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유화학공단지역 체감오염도 개선을 위한 사업장 관리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화진 -
dc.contributor.other 오소영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32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32Z -
dc.date.issued 1997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7 RE-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92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7_RE14]석유화학공단지역(한화진).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I. 서론 1<br>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br> 2. 연구범위 및 주요내용 3<br><br>Ⅱ. 공단지역의 대기 체감오염 일반현황 4<br>1. 공단지역의 일반 대기환경 현황 4<br> 1.1. 악취와 체감오염과의 관계 8<br> 1.2. 악취와 건강위해성 14<br><br>2. 주요 악취발생원 16<br> 2.1. 주요 배출시설 16<br> 2.2. 불특정배출오염원 21<br><br>Ⅲ. 국내 악취 및 불특정배출원의 관리현황과 문제점 27<br>1. 국내 악취 규제관리 현황 및 문제점 27<br> 1.1. 현행법상의 규제관리 현황 27<br> 1.2. 국내 악취관리의 문제점 34<br><br>2. 불특정배출원의 관리현황 및 문제점 37<br> 2.1. 현행법상의 규제관리제도 37<br> 2.2. 배출시설 관리기준 준수현황 및 문제점 40<br><br><br><br>Ⅳ. 외국의 악취 및 불특정배출원의 관리동향 42<br>1. 일본 42<br> 1.1. 일본의 악취방지법과 규제관리 동향 42<br> 1.2. 일본 악취의 일반적인 현황 50<br> 1.3. 일본에서의 악취의 평가 척도 54<br> 1.4. 일본의 악취관리 특징 및 향후 동향 56<br><br>2. 미국 58<br> 2.1. 미국의 주(州) 및 지방정부의 악취발생 현황 59<br> 2.2. 미국의 악취관련 규제조항 61<br> 2.3. VOCs 불특정배출원 배출규제 69<br><br>3. 유럽 국가의 악취관련 규제 72<br> 3.1. 독일 73<br> 3.2. 네덜란드 79<br><br>Ⅴ. 공단지역 체감오염도 개선을 위한 관리방안 86<br>1. 악취배출의 특성규명과 정량화 87<br> 1.1. 정성적인 방법 88<br> 1.2. 정량적인 방법 88<br> 1.3. 분석화학적 기기분석법 91<br><br>2. 현행 악취관련 규제법규상의 개선방안 91<br><br>3. 사업장에서의 악취저감 전략방안 96<br> 3.1. 사업장 악취저감의 단계적 접근방법 97<br> 3.2. 활용가능한 사업장 악취방지 방법 99<br> 3.3. 특정 악취배출시설 관리강화 103<br> 3.4. 악취사고 대비 프로그램 운영 103<br> 3.5. 석유 정제시설의 악취관리 방안 사례 104<br><br>4. 공단지역 환경관리 개선방안 106<br><br>Ⅵ. 결론 109<br><br>참고문헌 113<br><br>[부 록] 115<br><br> [부록 Ⅰ] 울산석유화학공단지역의 일반대기오염물질 오염도 변화추이115<br> [부록 Ⅱ] 여천공단지역 사업장별 VOCs 배출 방지시설 설치 현황 120<br> [부록 Ⅲ] 일본 악취방지법 시행규칙 개요 126<br> [부록 Ⅳ] 일본에서 측정한 악취강도와 물질농도와의 상관관계식 130<br> [부록 Ⅴ] 일본인에 적용된 냄새물질의 최소감지값 132<br> [부록 Ⅵ] Kraft 펄프제조공장에 적용되는 미국의 TRS 규제 134<br> [부록 Ⅶ] 미국 50개주의 악취규제 법규 요약 139<br> [부록 Ⅷ] 미국의 악취평가 적용사례 147<br> [부록 Ⅸ] 캐나다 GVRD의 악취관리 대안별 평가분석 사례 154<br> [부록 Ⅹ] 캐나다 대기오염 불만 민원양식 163<br> [부록 ?] 공정장비의 불특정 VOCs 누출조사 및 제어방법 165<br><br> -
dc.format.extent vi, 171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Odors -
dc.title 석유화학공단지역 체감오염도 개선을 위한 사업장 관리 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Efficient Regulation of Air Pollution Activities in Petrochemical Industrial Complex Area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97-14 -
dc.description.keyword 대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석유화학공단지역 체감오염도 개선을 위한 사업장 관리 방안 (책임자: 한화진) 가. 연구목적 o 현재 우리나라 대기는 아황산가스와 부유먼지 등의 일부 환경기준 설정 항목의 오염도는 대부분 지역에서 수치상 개선되고 있으나 오존, 미세먼지, 악취 등의 오염은 증가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공단과 대도시 지역별로 주민의 체감 대기오염의 악화요인으로 작용함. o 체감오염의 뚜렷한 정의는 없으나 현재 측정되고 있는 대기환경기준 항목의 오염도 수치와는 직접 연계시키기 어려운 인간의 감각을 저해시키는 오염 즉, 청각, 후각, 시각을 장애하는 감각공해로 정의할 수 있음. o 공단지역의 체감오염 원인은 후각에 영향을 주는 악취와 작업중 배출되는 비산먼지가 대표적인 데 특히 석유화학공단지역(이하 ‘공단지역’이라 함)은 공단내 화학산업시설이 밀집되어 있어 유해화학물질 사고발생의 위험이 높고 공정상의 누출과 증기배출 등 불특정 VOCs의 배출로 인한 악취의 민원발생이 높아 사업장과 주민과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음. o 특히, 1997년들어 인천 및 시화지역의 악취오염사고, 울산광역시의 악취오염 등이 나타나고 있으며 악취문제는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어 