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생명연구자원 관리 현황과 개선 방향

Title
국내 생명연구자원 관리 현황과 개선 방향
Other Titles
The Current Status and Policy Measure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in Korea
Authors
김치민; 박강민; 조광훈; 조근형; 진태은
Issue Date
2020-12-31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환경정책학회
Series/Report No.
환경정책 : 제28권 제4호 2020년 12월
Page
91-112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158
Language
한국어
Abstract
As we have seen with the novel coronavirus infection (COVID-19), the acquisition and timely distribution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such as COVID-19 positive patient samples for the development of diagnostic kits or therapeutic agents, ha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human health.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Korea has made a considerable effort to acquire these resources since the 2000s. As a result, by 2019, Korea had acquired 11,840,644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and had established 274 biological resource centers. However, due to change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such as the entry into forced the Nagoya Protocol and the global pandemic crisis, it is necessary to change the quantitative policies for the acquisition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biological resource center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domestic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by surveying researchers who use these resources. Further, we propose the direction for improved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We expect that the biological resource centers will be able to provide essential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based on both the needs of researchers and the demand for necessary services. [Key Words] Biological Research Resource, Biological Resource Center, Biotechnology, The Master Plan for Biological Research Resources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사태를 보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된 환자의 검체와 같은 생명연구자원을 확보하여 진단키트나 치료제 개발에 적시에 제공하는 것은 국가 경쟁력 및 국민의 건강에 상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러한 생명연구자원의 중요성을 인식한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대부터 생명연구자원의 확보와 생명연구자원을 관리하기 위한 소재자원은행의 육성을 위해 다양한 노력을 해왔으며, 그 결과 2019년까지 11,840,644점의 생명연구자원을 확보하고, 274개의 소재자원 은행을 운영하였다. 하지만, 나고야의정서 발효, 팬더믹 발생 등 국내외 환경 변화로 인해, 생명연구자원과 소재자원은행의 양적 확대 중심의 정책의 변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생명연구자원 현황을 조사·분석하고, 생명연구자원을 이용하는 연구자들의 의견을 청취하여, 생명연구자원 관리의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소재자원은행이 수요자가 필요로 하는 생명연구자원을 확보하고, 생명연구자원의 적시 제공과 연구자가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한다. [핵심주제어] 생명연구자원, 소재자원은행, 생명공학, 국가생명연구자원 관리·활용 기본계획

Appears in Collections:
Periodicals(정기간행물) >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 and Administration(환경정책)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