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합수질지표의 개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2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28Z -
dc.date.issued 199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6 RE-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89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6_RE10]종합수질표(최지용).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1<br><br>1-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br>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br><br>제2장 환경지표의 정의 및 이용실태 5<br><br> 2-1 환경지표의 정의 및 분류 5<br>1. 환경지표의 정의 5<br>2. 환경지표의 역사 5<br>3. 환경지표의 종류 7<br><br> 2-2 수질지표의 종류 9<br>1. 단일항목지표 9<br>2. 종합수질지표 10<br>3. 생태계 평가지표 12<br><br> 2-3 각국의 종합수질지표 개발과 이용실태 15<br>1. 미국 15<br>2. 일본 21<br>3. 영국 22<br>4. 소련 23<br>5. 캐나다 24<br>6. 태국 25<br>7. 나이지리아 27<br>8. 이라크 27<br>9. 뉴질랜드 29<br>10. 폴란드 30<br><br> 2-4 각국 종합수질지표의 구조분석 33<br><br>제3장 종합수질지표의 개발목표 35<br><br>3-1 지표의 개발목적 설정 35<br><br>3-2 지표의 수학적 구조 37<br>1. 부지수 함수 37<br>2. 종합화 함수 40<br> <br> 3-3 합목적적인 지표개발 방안 44<br><br>제4장 종합수질지표의 개발 47<br><br> 4-1 항목의 선정 47<br>1. 각국의 수질환경기준 47<br>2. 주요 국가별 환경기준의 비교 49<br>3. 주요 수질지표의 항목선정 54<br>4. 우리나라의 수질측정 항목의 검토 57<br>5. 항목의 선정 59<br> <br> 4-2 항목별, 용도별 가중치 63<br>1. 가중치 방법 63<br>2. 가중치 사례 65<br>3. 가중치의 산정 67<br> <br> 4-3 부지수 함수 70<br>1. 부지수함수의 작성법 70<br>2. 부지수함수의 작성사례 72<br>3. 부지수 함수의 결정 77<br><br>4-4 항목의 종합화 101<br>1. 종합화 방안의 선정 101<br>2. 주요지표별 종합화 함수의 예 102<br>3. 수학적 구조의 평가와 선정 107<br><br>4-5 용도별 수질지표의 산정 109<br><br><br>제5장 종합수질지표의 적용타당성 검토 111<br><br>5-1 수질기준과의 적합성 평가 111<br>5-2 수질상황 반영의 정확성 127<br>5-3 기 개발된 종합수질지표와의 비교 131<br>5-4 K-WQI를 이용한 4대강 수질평가 132<br><br>제6장 결 론 135<br><br>◇ 참고문헌 137<br>◇ 부 록 141<br><br> -
dc.format.extent viii, 149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기술개발원 -
dc.subject Water quality management -
dc.title 종합수질지표의 개발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of Water Quality Index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대부분의 하천은 다용도로 이용하고 있으나 1~2개의 항목을 이용해 수질을 용도별로 평가할 경우 오염상태를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없다. 현 수질상황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수질자료를 가공하여 하나의 종합적인 표현으로 만들 수 있어야 가능하다. 수질상태의 종합적인 평가는 水質管理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因子이며 이를 바탕으로 각종 水質管理政策이 계획되고 집행되어져야 한다. 종합지표는 정기적으로 측정되고 있는 다수의 수질항목을 고려함으로서 수질의 실태를 정확히 판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수질의 평가와 수질관리를 위해 유용한 수단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에서 적용가능한 종합수질지표(K-WQI)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종합수질지표는 절대적인 형태가 존재하지 않으며, 시대의 변천과 주민의 물에 대한 중요도 변화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에 대한 국민의 합의를 도출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10개의 항목을 선정하였고, 각 항목별 수질에 끼치는 중요도를 반영하였다. 대부분의 인위적인 오염물질 농도는 다른 오염물질과 서로 상관관계를 가지므로 본 연구에서 고려한 10개의 수질항목으로 구성된 K-WQI를 이용할 경우 물오염실태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를 이용해 우리나라의 주요 수질 측정지점에 적용한 결과 0에서 97점까지의 WQI점수의 범위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존의 환경정책기본법상의 수질기준과도 적합성이 있었으며 단일지표에 의한 수질평가의 약점도 보완할 수 있었다. 이번에 개발된 K-WQI는 다음과 같은 용도로 이용이 가능하다. ㅇ 수질실태의 종합적 합리적 판단 ㅇ 수질의 주기와 경향 파악 ㅇ 깨끗한 물과 오염된 물의 일반적 구분 ㅇ 같은 급수의 수체내에서 점수차를 이용한 수질의 세부 평가 ㅇ 수질운영관리자에게 항목별 오염기여도 정보제공 우리나라의 수질측정자료를 본 연구에서 개발된 K-WQI에 적용해본 결과 K-WQI가 단순히 수질의 상태를 점수화한 이상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상대적으로 해석이 가능한 여러수질요소들을 객관적이고 재현성있게 점수화함으로서 시간과 공간변화에서의 수질상황을 평가?비교할 수 있었다. 본 K-WQI는 수질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각 항목간의 상호 연관성도 충분히 반영하고 있었다. 실질적으로 본 종합수질지표를 사용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이득은 다음과 같다. (ⅰ) 대규모의 수질자료를 빠르고 재현가능한 방법으로 상호비교가 가능한 하나의 종합지표로 나타낼수 있다. (ⅱ) 물의 오염수준에 대한 정보가 광범위한 점수로 나누어질 수 있어 상호 비교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ⅲ) 지표는 객관적인 점수로 표현되어 다수가 동의할 수 있다. (ⅳ) 지표는 점수에 걸맞는 잠재적 수용도 고려를 통해 지표수의 잠재력을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ⅴ) 개발된 지표가 수질기준 등 현행 법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수준이 반영되었고 단일지표의 미비점을 보완하는 체계이므로 직접 이용할 수 있다. (ⅵ) 수질지표는 특정항목별 오염기여도를 제공함으로서 수질의 포괄적이고 보다 정확한 평가를 위한 정보를 제시한다. 수자원개선을 위한 각종 수질관리계획 수립을 위해서는 국가적 차원에서 지속적인 수질자료의 확충과 이들 자료의 정확한 해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이번에 개발된 K-WQI는 과학적인 근거에 바탕을 두고,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방법에 의해 개발되었다. 우리나라와 같이 수계간 수리특성과 기후여건이 비교적 동일한 경우에는 적합한 종합지표가 개발될 경우 전국적인 적용이 바람직스럽다 하겠다. 따라서 이번에 개발된 종합수질지표는 수질실태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높이고 각종 수질관리정책의 기초자료로 활용할수 있기 위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종합수질지표를 수질자료데이타베이스의 한 항목으로서 포함시키고 수질발표시 종합수질지표를 이용하는등 제도적으로 이의 적용을 뒷바침하여야 한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기본연구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i-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