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효율적 추진방향

Title
신재생에너지 확대와 미래 환경변화 대응을 위한 중장기 발전방향 :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현황과 효율적 추진방향
Authors
노태호
Co-Author
신경희; 이상윤; 지민규; 이후승; 강유진; 김명철; 안형근; 오봉록; 이유진; 정우식
Issue Date
2020-04-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환경평가를 통한 미래 환경의 국가 대응력 제고방안 마련 : 2020-04-02-03
Page
135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043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신재생에너지, 수상태양광발전, 지속가능발전, 전략환경평가, Renewable Energy, Floating Photovoltaic Solar Power, Sustainable development,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 (SEA)
Abstract
Ⅰ. 연구의 배경 및 목적 ㅇ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나 사회·환경적 측면에서의 논란이 부상하고, 지역별 수용성에 차이가 유발되는 등 정책의 효율적 추진에 어려움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임 ㅇ 지속가능발전의 패러다임으로서 국내외의 태양광사업은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입지선정 및 환경적 영향 등에 대한 각계의 입장이 상이하여 이로 인한 갈등의 해결방안 모색이 시급한 상황임 ㅇ 특히 원자력과 미세먼지 및 지구온난화를 초래하는 화석연료 문제의 해결을 위한 태양광·풍력 등의 신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시급하나 찬반의 다양한 의견이 상충하고 있음 ㅇ 이에 산지 등 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입지할 경우 소위 ‘녹녹(綠綠) 갈등’을 초래할 수 있어 지속가능한 신재생에너지 정책 대안의 모색이 긴요함 ㅇ 이러한 측면에서 지속가능한 이용을 목적으로 추진 가능한 가치를 지닌 신재생발전사업으로서 육상태양광 발전시설의 환경적 문제점을 보완하는 대안으로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조명할 필요성이 높음 ㅇ 그러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경우 장기간 사용에 따른 환경적 영향 및 안전성 등에 있어 불확실성이 상존하므로, 적정한 규모의 설계와 입지 적정성 확보를 위해서는, 물리적 안전성의 담보 및 장기간 노출이 수환경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에 대한 조밀한 검증을 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분석이 요구됨 ㅇ 따라서 환경성을 우선으로 하는 수상태양광 발전방안 원칙 수립 및 이행이 긴요하며, ‘안전한 환경관리 기반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 상용화’를 핵심가치로 하는 한국형 수상태양광 발전모델 개발로 국제 경쟁력을 확보하는 전략이 필요한 시기임 ㅇ 본 연구는 이러한 오류적 인식과 여론을 개선함과 동시에 상수원보호구역 등과 같이 규제성 환경법률로 보호받는 지역은 입지대상에서 제외하고, 법률적 제한을 받지 않는 담수역 활용을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등 ‘사전예방주의 원칙’에 입각하여 수상태양광 발전시설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됨 ㅇ 이를 위해 시급한 현안을 도출하고,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현황에 대한 인식을 재정리함으로써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함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둠 Ⅱ. 연구내용 ㅇ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의 연구진과 시민사회 진영, 산업계, 학·연구계 등 주요 이해당사자에 해당하는 전문가가 함께 현황을 진단함 -제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 및 의의를 설명하고 보고서의 구성 내용을 설명하였으며, - 제2장에서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추진의 문제점 및 극복방안을 위한 내용을 중점적으로 기술하였고 - 제3장은 사업추진의 효율화를 위한 제언을 담고 있으며, - 제4장은 본 보고서에서 논의된 주된 사항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이를 심화한 내용을 담고 있음 Ⅲ. 연구결론 ㅇ 산학연 및 시민사회단체 이해당사자들의 의견을 종합하여 볼 때, 현재 우리나라의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은 이제 초기 도입단계를 넘어 새로운 단계인 발전기로 도약할 시점에 이르고 있으며, 이를 위해 요구되는 최소한의 조건인 ‘이해당사자 간 인식의 공유’가 이루어져 있다는 결론을 도출함 ㅇ 그러나 입지적 특성을 고려한 수상태양광발전시설의 설치여부에 관한 사항은 아직까지 조정이 필요하고 추가적인 논의를 통해 입장을 좁혀야 할 부분이며, 장기적 영향에 대한 우려의 해소방안에 관해서는 완전한 합의를 이루지 못한 것으로 보임 ㅇ 본 연구는 각계에서 개선되어야 할 사항을 제시함으로써 수상태양광발전의 효율적인 추진방안을 위한 필요요건을 확인하였고, 필요요건을 충족하기 위한 개선방안과 현안을 도출한 의의를 지님 ㅇ 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어찌해야 할 것인가?”라는 화두를 극복한 상황에서 이제는 어떻게 수상태양광의 환경적 안전성과 사회적 수용성을 높이는 동시에 경제적 이익이 지역사회로 환류될 수 있는 구조적 기반을 구체적으로 마련해야 할지 고민해야 할 때라는 시사점을 확인하는 계기를 마련함 Ⅳ. 결론 및 정책 제언 ㅇ 무엇보다도 효율적인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추진을 위해 시급히 추진되어야 할 사항은 사업추진 시 쟁점화되었던 문제점들을 개선하는 것임 ㅇ 이를 위해 가장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방안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이와 관련한 절차 및 추진 제도를 큰 틀에서 개선하는 것임 ㅇ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장기적인 청사진을 재생에너지 기본계획의 틀에서 수립하고, 공청회 등을 통해 이에 대한 산학연 및 지역주민의 의견을 수렴하여 확정하고, 전략환경평가를 실시하여 환경적·사회적 포용성을 극대화하는 것임 ㅇ 즉,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을 큰 틀에서 사업 타당성 및 입지 적정성을 평가할 수 있도록 전략환경영향평가 대상으로 지정하는 방안을 적극 고려하는 것임 ㅇ 이를 위해서는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의 마스터플랜, 소위 ??수상태양광 발전 기본계획??