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창희 -
dc.contributor.other 강대석 -
dc.contributor.other 남정호 -
dc.contributor.other 이병국 -
dc.contributor.other 유혜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5Z -
dc.date.issued 2001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1 RE-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5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1_RE06]하구석호(이창희).pdf -
dc.description.abstract Estuaries and coastal lagoons (estuarine environments) are typical transitional ecosystems between land and sea, where sea water is mixed with fresh water. It is well known that estuarine environments are very valuable ecosystems because of their unique ecological functions and geographical features, as well as socioeconomic values. These precious estuaries have, however, have become severely deteriorated and damaged by human activities through watersheds and intensive coastal developments. In this respect,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for protec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of estuarine environments that would support sustainable uses of those precious natural resources. 1. Management Strategies for Estuaries An assessment of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17 major estuaries in Korea indicated that most large estuaries have been extensively developed with poor environmental quality. Habitat losses were the major problem facing estuarine environments in Korea. It was estimated that about 30% of current estuarine habitats would be lost in next 10 years. Water qualities in coastal reservoirs formed by river-mouth dikes were also deteriorating, with a water quality of grade IV in terms of COD. Nutrient concentrations in coastal waters including the reservoirs exceeded the eutrophic level that causes harmful algal blooms. It was also predicted that nutrient concentrations in the coastal waters would consistently increase unless special nutrient reduction measures were implemented promptly. Estuary management capacities and efforts, however, seemed to be very limited mainly due to fragmented management systems, sectoral responsibilities and roles, and after-treatment management approaches. Two major management problems identified were the lack of strategies to protect the integrity of estuaries from increasing development and the lack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basis to establish sound management strategies. A new management framework based on integrated watershed approaches, therefore, is necessary to overcome those problems. Developed countries, including the USA, Canada, the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Japan,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stuaries early, and have established various statutory or non-statutory estuary programs to protect, improve, and restore estuaries. A common feature found in the estuary programs of those countries was that all the estuary management programs adopted a watershed concept characterized by integrated, incremental, and iterative approaches. Recently, estuary management has taken more aggressive tactics. For example, the USA enacted the 'Estuary Restoration Act of 2000' and established an ambitious plan to restore 4,000km2 of estuarine habitats by the year 2010. This study has developed estuarine environmental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the assessment results on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estuarine regions and experiences of other countries in estuary management. The 'creation of diverse, abundant, and productive estuaries' and 3I(Integrated, Incremental, and Iterative) approaches