대기오염물질에서 악취의 비중이 점차 높아져 가고 있고 이러한 감각공해의 해결에 대한 국민의 목소리 또한 더욱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o 1996년도 우리나라 전국 대기배출업소 3만1,229개 가운데 악취배출업소는 4,456개에 달하며 이 가운데 514개 업체는 악취를 대량으로 발생시켜 중점관리업체로 특별관리되고 있으며 최근까지 민원 발생건수의 대부분이 공단지역에 집중되어 있고 업종별로는 석유화학산업이 전체 악취 중점관리업소의 28%를 차지함. o 그러나 국내 사업장 악취관리 실태는 매우 취약한 실정이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상당히 미흡하여 관리전략 수립에 어려움이 있음. o 본 연구의 목적은 공단지역 대기체감오염의 악화원인으로 악취배출과 불특정 휘발성유기화합물질(VOCs) 배출을 지적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사업장 관리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임. 나. 연구방법 o 지금까지 국내에는 악취와 관련된 연구자료가 거의 없는 상황인 점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외국의 방대한 자료의 분석, 검토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국내와 유사한 석유화학공단지역이 조성된 캐나다 공단지역의 현지조사를 통해 실제 공단지역 사업장에 적용되고 있는 관리 대책을 조사하여 수행하였음. 다. 연구결과 o 우리나라 공단지역 체감오염에 영향을 주는 악취관리의 문제점으로는 다음에 제시한 사항들이 도출되었음. ① 공단지역과 주거지역의 혼재 : 국내 공단인접지역에는 대규모 주택단지가 개발되어 주민들에게 직접피해가 초래되고 있고 악취에 대처할 수 있는 보완시설이 부족하여 악취 오염사고 발생의 우려가 상존(환경오염피해분쟁이 계속 발생) ② 지역에서 발생한 악취문제 해결의 어려움 : 국가공단과 지방공단지역내 석유화학사업장은 해당 환경관리청이 관할하므로 지자체에서 발생한 악취오염사고를 신속하게 대처하는 데 한계가 있음. 그러나 지자체에서 악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적, 행정적능력은 물론이고 해결의 의지가 부족한 실정임. ③ 악취배출원 파악과 배출업소 관리실태 미흡 : 다양한 업체가 입주되어 있는 공단지역의 악취는 복합적인 발생원으로 인해 특정악취 배출오염원을 찾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사업장의 대응도 어려운 실정임. 그러나 우리나라는 사업장별로 악취 발생가능 물질 및 누출가능 공정 등의 파악이 미흡하고 이로 인해 효율적인 관리가 어려움. o 악취관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음의 개선 방안을 제시함. - 악취문제를 객관화하는 것은 매우 어려우나 악취저감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함. - 공단지역 악취문제는 사업장의 악취 배출물질이 원인이므로 사업장에서 배출원관리가 가능할 수 있는 정량화된 방법이 필요하며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공단지역 주요 악취배출원에 대한 실태파악이 선행되어야 함. - 사업장에서는 악취저감 기술을 적용하기에 앞서 사업장내에서 건강에 유해한 특정악취물질과 일반악취물질 배출상황을 이해하고 최종 방지시설로 제거하기에 앞서 공정변경을 통한 배출량 삭감을 유도함. - 불특정 배출되는 VOCs 악취는 누출 점검을 강화하는 운영관리 체계로 개선하여 최소화함. - 악취배출 방지시설을 이용하는 데 있어 NOx나 불완전 연소생성물들의 2차적 배출이나 이산화탄소 배출등 기타 수반되는 영향도 고려하여 선정함. 라. 정책 건의사항 1) 악취배출규제시 악취배출 특성을 보다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정량화할 수 있는 수단으로 개선 : 현행 악취배출규제시 직접관능법을 현행법에 명시된 공기희석법과 병행하여 이용하며 기기분석법은 규제보다는 발생원 파악으로 활용되어 악취측정의 보조적인 방법으로 적용함. 또한 비교적 객관적인 판단을 할 수 있도록 악취판정요원의 인적관리 기관 및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함. * 이러한 방법으로의 개선은 선진외국의 경험에서도 파악된 것임. 2) 공단지역 악취발생 사업장 조사와 관리 차별화 : 특정악취물질(VOCs, 특정대기유해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과 일반 악취물질을 배출하는 사업장으로 분류하여 사업장 목록을 조사하고 관리를 차별화함. 즉, VOCs와 특정대기유해물질로 인한 악취는 사업장내 시설관리의 강화를 통해 최소화하며 암모니아와 황화수소등 석유화학공단지역의 대표적인 악취는 현재 적용되는 배출허용기준을 철저히 준수하게 하도록 관리를 강화 3) 공단지역 주민의 악취 불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정기적인 설문조사 실시 : 지역의 체감오염 정도를 정기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설문조사 format을 작성하여 주요 악취불만 공단지역에 실시 4) 블특정 VOCs 악취배출의 점검/유지관리 강화 : 불특정 배출 VOCs는 공정배출보다 다루기가 훨씬 어려우며 비교적 강도가 낮으나 사업장내 산재되어 건강피해가 우려되므로 사업장의 누출 운영상태를 수시로 점검하는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지침 필요 5) 사전 사고예방과 우량운영대책(good performance practice)을 통해 비상사태와 사고에 의한 배출 최소화 6) 사업장 스스로 공단지역 주민에 선린정책(good neighbor policy)을 활용 : 악취 배출사업장은 지역주민에게 계속적으로 개방적이고 정직한 정보를 공개하고 공장견학을 주도하여 지역주민을 악취관리의 같은 팀의 일원으로 대우해 줌으로써 주민들의 신임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Wha-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