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정휘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0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0Z -
dc.date.issued 19991230 -
dc.identifier A 환1185 1999 RE-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1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99_RE07]생태자연도II(전성우).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Ⅱ. 식생지수 및 분류의 이론적 고찰 <br>1. 식생지수 <br>1.1. 식생지역의 광학적 특성 <br>1.2. 식생지수 산출시 이용 가능한 위성자료 <br>1.3. 식생지수의 정의 <br>1.4. 기본적인 지수들 <br>1.4.1. 비율식생지수 <br>1.4.2. 정규식생지수 <br>1.4.3. 적외선비율식생지수 <br>1.4.4. 차이식생지수 <br>1.4.5. 수직식생지수 <br>1.4.6. 가중차이식생지수 <br>1.5. 토양간섭(Soil Noise)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br>1.5.1. 토양보정식생지수 <br>1.5.2.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 <br>1.5.3. 수정토양보ㅗ정식생지수 <br>1.5.4. 수정ㅌ양보정식생지수 2 <br>1.6. 대기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br>1.6.1. 지구환경모니터지수 <br>1.7. 다른지수 <br>2. 식생분루 <br>2.1. 식생분류방법론 <br>2.1.1. DEM을 이용한 Landsat TM 영상자료의 지형적 정규화 <br>2.1.2. 선행 확률(Prioor probability)을 포함한 Maximum-Likelihood 분류 <br>2.2. 긱생분류비용 <br>3. 식생분류 정확도 <br>Ⅲ.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br>1. 식생지수 <br>1.1. 정규식생지수를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연부 탐지 <br>1.2. 식생지수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 <br>1.3. 녹생식생지수를 이용한 서울시 녹지변화 <br>1.4. 식생지수와 녹지자연도의 비교평가 <br>1.5. 인공위성영상자료와 GIS 기법을 이용한 녹지자연도 등급판정 기법 개발 <br>1.6. AVHRR과 SeaWifs위성자료를 이용한 광역식생지수 <br>2. 식생분류 <br>2.1. 美, USGS-NPS의 식생도 제작사ㅓㅂ <br>2.1.1. 개요 <br>2.1.2. 식생도 작성에 사용된 자료 <br>2.1.3. 식생도 제작을 위한 영상분석의 한계성 <br>2.1.4. 식생분류ㅊ계와 지도제작 <br>2.2. USDA와 NCASI의 Eastside 식생도 작성사업 <br>2.3. 美, 미네소타州의 위성자료를 이용한 산림자원 조사 <br>2.4. 식생의 구조파악 <br>3. 육상식생으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Ⅰ. 서론 1<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br><br>Ⅱ. 식생지수 및 분류의 이론적 고찰 5<br> 1. 식생지수 5<br> 1.1. 식생지역의 광학적 특성 5<br> 1.2. 식생지수 산출시 이용 가능한 위성자료 6<br> 1.3. 식생지수의 정의 6<br> 1.4. 기본적인 지수들 6<br> 1.4.1. 비율식생지수(RVI : Ratio Vegetation Index) 6<br> 1.4.2. 정규식생지수(NDVI :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7<br> 1.4.3. 적외선비율식생지수(IPVI : Infrared Percentage Vegetation Index) 8<br> 1.4.4. 차이식생지수(DVI : Difference Vegetation Index) 8<br> 1.4.5. 수직식생지수(PVI : Perpendicular Vegetation Index) 8<br> 1.4.6. 가중차이식생지수(WDVI : Weighted Difference Vegetation Index) 9<br> 1.5. 토양간섭(Soil Noise)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9<br> 1.5.1. 토양보정식생지수(SAVI :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9<br> 1.5.2. 변형토양보정식생지수(TSAVI : Transform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9<br> 1.5.3.