necessary to encourage and expand voluntary participation from citizens in the development and management stages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추진체계 및 방법

제2장 공원녹지 관련 정책현황 고찰
1.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의 변화
2. 도시공원 및 녹지의 조성현황
3. 부처별 공원녹지 관련 법률 및 정책 분석
4. 기존 문헌에서의 공원녹지 정책 고찰
5. 소결 및 시사점

제3장 관련문헌 및 해외사례 분석
1. 관련문헌 조사 및 분석
2. 해외사례 조사 및 분석
3. 소결 및 시사점

제4장 지속가능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안
1. 공원녹지 패러다임 전환의 원칙 및 방향 설정
2. 도시 공원녹지의 개념 확대 차원
3. 도시 공원녹지의 질적 개선 차원
4. 도시 공원녹지 조성·운영 다각화 차원
5. 도시 공원녹지 관리기반 확보 차원
6. 도시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공원녹지 정책 재정립 방향 종합

제5장 결론 및 제언
1. 결론 및 고찰
2. 향후 발전방향 및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