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부문의 원격탐사기법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박종화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3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33Z -
dc.date.issued 1997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7 RE-2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893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7_RE23]자연환경(전성우).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Ⅰ. 서론 1<br> 1. 연구의 배경 1<br>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2<br><br><br>Ⅱ. 이론적 고찰 4<br> 1. 원격탐사의 정의 4<br> 2. 원격탐사장비의 종류 및 특성 4<br> 2.1. Landsat위성 자료 5<br> 2.2. SPOT위성자료 10<br> 2.3. 기상관측위성 11<br> 2.4. 해양관측위성 12<br> 2.5. 기타 위성 13<br> 2.6. 고해상도 위성 및 향후 이용가능한 위성 14<br> 3. 위성자료의 구조 16<br> 3.1. BIL(Band-Interleaved-by Line) format 16<br> 3.2. BSQ(Band-Sequential) format 16<br> 4. 위성영상의 보정 16<br> 4.1. 기하학적 보정 16<br> 4.2. 방사치 보정 18<br> 4.3. 잡신호제거 19<br> 5. 영상향상 및 전환 20<br> 5.1. 영상향상의 정의 20<br> 5.2. 영상향상 기법 20<br> 6. 영상분류 25<br> 6.1. 영상분류의 정의 25<br> 6.2. 영상분류 기법 25<br> 7. 분류후 보정 및 분류오차의 평가 33<br><br><br>Ⅲ. 국내?외 활용사례 비교분석 38<br> 1. 토지피복 분류(Land Cover Classification) 및 변화감지 39<br> 1.1. 토지피복분류 39<br> 1.2. 토지피복변화감지 40<br> 2. 수리?수문 42<br> 2.1. 수질 모니터링 (Water Quality Monitoring) 42<br> 2.2. 해수면 온도의 측정 43<br> 2.3. 습지의 시공간적 변화 45<br> 2.4. 수문학적 특성 추출 46<br> 2.5. 하구원지역의 환경질 모니터링 47<br> 3. 지리?지질부문 52<br> 3.1. 선구조도 추출 (Lineament Extraction) 52<br> 3.2. 지리적 해석 55<br> 4. 수치지도제작 56<br> 5. 열밴드 이용부문 58<br> 5.1. 도시열섬효과 분석 58<br> 5.2. 산불피해예측 59<br> 6. 생물서식지 60<br> 6.1. 생물서식지와 토지피복의 관계 60<br> 6.2. 생물서식지와 토양의 관계 60<br> 6.3. 생물서식지와 토양수분지표의 관계 61<br> 7. 식생 61<br> 7.1. 식생지역의 광학적 특성 61<br> 7.2. 식생지수 산출시 이용 가능한 위성자료 62<br> 7.3. 식생지수의 정의 및 가정 63<br> 7.4. 기본적인 지수들 64<br> 7.5. 토양간섭(Soil Noise)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70<br> 7.6. 대기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73<br> 7.7. 다른 지수 74<br><br>Ⅳ. GAP Analysis 적용 및 검증 77<br> 1. GAP Analysis의 이론적 고찰 77<br> 1.1. GAP Analysis의 개념 및 목적 77<br> 1.2. 생물다양성 관리에 있어 GAP Analysis 78<br> 1.3. GAP Analysis의 분석과정 79<br> 1.4. GAP Analysis를 이용한 적용 사례 84<br> 2. 어류 종다양성 예측 모델의 개요 91<br> 2.1. 서식지 인자 91<br> 2.2. 어류종 분류 93<br> 3. 대상지 적용 94<br> 3.1. 대상지 선정 및 개요 94<br> 3.2. 자료수집 및 데이터베이스 구축 96<br> 4. 어류 종다양성 예측 및 평가 102<br> 4.1. 생물종-서식지 모델링 102<br> 4.2. 서식지별 종부유도 예측 120<br> 4.3. 예측결과의 정확성 평가 125<br> 5. 수정된 모델의 분석 및 검증 129<br> 5.1. 모델의 수정 129<br> 5.2. 최종비교 및 검증 134<br><br><br>Ⅴ. 요약 및 결론 138<br> 1. 식생 138<br> 1.1. 식생지수 사용할 때 전제조건 138<br> 1.2. 식생구조 파악을 위한 고려사항과 방법론 139<br> 1.3. 식생분류를 위한 고려사항 및 방법론 141<br> 2. GAP Analysis 143<br> 3. 향후 연구과제 144<br><br><br>참고문헌 146<br><br><br>부록 : 약어 156<br><br> -
dc.format.extent viii, 158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Romote sensing systems -
dc.title 자연환경부문의 원격탐사기법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Uses of Remote Sensing Techniques in Managing Ecosystem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97-23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wo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Park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ong-Hwa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