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MSAVI : 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10<br> 1.5.4. 수정토양보정식생지수 2 (MSAVI2:Modified Soil Adjusted Vegetation Index 2) 10<br> 1.6. 대기간섭을 최소화하기 위한 지수 10<br> 1.6.1. 지구환경모니터지수(GEMI : Global Environment Monitoring Index) 11<br> 1.6.2. 대기저항식생지수(ARVI : Atmospherically Resistant Vegetation Index) 11<br> 1.7. 다른 지수 11<br> 2. 식생분류 12<br> 2.1. 식생분류방법론 12<br> 2.1.1. DEM을 이용한 Landsat TM 영상자료의 지형적 정규화 12<br><br><br> 2.1.2. 선행 확률(Prior probability)을 포함한 Maximum-Likelihood 분류 15<br> 2.2. 식생분류비용 17<br> 3. 식생분류 정확도 18<br><br>Ⅲ. 국내?외 사례조사 및 분석 20<br> 1. 식생지수 20<br> 1.1. 정규식생지수를 이용한 북한산 국립공원 주연부 탐지 20<br> 1.2. 식생지수를 이용한 환경영향평가 21<br> 1.3. 녹색식생지수를 이용한 서울시 녹지변화 21<br> 1.4. 식생지수와 녹지자연도의 비교평가 22<br> 1.5. 인공위성영상자료와 GIS 기법을 이용한 녹지자연도 등급판정 기법 개발 23<br> 1.6. AVHRR과 SeaWifs위성자료를 이용한 광역식생지수 24<br> 2. 식생분류 25<br> 2.1. 美. USGS-NPS의 식생도 제작사업 25<br> 2.1.1. 개 요 25<br> 2.1.2. 식생도 작성에 사용된 자료 26<br> 2.1.3. 식생도 제작을 위한 영상분석의 한계성 27<br> 2.1.4. 식생분류체계와 지도제작 29<br> 2.2. USDA와 NCASI의 Eastside 식생도 작성사업 30<br> 2.3. 美. 미네소타州의 위성자료를 이용한 산림자원 조사 33<br> 2.4. 식생의 구조파악 35<br> 3. 육상식생의 1차생산력 추정 38<br> 3.1. AVHRR/NDVI를 이용한 육상NPP의 추정 38<br> 3.2. NPP를 추정하는 생태계 모델 40<br> 3.2.1. 위성에 의한 LAI의 추정 41<br> 3.2.2. LAI의 생태계모델로의 통합 42<br> 3.3. 와 FOREST-BGC의 비교 43<br> 4. 식생도를 이용한 얼룩 올빼미 서식지 연구 44<br> 4.1. 개 요 44<br><br><br> 4.2. 원격탐사와 GIS기법을 이용한 林分(stand)기반 식생지도화기법의 유형과 구조 44<br> 4.3. 공간적 개체군 모형 45<br> 4.4. 얼룩올빼미 서식지의 SEPM모형 47<br><br> Ⅳ. 사례연구 51<br> 1.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선정 51<br> 2. 사례연구 대상지역의 현황 52<br> 2.1. 지형?지세 현황 52<br> 2.2. 산림 및 공원녹지현황 55<br> 2.3. 하천현황 57<br> 3. 이용가능한 위성자료 및 참조자료 57<br> 4. 분석결과물 및 시사점 58<br> 4.1. 양평군 전체분석 58<br> 4.1.1. 토지피복분류 결과 58<br> 4.1.2. 식생지수분석결과 60<br> 4.1.3. 식생분류 결과 65<br> 4.2. 심층분석 72<br> 4.2.1. 현존식생도의 문제점 72<br> 4.2.2. 식생분류 77<br> 4.2.3. 식생지수 91<br><br>Ⅴ. 식생분류도 활용방안 및 추진원칙 98<br> 1. 식생분류도의 활용방안 98<br> 2. 식생분류도 작성을 위한 추진원칙 및 향후 연구과제 99<br><br>Ⅵ. 요약 및 결론 102<br>참고문헌 103<br>부록 Ⅰ : 일본의 위성화상을 이용한 식생조사방법 109<br>부록 2 : 토지피복분류결과 및 정확도 검증 130<br><br> -
dc.format.extent ix, 170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Remote sensing -
dc.title 생태·자연도 작성 및 활용을 위한 원격탐사기법 연구Ⅱ -
dc.title.alternative 식생분류도 작성을 중심으로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Remote sensing technique for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ecosystem and natural chart Ⅱ: Focusing on the development of a plant life char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99-07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Wo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Hwi-Cheul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