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환경협력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Title
국제환경협력 로드맵 수립을 위한 기획연구
Authors
김호석
Co-Author
이현우; 박준희; 정성운; 김이진
Issue Date
2020-04-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20-01-04
Page
98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039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지속가능발전, SDGs, 환경 ODA, 신남방정책, Sustainable Development, SDGs, Environmental ODA, Korea’s New Southern Policy
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증가하는 국제환경협력 수요에도 불구하고 원 차원에서 국제협력사업의 방향과 우선순위가 부재하여 활동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 ㅇ 이에 주요 국제환경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국제환경협력 수요를 선제적으로 파악하고,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국제협력방안을 마련하여 우리나라의 국제협력의 성과를 극대화하는 데 기여할 필요가 있음 q 우리 원의 국제환경협력 방향 설정, 우선순위 사업분야 및 연구주제 발굴, 단계적 협력방안 제시 등 종합적인 국제환경협력 로드맵을 수립하는 것이 연구 목적 ㅇ 본 연구를 통해 주요 국제환경 이슈 및 트렌드 분석을 통해 국제환경협력 수요를 파악하고, 우리나라의 국제환경협력 현황 전반에 대한 점검을 통해 국내외적 수요와의 격차를 분석하여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전략적인 국제협력방안을 모색 Ⅱ. 기존 연구현황 및 한계 q 국제협력 부문에서 수행한 연구 또는 사업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기관의 실적 및 주요 부처별 국제협력 수요와 함께 살펴본 결과, 몇 가지 한계점이 도출되었음 ㅇ SDGs, 유엔환경총회(UNEA: UN Environment Assembly) 등 지구적 의제 및 협력 프로세스에 대한 지원 및 참여가 부족 ㅇ 국제공동연구 확대를 위한 체계적 노력이 부족 ㅇ 신남방, 신북방 등 정부의 대외정책과 연계가 부족 ㅇ 국제개발협력 부문에 대한 지원과 환경 분야의 신규 ODA 사업 발굴이 부족 q 시사점 ㅇ 글로벌 의제 및 협의체 참여 지원 ㅇ 국제공동연구 발굴 ㅇ 국가 대외정책과 연계 ㅇ 국제개발협력 제고 지원 Ⅲ. 포럼 주요내용 1. 포럼 개요 q 국제환경협력에 대한 부처별,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등의 수요를 파악하고, 국제협력 현황을 점검하기 위해 국제·북한협력연구실장이 주축이 되어 전문가로 구성된 포럼을 총 4회 운영 ㅇ 제1차 포럼에서는 KEI의 경영목표 및 비전에 따른 국제협력업무 목표와 현황, 운영 조직, 국제협력업무 유형을 논의 ㅇ 제2차 포럼에서는 경제인문·사회연구회 소속 연구기관 중에서 STEPI, KIEP의 국제협력 담당자를 초청하여 우리나라 개발원조의 현황 및 개선할 점을 함께 논의하였다. 이와 더불어 국제협력업무와 예산이 중복되는 것을 방지하고 시너지 효과를 도모하기 위해, 경사연이 주도로 구성된 글로벌코리아포럼 활용방안에 대해서도 논의 ㅇ 제3차 포럼에서는 원내 국제협력업무 중에서도 ODA를 중심으로 그 현황과 향후 추진방안에 대해 토론 ㅇ 제4차 포럼에서는 환경부가 설립을 준비하고 있는 국제환경협력센터의 목적과 향후 활동을 전망 2. 포럼주제 및 내용 q 제1차 포럼 ㅇ 일정: 2019.7.10.(수), 13:30~15:30 ㅇ 발표주제: KEI 국제협력업무 현황과 발전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김호석 국제·북한협력연구실장, 박준현 전문연구원 (토론자)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기타(기후변화적응센터장, 국토정책평가실장, 기획전략부장, 통합물관리연구실, 환경계획연구실, 성과관리실, 디지털소통협력팀) q 제2차 포럼 ㅇ 일정: 2020.1.10.(금), 14:00~16:00 ㅇ 발표주제: 경사연 및 소속기관의 국제협력 전략과 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송치웅 STEPI 부원장 (토론자) 정지원 KIEP 개발협력팀장,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미래전략팀장 q 제3차 포럼 ㅇ 일정: 2020.1.22.(수), 14:00~16:00 ㅇ 발표주제: KEI 국제협력업무 현황과 추진방향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송영일 국가기후변화적응센터 선임연구위원, 이병권 국토정책평가실장 (토론자) 임원실, 국제·북한협력연구실 q 제4차 포럼 ㅇ 일정: 2020.3.11.(수), 14:00~16:00 ㅇ 발표주제: 국제환경협력센터 유치 관련 주요 이슈 및 준비사항 ㅇ 발표 및 토론자: (발표자) 김호석 (토론자) 임원실, 송영일, 추장민 Ⅳ. 결론 및 제언 1. 정책연구의 목표 및 추진방향 q 정책연구의 목표 ㅇ 국제공동연구 확대를 통한 연구역량 제고 ㅇ 유엔환경총회(UNEA) 및 다자간환경협약(MEAs) 국가 이행 지원 ㅇ SDGs 이행 및 국제개발협력 전략에 연계된 환경 ODA 지원 ㅇ 국제적 성과 확산 및 네트워킹 강화 q 추진방향 ㅇ 글로벌 환경 이슈에 대응하기 위한 국제공동연구 확대 ㅇ 권역·지역별 환경 현안 해결에 기여하고 협력을 촉진하는 연구 강화 ㅇ 다자간환경협약의 적극적 대응을 위한 동향 파악 및 추진방향 모색 ㅇ 개도국의 환경 ODA 사업 발굴 및 SDGs 이행 지원 2. 추진방안 q 주요 과제 ㅇ 지속가능발전 공동연구 확대 ㅇ 미세먼지, 폐기물, 기후변화 분야 국제공동연구 확대 ㅇ 지역 환경 이슈 대응을 위한 협력 강화 ㅇ 중점협력국 환경 ODA 사업 발굴 ㅇ 개도국 SDGs 이행 지원을 위한 환경 분야 ODA 강화 ㅇ 다자간환경협약 국가 이행 강화 및 세계환경협약 등 다자간환경협약 개편 논의 대응