were suggested to pursue the long-term vision. Furthermore, estuary management targets and associated implementation measures were identified for four major management sectors: protection and conservation of valuable estuaries, improvement of deteriorated environmental conditions, restoration of estuarine habitats, and establishment of watershed-based estuary management systems. (Figure) Since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conditions of individual estuaries are quite different, the strategies need to be estuary-specific. In the management perspectives, therefore, 17 estuaries were classified into several different management types using the Pressure-State-Response (PSR) evaluation technique. The Sumjin River Estuary, one of a few major natural estuaries left in Korea, was selected as a demonstration site for its ecological value using an energy evaluation method and potential for development of site-specific management strategy and because it was classified in the improvement-restoration category by the PSR evaluation. 2. Management Strategies for Coastal Lagoons Livestock breeding and non-point pollution sources accounted for most pollutant inputs of the seven selected coastal lagoons in the east coast of Korea. Water qualities in most lagoons, except for Songji-Ho, were in deteriorated conditions in terms of both organic materials and nutrients. Hwajinpo-Ho and Kyungpo-Ho showed the worst water quality of all the sites. Despite their important ecological and geographical value, most coastal lagoons have been seriously deteriorated due to changes in lake morphology as a result of reclamation and man-made structures around lakes, destruction of ecosystems, and artificial modification of watershed area and waterways. The management of the coastal lagoons usually follows general lake or reservoir management frameworks without any special consideration. The lagoons have, therefore, management problems such as fragmented management authorities among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agencies and overlapping or uncle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mong the agencies. For example, there are no practical and appropriate coordination processes and systems to protect natural coastal lagoons from development if local governments choose to develop. The management of the coastal lagoons with uniqu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ecological and landscape values should focus on how those values can be maintained and protected. Lagoons were classified using the PSR evaluation technique with a focus on protec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perspectives. The PSR evaluation showed that the coastal lagoons with a high conservation value, such as Songji-Ho, need the central government's efforts because they are vulnerable to physical alterations by local development projects and their landscape and geographical values are prone to degradation by human activities. For the lagoons that have been used for other purposes, such Chungchho-Ho which has been used as a port, the management must focus on rational use with a priority on water quality improvement. In addition, multiple management measures including conservation, improvement, and restoration are needed for those lagoons under deterioration. In term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coastal lagoons should not be considered merely as one of the 18,000 lakes or reservoirs in Korea, but as a unique category. At least Songji-Ho and Hwajinpo-Ho need to be managed by the central government by designating them as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reas' or 'Designated