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코로나19시대, 뉴노멀을 향한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연구(Ⅰ)

Title
Post-코로나19시대, 뉴노멀을 향한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연구(Ⅰ)
Authors
김도균
Co-Author
이재혁; 정우현; 공지영; 김진형; 황바람; 최명애; 이다현
Issue Date
2022-12-31
Publisher
한국환경연구원
Series/Report No.
사업보고서 : 2022-08-02
Page
135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3915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생태적 재지역화, 코로나19 팬데믹, 전환, 지역사회, 공동체,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Ecological Relocalization, COVID-19 Pandemic, Transition, Local Community, Community
Abstract
Ⅰ. 서론 ㅇ이 연구는 코로나19 팬데믹을 통해 얻은 성찰을 포용하여, 우리의 일상적 삶의 공간인 ‘지역사회’에서의 ‘지속가능한 전환’의 방향 및 전환 모델을 2년(2022-2023년)의 연구를 통해 제안 -1차 연도에는 설문조사 및 예비적 현지조사를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방향을 확인해 보고자 함 -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음 ? 첫째, 지속가능한 전환에 관한 다양한 논의와 함께 코로나19 팬데믹이 현재 우리에게 주는 성찰의 지점들을 확인 ? 둘째, 설문조사와 현지조사를 통해 코로나19의 영향과 지속가능한 전환의 방향을 확인 Ⅱ.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 논의 검토 ㅇ 지속가능한발전목표(SDGs) - SDGs는 지속가능발전을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제안되었으며 사회, 경제, 환경에 대한 통합적 접근 강조 - 한국의 중앙정부, 지방정부가 각각 SDGs를 수립하였으며, 수립 과정에서 상향식 접근 강조 ㅇ 생태적 재지역화 - 생태적 재지역화는 공동체의 회복과 지속가능한 삶의 터를 꾸리고자 하는 일련의 생태공동체 운동으로, 그 대표 사례로는 퍼머컬처, 생태마을, 전환마을 등을 들 수 있음 ㅇ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코로나19 팬데믹은 다음과 같은 교훈을 주고 있음 ? 첫째, 자연환경 파괴에서 비롯된 코로나19 팬데믹과 기후위기 ? 둘째, 사회 불평등 심화 우려 ? 셋째, 국가의 공적 역할 강화 필요 ? 넷째, 인간중심주의 패러다임에 대한 성찰 ? 다섯째, 생태적 관점의 사회경제적 전환 필요 ? 여섯째, 지역공동체 연대의 중요성 대한 부각 Ⅲ.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에 관한 사회조사 ㅇ 설문조사 현황 - 일반시민 835명, 현장 활동가 48명 - 주요 분석 방법: 리커트 척도(일반 시민), Q 방법론(현장 활동가) ㅇ 일반시민 설문조사 결과 - 시민들은 코로나19 팬데믹을 ‘기후변화’와 ‘야생동물의 수렵 및 유통’ 등 인간에 의한 생태계 파괴 문제와 연관하여 사고 - ‘기후위기’ 및 ‘대규모 재난 발생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큰 폭으로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의 교훈으로 ‘환경 파괴에 대한 성찰’을 가장 많이 선택 - 팬데믹 이후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방향을 묻는 문항에서도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 대응, 환경교육 강화, 안전하고 쾌적한 거주환경 조성, 기업 활동의 환경적 책임 강화, 자원순환체계 강화, 생태계 보전 강화, 재생에너지 확대. 지역사회 돌봄서비스 구축, 친환경교통 및 보행권 강화 등을 우선순위로 선택