이 우선 수립되어야 함 ㅇ 전략평가 단계에서는 환경부가 중심이 되어 마스터플랜의 적정성을 평가하고, 현재 100MW 이상으로 되어 있는 평가대상 규모를 조정, 10MW 이상 등으로 강화하여 환경영향평가 효용성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개선하는 것이 바람직함 ㅇ 특히 환경관리 운영지침을 포함하는 사후환경영향조사를 강화하여 생애주기를 고려한 운영 중 관리방안을 제도화한다면, 이를 통해 지역주민 이익공유를 위한 종합적 계획 및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의 완성도 제고가 가능함 ㅇ 결국 중앙정부의 관련부처와 수면관리자인 양 공사의 더욱 적극적인 사고의 전환과 추진의지가 필요한 단계로 진입하였다고 할 수 있음 ㅇ 도입기를 거쳐 발전기에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밑그림이 마련되고 시행되어야 다음 단계인 확장기 및 고도화 단계로 진입이 가능해짐 ㅇ 특히 무엇보다도 공공재로서의 기능이 그 아느 때보다도 커지고 있는 담수역에서의 사업은 더욱 그러함 ㅇ 발전시설이 계획될 때마다 개별적으로 반복되는 찬반논란과 장기간에 걸친 사업별 환경평가는 비효율적인 사업추진 방식임 ㅇ 환경적 안전성을 강화하고 국토 전반에 걸친 지속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발전기에 알맞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수상태양광 발전 기본계획(가칭)’을 마련하고 이에 대해 철저한 전략평가를 실시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고려하여야 함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ㅇ Although the new renewable energy expansion policy is in effect, controversy in terms of social and environmental aspects has emerged and differences in regional acceptability have led to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the policy efficiently. ㅇ As a paradigm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olar energy businesses at domestic and abroad are growing rapidly, but they are in urgent need of finding solutions due to different positions on location selection and environmental impact. ㅇ In particular, it is imperative to seek alternatives to sustainable renewable energy policies as they are urgently needed to convert renewable energy such as solar and wind power to solve the problems of nuclear power and fossil fuels that cause fine dust and global warming, but there are various opinions on whether or not they are in areas with excellent environment, such as mountainous district, and if they are located in areas with excellent environment, they can cause so-called “green conflicts.” ㅇ In this regard,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is an alternative to environmental problems of land-based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it is necessary to shed light on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as a new and renewable power generation project worth being promoted for sustainable use. ㅇ However, uncertainties still exist in the environmental impact and safety of long-term us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and continuous monitoring and analysis of appropriate scale design and location adequacy, security of unreasonable safety, and thorough verification of various effects on the water environment from long-term exposure are required. ㅇ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establish and implement the principle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lan that prioritizes the environment, and it is time to secur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by developing a Korean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model with the core value of “commercializa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ased on safe environmental management.” Ⅱ. Research Content ㅇ This study was designed to improve such error awareness and public opinion and to prepare measures for the efficient promotion of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acilities based on the "pre-preventive principle," such as excluding areas protected by regulatory environmental laws, such as water source protection zones, and first considering the use of freshwater areas that are not subject to legal restrictions. ㅇ To this e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urgent issues and to prepare measures to solve problems by re-establishing awareness of the status of various stakeholders. ㅇ In addition, KEI researchers and experts from major stakeholders, including civil society, industry, and academic research, diagnosed the current situation together. - Chapter 1 explained the background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the contents of the report, - Chapter 2 focused on the problems and