Lakes'. To balance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from increasing development pressures, institutional assessment systems such as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preliminary environmental evaluation need to be strengthened. Research and monitoring on the functions and values of coastal lagoons, education and public awareness campaigns on the importance of the lagoons, and support for the activities of nongovernmental environmental organizations to conserve the lagoons are also needed. This study found that regardless of their ecological value, estuaries and coastal lagoons in Korea have deteriorated due to a lack of appropriate management systems and imprudent development and utilization. Furthermore, considering the fact that destruction of the estuaries has been caused by national development projects, the study urges the Korean government to change its development-oriented policies on estuaries and coastal lagoons to more sustainable ones so that future generations may enjoy the benefits from healthy natural estuaries and coastal lagoons. The Korean government, thus, needs to declare that it will no longer promote any development-oriented policy that might destroy valuable estuaries and coastal lagoons, in preparing for the 2002 WSSD which will be held in South Africa in 2002.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1. 연구의 필요성 <br>2. 목적 <br>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1. 선행연구 고찰 <br>2. 연구범위 <br>3. 연구방법 <br>제2장 하구의 정의 및 특성 <br>제1절 하구의 정의 및 범위 <br>1. 정의 <br>2. 범위 <br>제2절 하구환경의 특징 <br>1. 하구의 물리화학적 특징 <br>2. 하구의 생물지리학적 특징 <br>제3절 하구환경관리의 중요성 및 일반현안 <br>1. 하구환경관리의 중요성 <br>2. 하구환경관리 일반현안 <br>제3장 하구·석호 환경현황 및 관리문제점 <br>제1절 하구환경현황 및 문제점 <br>1. 인문사회현황 <br>2. 수질환경 및 오염부하현황 <br>3. 생태계현황 <br>4. 기타 환경현황 <br>5. 하구환경현황의 문제점 종합 <br>제2절 하구환경관리 현황 및 문제점 <br>1. 하구환경관리 관련법제도 현황 <br>2. 하구환경관리의 문제점 종합 <br>제3절 석호 환경관리현황 및 문제점 <br>1. 동해안 석호의 유역개황 <br>2. 인문사회현황 <br>3. 수질환경 및 오염부하현황 <br>4. 생태계현황 <br>5. 동해안 석호의 상태와 훼손원인 <br>6. 석호 환경현황 및 문제점 <br>7. 석호 환경관리 현황 및 문제점 <br>제4장 하구환경관리 외국사례 <br>제1절 법정 하구환경관리체제 <br>1. 개요 <br>2. 하구연구보전시스템 <br>3. 하구프로그램 <br>4. 하구서식지 복원프로그램 <br>제2절 비법정 하구환경관리체제 <br>1. 개요 <br>2. 캐나다의 프레이저 하구관리 프로그램 <br>3. 호주의 더웬트 하구관리 프로그램 <br>4. 영국의 템즈 하구 프로그램 <br>5. 일본의 케센누미灣(氣仙沼灣, 大川河口) 관리계획 <br>제3절 외국 하구환경관리의 시사점 <br>1. 하구환경관리에 대한 통합적 접근 <br>2. 개발과 환경보전의 균형 및 조화 <br>3.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시행 <br>4. 이해당사자의 참여 및 이해상충 조정 <br>5. 하구관리기반의 구축 <br>제5장 하구 및 석호 환경관리 기본방안 <br>제1절 하구환경관리 기본방안 <br>1. 비전 및 관리원칙 <br>2. 목표 및 추진전략 <br>3. 부문별 시행방안 <br>4. 하구유형 분류 <br>제2절 석호환경관리 기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 장 서 론 1<br><br>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3<br>1. 연구의 필요성 3<br>2. 목 적 5<br>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6<br>1. 선행연구 고찰 6<br>2. 연구범위 8<br>3. 연구방법 13<br><br>제 2 장 하구의 정의 및 특성 17<br><br>제1절 하구의 정의 및 범위 19<br>1. 정 의 19<br>2. 범 위 21<br>제2절 하구환경의 특징 23<br>1. 하구의 물리화학적 특징 23<br>2. 하구의 생물지리학적 특징 27<br>제3절 하구환경관리의 중요성 및 일반현안 28<br>1. 하구환경관리의 중요성 28<br>2. 하구환경관리 일반현안 32<br><br>제 3 장 하구석호 환경현황 및 관리문제점 35<br><br>제1절 하구환경 현황 및 문제점 37<br>1. 인문사회 현황 37<br>2. 수질환경 및 오염부하 현황 52<br>3. 생태계 현황 62<br>4. 기타 환경 현황 68<br>5. 하구환경현황의 문제점 종합 70<br>제2절 하구환경관리 현황 및 문제점 73<br>1. 하구환경관리 관련법제도 현황 73<br>2. 하구환경관리의 문제점 종합 89<br>제3절 석호 환경관리현황 및 문제점 92<br>1. 동해안 석호의 유역개황 92<br>2. 인문사회현황 93<br>3. 수질환경 및 오염부하 현황 105<br>4. 생태계 현황 110<br>5. 동해안 석호의 상태와 훼손원인 112<br>6. 석호 환경현황 및 문제점 115<br>7. 석호 환경관리 현황 및 문제점 115<br><br>제 4 장 하구환경관리 외국사례 119<br><br>제1절 법정 하구환경관리체제 121<br>1. 개 요 121<br>2. 하구연구보전시스템 121<br>3. 하구프로그램 127<br>4. 하구서식지 복원프로그램 131<br>제2절 비법정 하구환경관리체제 134<br>1. 개 요 134<br>2. 캐나다의 프레이저하구 관리프로그램 134<br>3. 호주의 더웬트 하구관리프로그램 141<br>4. 