Ⅰ. Background and Aims ? There is a lack of strategic direction and prioritization of activities in responding to an increasing demand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ㅇ It is needed to support the enhancement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by addressing an increasing demand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and developing systemic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nthetic roadmap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ncluding a strategic direction, prioritized work areas and research topics, and step-by-step cooperation plans. ㅇ This study assesses need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by reviewing international environmental issues and trends, and explores systemic and strategic international cooperation options to improve the KEI’s performance by examining the gap between current and desired practices. Ⅱ. Current State and Limitations ? This study reviewed the KEI’s research works and projects in the area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comparison with the ones conducted by the member institutions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and the demand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related ministries to identify the following limitations. ㅇ Limited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global agendas and collaboration processes, such as the 2030 Agenda and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UNEA) ㅇ Lack of systemic efforts to extend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ㅇ Insufficient linkages with the national foreign policies, such as the New Southern Policy and the New Northern Policy ㅇ Insufficient supports for inter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and new environmental ODA projects ? Implications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strategy ㅇ Strengthening support for participation in the global agendas and collaboration processes ㅇ Furthering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ㅇ Enhancing linkages to the national foreign policy initiatives ㅇ Supporting the enhancement of Korea’s development cooperation Ⅲ. KEI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Forum ? The three fora were organized as part of the project, which examined the demand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 The First Forum ㅇ The first forum was held on the 10th of July 2019. ㅇ The theme was ‘The KEI’s International Cooperation: Current State.’ ㅇ The speakers were Hoseok Kim (KEI) and Junhyun Park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Current state of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line with the KEI’s goals, vision, and governance ? The Second Forum ㅇ The second forum was held on the 10th of January 2020. ㅇ The theme was ‘Strategy and directions for international cooperation of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and its member institutions.’ ㅇ The speaker was Chi-Ung Song (Vice president,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i) The state of Korea’s development aid and future directions and ii) potential roles of the Global Korea Forum established by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for Econom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NRC) in creating synergies among the international cooperation activities of its member institutions ? The Third Forum ㅇ The third forum was held on the 22nd of January 2020. ㅇ The theme was ‘The KEI’s International Cooperation: Future Directions.’ ㅇ The speakers were Young-il Song (KEI) and Byeong-kwon Lee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The KEI’s ODA-related activities and future directions ? The Fourth Forum ㅇ The fourth forum was held on the 11th of March 2020. ㅇ The theme was ‘Hosting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Issues and Preparedness.’ ㅇ The speaker was Hoseok Kim (KEI). ㅇ Summary and key findings: The goals and prospects of the Center for International Environmental Cooperation of the Ministry of Environment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s ? Objectives of policy research ㅇ To enhance research capacity through expanding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ㅇ To support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United Nations Environment Assembly and multilateral environmental agreements (MEAs) ㅇ To support the national implementation of the SDGs and the environmental ODA related to the national development cooperation strategy ㅇ To strengthen international outreach and global network ? Implementation strategy ㅇ Expand research collabor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ㅇ Expand international research collaboration in the areas of particulate matter, waste and climate change ㅇ Strengthen international cooperation to tackle regional environmental issues ㅇ Explore environmental ODA projects with core partner countries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연구개요
2. 연구의 범위
3. 연구의 주요내용 및 수행체계

제2장 연구현황 및 한계
1. 기존 연구현황
2. 한계 및 시사점

제3장 포럼 주요내용
1. 포럼 개요
2. 포럼일정 및 발표주제
3. 포럼발표 및 토론내용

제4장 중장기 연구목표 및 추진방안
1. 정책연구의 목표
2. 연구추진방향
3. 주요과제 및 추진방안
4. 중장기 연구계획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