ways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oject, - Chapter 3 contains suggestions for the efficiency of project promotion, - Chapter 4 comprehensively summarizes the main matters discussed in this report and deepened them. Ⅲ. Results ㅇ Considering the opinions of stakeholders of industry-academic association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current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in Korea is now at a time when it should be converted to a new stage, beyond the initial stage of introduction, and that at least the ‘sharing of awareness among stakeholders’ was required for this. ㅇ However, it seems that no complete agreement has been reached on whether to install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plant and how to resolve the long-term impact, considering its location characteristics, should be narrowed through further discussions. ㅇ This study identifies the necessary requirements for efficient implementation measures by presenting matters to be improved in various fields, and draws out improvement measures and issues to meet the requirements. ㅇ In other words, if the issue of ‘what to do with the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was overcome, it provided an opportunity to confirm the implications that it is time to prepare a concrete structural foundation for the return of economic benefits to the local community while enhancing environmental safety and social acceptability. Ⅳ. Conclusion and Suggestions ㅇ To this end, a master plan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project and the so-called "basic plan for floating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should be established first. ㅇ In the strategic evaluation stage, it is desirable fo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to focus on evalua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master plan, adjust the size of the assessment target, which currently stands at 100MW or higher, and strengthen it to 10MW or higher to ensur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ㅇ In particular, it is possible to strengthen post-environmental impact surveys that include environmental management operation guidelines to institutionalize management measures during operation considering life cycles, thereby enhancing the completion of comprehensive plans for sharing local residents’ interests and eco-friendly and sustainability. ㅇ In the end, it can be said that the central government’s related ministries and the two public corporations, who are sleep managers, have entered a phase in which more active will to change and promote their thinking is needed. ㅇ After the introduction period, a systematic and comprehensive blueprint must be prepared and implemented for the generator to enter the next stage of expansion and sophistication. ㅇEspecially in freshwater area, where the function as public goods is growing more than ever, it is more so. ㅇ Each time a power generation facility is planned, the pros and cons repeated individually and the long-term environmental evaluation of each project are inefficient ways of promoting the project. ㅇ In order to enhance environmental safety and enhance sustainability throughout the country, a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basic plan (tentative name) for water solar power generation suitable for generators should be prepared and a thorough strategic evaluation should be actively considered.

Table Of Contents

요약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보고서의 구성

제2장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추진의 문제점 및 극복방안
1. 수질 및 환경적 안전성에 대한 논란 및 과학적 검증
2. 수상태양광 패널 및 전기시설의 안전성
3. 수상태양광이 담수 생태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4. 사회수용성 증진을 위한 주민참여식 수상태양광 발전
5. 수상태양광 발전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제도적 개선
6. 수면관리자로서의 수상태양광 발전시설 운용방안

제3장 수상태양광 발전사업 추진 효율화를 위한 진단 및 방안
1. 수상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논쟁의 허와 실
2. 효율적 추진방안 및 종합적 접근

제4장 결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