영국의 템즈하구프로그램 145<br>5. 일본의 氣仙沼灣(大川河口) 관리계획 150<br>제3절 외국 하구환경관리의 시사점 151<br>1. 하구환경 관리에 대한 통합적 접근 151<br>2. 개발과 환경보전의 균형 및 조화 153<br>3. 보호구역의 지정 및 관리계획 수립·시행 153<br>4. 이해당사자의 참여 및 이해상충 조정 154<br>5. 하구관리기반의 구축 155<br>제 5 장 하구 및 석호 환경관리 기본방안 157<br><br>제1절 하구 환경관리 기본방안 159<br>1. 비전 및 관리원칙 159<br>2. 목표 및 추진전략 163<br>3. 부문별 시행방안 166<br>4. 하구유형 분류 190<br>제2절 석호 환경관리 기본방안 196<br>1. 관리기본방향 196<br>2. 석호의 관리유형 분류 197<br>3. 석호 환경관리 시행방안 201<br><br>제 6 장 관리기본방안 사례연구 209<br><br>제1절 섬진강하구 환경관리방안 211<br>1. 섬진강 하구 관리범위 설정 211<br>2. 섬진강 하구 지역특성 213<br>3. 섬진강 하구의 생태가치 252<br>4. 섬진강 하구환경관리방안 262<br>제2절 송지호 환경관리방안 268<br>1. 지역특성 및 문제점 268<br>2. 송지호의 생태적 가치 270<br>3. 송지호 환경관리방안 271<br><br>제 7 장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275<br><br>제1절 정책 제언 277<br>1. 하구 환경관리 부문 277<br>2. 석호 환경관리 부문 284<br>제2절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285<br><br>[참고문헌] 289<br>[부 록] 298 -
dc.format.extent xx, 368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한국해양수산개발원 -
dc.subject Marine pollution- Environmental aspects -
dc.title 하구·석호 육해전이수역 통합환경관리방안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for estuarine environments in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1-06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I. 연구의 필요성 및 범위 하구는 담수와 해수가 만나 형성되는 독특한 환경으로 인해 생산성이 아주 높을 뿐만 아니라 지구상 생태계 중에서 단위면적당 환경가치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하구의 생태적·사회경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 하구의 대부분은 산업용지 및 농업용지 조성 등 연안개발을 목적으로 한 대단위 간척사업과, 용수확보, 염해방지를 위한 하구언의 건설로 인해 한강, 섬진강 및 소규모 하구를 제외하고는 자연적인 하구가 없는 실정이다. 또한 후빙기의 해수면 상승으로 인해 형성된 동해안 석호는 우리나라에는 찾아보기 힘든 자연호수로 독특한 환경과 생물상을 가지고 있지만, 많은 석호가 훼손되거나 파괴되어 자연상태를 유지하는 석호는 2∼3개 정도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하구·석호 육해 전이수역의 고유한 기능과 가치를 유지·보전하여 지속가능한 이용을 보장할 수 있는 유역단위 통합환경관리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기간, 재원, 인력의 한계를 고려하여 연구범위는 하구의 경우 국가하천 13개소와 지방1급하천 4개소, 석호의 경우 청초호, 경포호, 화진포호 등 9개의 석호를 하구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하구의 정의 및 관리범위, 하구의 환경실태 및 이용, 보전, 개발현황, 외국의 하구관리정책 및 제도 등을 국내외 관련문헌, 환경조사자료 등을 통해 수집·분석한 후, 하구 및 석호의 관리기본방안과 부문별 시행방안을 도출하였다. II. 하구의 정의 및 특성 하구환경관리에 직접적으로 적용되는 국내 법제가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환경관리에 있어 하구 및 하구역에 대한 명확한 정의는 내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미국 청정수법의 정의에 따라 '하천이 개방해역과 인위적으로 방해받지 않고 연결되어 해수의 염분이 담수유입에 의해 측정할 수 있을 정도의 희석이 일어나는 수역 또는 수역의 일부'로 하구를 정의하였다. 우리나라 동해안의 석호는 공간적으로 해양과 육지의 전이수역에 위치하며, 하구와 같이 담수와 해수가 혼합된 기수환경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넓은 의미에서 하구의 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하구의 범위는 하구보전지역의 지정이나 하구환경관리프로그램의 관리경계를 설정하는데 아주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하구의 상류경계는 역사적으로 조석이 영향을 미쳤던 상류한계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하류경계는 하구의 자연조건, 관리목적, 과학적 자료, 정치적 상황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밀도가 다른 담수와 해수의 흐름이 공존하여 독특한 물순환 패턴을 보이는 하구는 육상환경과 해양환경이 만나서 만들어지는 연안산림, 연안초지, 습지, 늪지, 갯벌, 조하대 등 다양한 연안환경을 포함하고 있으며, 담수생태계와 해수생태계가 공존하는 점이지대로서 다양하고 풍부한 야생생물의 서식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함께, 지역경제 기여, 산란장 및 은신처, 오염물 정화, 심미적·문화적 가치, 자연재해 방지, 교육 및 과학연구 등 다양한 가치를 제공하고 있다. III. 하구·석호 환경현황 및 관리문제점 1. 하구 환경현황 및 관리문제점 하구지역의 자원과 공간은 다른 연안지역 및 육지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고밀도로 이용되고 있어, 하구지역 및 주변지역에 대한 개발압력은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었다. 