Ⅰ. Background and Aims of Research 1. Introduction ? This study discusses reflections on the COVID-19 pandemic and suggests future directions and modeling to achieve a “sustainable transition” for local communities using data obtained in the two-year study period (2022?2023). ㅇ In the first year, we aimed to identify possible directions for sustainable regional transition projects through surveys and preliminary field surveys. ㅇ Our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 First, identify points of reflection that have emerged since the COVID-19 pandemic and discuss various aspects of sustainable transition projects - Second, evaluate the impact of COVID-19 and explore sustainable transition through surveys and field investigations. Ⅱ. Review of Sustainable Transition Projects at the Local Scale 1.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SDGs) ? SDGs have been proposed to guid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mphasize an integrated approach to solving issues relating to the society, economy, and the environment. ?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of Korea have established SDGs and emphasized a bottom-up approach in the process. 2. Ecological relocalization ? Ecological localization refers to a series of alternative community movements that seek to rehabilitate and build sustainable communities. ?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permaculture projects, ecovillages, and conversion villages. 3. Reflections on the COVID-19 pandemic ? From a sustainability perspective, the COVID-19 pandemic has taught us the following lessons: 1. The COVID-19 pandemic and climate crisis stemming from the destruction of the natural environment 2. Deepening social inequalities 3. Strengthening of the public role of the state 4. Reflection on the anthropocentric paradigm 5. Socio-economic transformation from an ecological perspective 6. Emphasis on community solidarity Ⅲ. Social Survey on Sustainable Transition of Local Communities 1. Survey status ? Sample composition: 835 general citizens, 48 field activists ? Primary analytic methods: general citizen Likert scale, field activist Q methodology 2. General citizen survey results ? Citizens associate the COVID-19 pandemic with ecological destruction by humans such as “climate change” and “hunting and trade of wild animals”. ? Concerns about the “climate crisis” and “possibility of large-scale disasters”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 Reflection on “environmental destruction” was indicated as the most significant lesson learned from the COVID-19 pandemic. ? Regarding the direction of regional sustainable transition after the pandemic, participants chose responding to disasters caused by climate change, strengthening environmental education, creating a safe and pleasant living environment, strengthening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in business activities, strengthening resource circulation system, strengthening ecosystem preservation, and expanding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establishing community care service, Reinforcing eco-friendly transportation and pedestrian rights as priorities. 3. Field activist survey results ? In the case of field activists, the direction for sustainable transition in the region was identified using the Q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groups shown in Figure 2. ? Activists appeared to be more interested in practices such as governance than general citizens. They also emphasized resilience to disasters, improved living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and care, which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e choices of general citizens. ? The results confirmed that general citizens and field activists associated sustainability with the environmen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4. Field study: Gwanjeo-dong Energy Transition Village ? A case study of the Gwanjeo-dong Energy Conversion Village confirmed that the COVID-19 pandemic positively stimulated the activities of the village. ? The pandemic proved that the residents were right in the direction they have been heading, and the response around them was better than before COVID-19. They were shrewd in connecting citizens’ changed perception resulting from COVID-19 to the tasks they are promoting.. ? The following important implications were identified: ㅇ First, the basis of the conversion village’s activities in Gwanjeo-dong is the outcome of social capital accumulated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is was possible because there were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that have been practiced over the past ten years and it was not the result of support from outside or sudden action by residents. ㅇ Second, the Gwanjeo-dong Conversion Village supports autonomous and independent activities of its residents, but the support of the local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experts have served as important resources. Ⅳ. 2023 Research Project ?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of the first year of this study, in the second year, we plan to carry out full-scale on-site investigations of both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stainable transition cases. ㅇ By combining the research results of the first year and the field survey conducted in the second year, we aim to develop a “regional sustainable transition model.” ㅇ This transition model will propose a vision, specific strategic means, and a cooperative governance framework intended to support sustainable development. ㅇ By integrating this transition model into conventional SDGs, we aim to ‘humanize SDGs.’ - Currently, SDGs are strongly characterized by administration-oriented management indices (i.e., numerical valuation). However, changes that affect human lives require an integrated approach that cannot be reduced to numbers alone. - Sustainability should be perceived as a specific problem in daily human life and put into practice based on social solidarity and trust―that is, SDGs should be centered on and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life. - SDGs should also be expanded beyond a numerical perspective. To this part, it is expected that the sustainable transition model of the local community will contribute. ㅇ 현장 활동가 설문조사 결과 - Q 방법론을 통해 지역의 지속가능한 전환의 방향을 확인해 보니, 같은 5개 집단으로 구분됨 - 현장 활동가들은 일반시민보다는 거버넌스와 같은 실천 수단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으로 보임. 재난에 대한 회복탄력성, 생활환경 개선 및 환경보전, 돌봄 등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는 일반시민들의 선택과 크게 다르지 않음 - 결론적으로 일반시민과 현장 활동가 모두 직간접적으로 지속가능성을 환경과 밀접하게 연관하여 사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ㅇ 현지조사: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사례조사를 통해서 코로나19 팬데믹이 전환마을 활동에 긍정적인 자극을 준 것으로 확인 -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참여자들은 자신들의 활동 방향이 틀리지 않았음을, 그리고 주변의 호응이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여 좋아졌음을 확인함. 즉, 코로나19를 계기로 변화한 시민의 인식과 자신들이 추진하는 전환마을 과제를 기민하게 연결함 - 다음과 같은 중요한 시사점도 주고 있음 ?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활동의 토대는 장기간에 걸쳐 축적된 지역사회 사회자본의 성과. 어느 순간 외부의 지원이나 주민들의 갑작스러운 실천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난 10여 년간 실천해 온 다양한 공동체 활동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음 ?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은 주민들의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활동이지만, 지방정부, 시민사회, 전문가의 지원도 중요한 자원으로 활용됨 Ⅳ. 2023년 연구과제 ㅇ 2차 연도 연구에서는 1차 연도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지속가능한 전환 사례에 대한 본격적인 ‘현지조사’를 수행할 계획임. 현지조사는 국내뿐 아니라 국외 사례까지 포함하여 진행 예정 - 1차 연도 연구성과 2차 연도에 진행할 현지조사의 결과를 총합하여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 모델’을 제안. 전환 모델에서는 비전과 구체적인 전략적 수단 및 협력적 거버넌스의 틀까지 제안 - 이러한 전환 모델을 기존 SDGs에 통합하여 ‘SDGs의 인간화’를 시도해 보려 함 ? 현재의 SDGs는 행정 중심 관리 지표(수치)의 성격이 강함. 그러나 인간의 삶은 수치로 환원할 수 없는 통합적 접근이 필요 ? 지속가능성을 자신(인간) 삶의 구체적인 문제로 느끼고 사회적 연대와 신뢰를 기반으로 실천하는, 즉 인간 삶을 중심에 둔 SDGs를 구현해야 함 ? SDGs는 ‘수치의 서사’를 넘어 ‘인간 삶의 서사’로까지 확장되어야 함. 이 부분에서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 모델이 이바지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보임

Table Of Contents

요 약

제1장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의 구성과 범위

제2장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 관련 논의 검토
1.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2. 생태적 재지역화의 흐름과 전략
3.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제3장 지역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에 관한 사회조사
1. 설문조사 수행체계와 문항의 구성 과정
2. 설문조사 결과분석
3. 지속가능한 전환 사례조사: 관저동 에너지 전환마을

제4장 결론: 종합적 논의와 향후 연구과제
1. 종합적 논의
2. 2차 연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 록
Ⅰ.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의 성찰 관련 국내 주요 선행연구 목록
Ⅱ. 설문지(일반시민/활동가 조사)

Executive Summary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roject Report(사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