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상풍력발전 입지선정 지원을 위한 환경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마련

Title
육상풍력발전 입지선정 지원을 위한 환경공간정보 구축 및 활용방안 마련
Authors
박종윤
Co-Author
전동준; 이상범; 김경호; 김유미; 양경; 권선용; 김교범; 이재홍
Issue Date
2021-05-14
Publisher
환경부
Page
202 p.
URI
https://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24110
Language
한국어
Keywords
재생에너지, 육상풍력발전, 환경공간정보, 입지선정 AND 지원, 환경개발사업, 신재생에너지
Abstract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육상풍력발전에 요구되는 바람자원이 주요 생태축과 같이 자연환경이 우수한 지역에 분포하면서 개발로 인한 산지훼손, 지형변화, 생태계 단절 및 경관 등의 환경적 문제와 동시에 이해관계에 따른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육상풍력 신규 보급률이 저조함에 따라 재생에너지의 주요한 한 축인 풍력발전의 보급·활성화 요구 또한 높아지고 있다. 이는 2018년에 목표 대비 84%, 2019년에는 상반기 목표 대비 20.4%의 보급률을 보임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며, 이로 인해 내수시장에서 보급·확산이 지연되면서 풍력 보급·확대를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은 국내 태양광 및 풍력 보급실적을 보여주는 것으로 태양광의 경우 연도별 신규 설비용량 증가 추세가 눈에 띄나 육상풍력 발전시설의 신규 보급실적은 큰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신규 설치된 육상풍력 발전설비는 594MW로 ‘3020 이행계획’에서 제시하고 있는 목표치인 4.5GW(신규 설치)의 약 13%에 불과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신에너지 및 재생에너지 개발·이용·보급 촉진법? 제6조에 따른 연차별 실행계획에서는 추진실적 평가에 관한 사항을 담고 있다. 2019년 추진실적 평가 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 이어 2019년에도 재생에너지 보급(3.5GW)이 목표(2.4GW)를 큰 폭으로 상회한 것으로 나타나 ‘3020 이행계획’에 따른 재생에너지 확산이 본궤도에 진입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이는 2019년에 설치된 신규설비 대부분이 태양광(89%) 중심으로 추진됨에 따른 것으로 풍력은 5.6%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보급통계 수치는 태양광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낮은 보급률을 보이는 풍력발전 활성화 대책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환경부, 산업부, 산림청 등 관계부처와 국회 기후특위는 2019년 4월 말부터 4개월간 공동으로 현장방문, 업계 의견수렴 등을 실시하고, 향후 환경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고려하는 방향으로 육상풍력 발전을 활성화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하는 「환경과 공존하는 육상풍력 발전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다. 여기서, 육상풍력 발전 활성화를 위한 세부 방향을 설정하였는데 첫째, 발전사업 허가 전 초기 단계에서의 환경성 검토를 강화하고, 둘째, 불분명하거나 타당성이 부족한 환경·산림 규제를 합리적으로 개선함과 동시에, 셋째로는 사업 추진 전 과정을 One-Stop 지원하는 민·관 합동 지원단 신설을 주요 내용으로 하고 있다.

Table Of Contents

제1장 연구 개요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제2절 연구 범위 및 주요 내용

제2장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 연구사례 조사
제1절 입지 적합성 분석 및 표출 방법
제2절 입지 적합성 평가 요소
1. 기술.경제성 인자
2. 환경성 인자

제3장 육상풍력 개발사업의 환경평가 현황
제1절 환경평가 협의 현황
제2절 환경평가 협의의견 분석
1. 환경평가 정보 수집
2. 분석 방법
3. 주요 환경인자 키워드 분석 결과
제3절 환경평가 협의 사례
1. 사례분석
2. 분석결과 요약

제4장 입지 적합성 평가를 위한 환경인자 도출 및 자료 구축
제1절 환경평가 관련 지침
1. 환경영향평가서등 작성 등에 관한 규정
2. 전략환경영향평가 업무 매뉴얼
3. 환경입지컨설팅제도 운영 지침
4. 육상풍력 개발사업 환경성평가 지침
5. 환경평가 관련 지침에 따른 환경인자 분석 결과
제2절 환경인자 도출 및 공간정보 목록
제3절 환경공간자료 구축
제4절 환경인자의 분류 및 데이터셋 구성

제5장 풍력자원과 환경인자 간의 공간분포 특성
제1절 풍황자원지도
제2절 민감도 분석
1. 분석 방법
2. 민감도 분석 결과: 제약인자
3. 민감도 분석 결과: 영향인자
제3절 지역별 가용면적 추정

제6장 입지 적합성 정량화 방안
제1절 입지 적합성 평가 방법론
1. 다기준 의사결정 방법론
2. 계층적 분석과정
3. 가중치 선형조합
4. 입지 적합성 평가 절차
제2절 공간패턴분석 기반 입지 적합성 평가
1. 정량적 평가 방안
2. 공간패턴분석 기반 입지적합성 평가 시범연구

제7장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 평가
제1절 입지 적합성 평가기준 및 방법 설정
1. 입지 적합성 평가절차
2. 입지 적합성 평가기준
3. 입지 적합성 정량화 방법
제2절 입지 적합성 평가 및 분포도 작성
1. 분석 시나리오 작성
2. 시나리오별 입지 적합성 평가
3. 육상풍력 고려대상 지역의 풍황자원 분포 특성
제3절 육상풍력 환경적 가용 잠재량 추정
1. 신·재생에너지 백서
2. 환경적 가용 잠재량 추정

제8장 활용방안 및 결론
제1절 육상풍력 입지선정 지원 방안
1. 육상풍력 입지 우선순위 설정 방안
2. 육상풍력 입지 적합성 평가지도 적용 예시
3. 육상풍력 입지선정 지원 서비스 사례
제2절 결과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부 록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