하구지역의 인구, 면적은 전국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는 반면, 상대적으로 환경에 미치는 압력이 높은 요인인 공장용지, 산업단지, 매립계획 등은 인구·면적과 비교하여 매우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또한 항만하역능력은 전국 항만의 75%를 차지하여 항만운영에 따른 오염잠재력은 하구지역 항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연하구의 하천수질은 BOD기준 III등급의 양호한 상태를 보이고 있지만, 하구호의 경우 COD 기준 IV등급으로 수질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90년대 이후 정부의 지속적인 환경개선 노력으로 4대강 하천의 수질은 개선되고 있지만, 중앙부처의 투자가 미흡한 중소규모 하천의 경우 수질이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하구연안해역의 경우 BOD나 COD 기준 수질이 개선되고 있고 연안해역에 대한 오염부하가 감소하고 있지만, 해역의 부영양화나 적조 원인 물질인 총질소와 총인은 지속적인 증가추세에 있다. 반폐쇄성 해역과 연결되어 있는 하구의 경우 해수수질은 III등급으로 악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하구지역 습지는 현재 최대 984.7㎢로 추정되는데, 제2차 공유수면매립이 완료되는 2011년에는 30%의 하구습지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된다. 하구언댐 축조는 하구지역 습지의 훼손에 결정적 역할을 하고 있으며, 산업단지, 도시지역 등 연안공간 이용수요 증대에 따른 개발압력이 가중되고 있어 하구습지 면적의 감소와 함께 습지기능의 약화가 우려된다. 방조제 건설과 하구연안지역 개발에 의한 경관 훼손, 육상쓰레기의 유입, 항만지역 및 조선소가 위치한 하구 TBT 오염, 반폐쇄성 내만 해역의 경중금속 오염은 개방형 하구보다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구환경이 다양한 문제점을 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차원의 하구관리노력은대부분 사후대책의 형태로 추진되고 있다. 이는 매체별 또는 관리대상별 환경관리체제로 인해 하구 공간을 하나의 관리단위로 바라보는 관리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지나치게 분화된 관리체계로 인해 하구환경관리를 통합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관리구조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용지확보, 용수이용, 항만건설 등 개발압력은 증가하고 있지만 이러한 개발로부터 하구환경을 보전할 수 있는 보전전략의 부재와 하구관리를 위한 지식기반의 취약 등도 우리나라의 하구환경관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으로 지적될 수 있다. 2. 석호 환경현황 및 관리문제점 도시가 인접한 석호의 경우 인구에 의한 오염부하가 높게 나타났으나, 대부분의 석호 유역에서 축산과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송지호를 제외한 대부분 석호의 수질은 유기물과 영양염류 모두 전반적으로 악화된 상황이었으며, 특히 화진포호와 경포호 등은 수질악화가 심각한 수준이었다. 또한 자연호인 석호가 가지고 있는 생태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매립, 인공시설물에 의한 호수의 훼손, 호수생태계의 파괴, 유역 및 수로의 인위적 변경 등에 의해 동해안의 대부분의 석호들이 심각하게 훼손된 상태였다. 석호 환경관리는 기본적으로 호수환경관리체제에 따르는데, 환경부가 관련법에 의해 감독기능을 하며 호수가 위치하는 시·군이 환경관리 기능을 위임받아 수행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석호는 이용형태와 사업규모에 따라 중앙부처와 자치단체가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다원화된 관리체제 하에 있기 때문에, 권한관계에 있어 기능중복이 존재하고 업무분담의 구분이 불명확하여 책임소재의 파악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개발 지향적인 경우 이를 제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으며, 지방자치단체가 석호 환경보전 대책들 중 일부는 오히려 호수의 훼손을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IV. 하구 환경관리 외국사례 우리나라 하구환경관리에 적용할 수 있는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하여 이미 다양한 수준의 관리정책과 각 국의 실정에 적합한 하구관리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미국, 캐나다, 호주, 영국, 일본의 하구관리 사례를 분석하였다.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본 연구에서 사례분석을 위해 선정한 환경선진국들도 하구환경관리의 부재로 인한 환경악화를 경험하였다. 이들 나라의 하구환경관리체제는 크게 법정하구관리프로그램과 비법정 하구관리프로그램으로 구분할 수 있다. 미국은 이미 20년 전부터 하구환경의 가치를 인식하고 법정하구환경관리프로그램을 통해 하구를 관리하고 있다. 미국의 하구관련 프로그램은, 하구생태계를 보호함으로써 지속적인 하구관련 연구와 교육을 보장하는 하구연구보전시스템, 주요 하구의 고유한 기능과 가치를 유지·개선할 목적으로 운영되는 하구프로그램, 훼손된 하구서식지의 복원을 위한 하구복원프로그램으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하구복원법을 제정한 미국은 2010년까지 100만 에이커(4천㎢)의 하구서식지를 복원하기 위한 법정 프로그램을 도입·운영하고 있다. 캐나다, 호주, 영국, 일본의 경우 미국과 달리 하구의 환경관리를 위한 법정프로그램은 가지고 있지 않다. 대신 이들 나라는 기존의 관리체제 아래에서 하구관련부처나 이해당사자 간의 업무조정 및 협조를 바탕으로, 하구별 비법정 하구환경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하구 훼손 방지, 하구환경 개선, 하구환경 보전 등 효율적인 하구이용을 도모하고 있다. 외국의 하구환경관리사례는 통합적이고, 점진적이며 반복적인 과정과 절차에 따라 관리를 시행할 때 하구환경관리가 가지는 다양성, 이해의 상충, 관리체제의 분화 및 지식기반의 부재 등과 같은 문제를 극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즉, 하구를 하나의 관리단위로 보고 영향유역을 고려하는 공간통합, 하구를 하나의 관리단위로 설정하고 각 관리매체 및 대상을 묶어 관리하는 연계성의 확보, 다양한 이해상충 조정 및 의사결정 과정의 통합성 제고 등 소위 통합적 유역관리의 개념이 하구환경관리의 근간을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V. 하구 및 석호 환경관리 기본방안 우리나라 하구·석호의 환경현황 및 관리실태에 대한 분석과 외국의 하구환경관리사례 분석으로부터 도출한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의 하구환경관리를 위한 기본방침과 부분별 관리시행방안을 제시하였다. 1. 하구 환경관리 기본방안 하구환경관리가 지향해야 할 비전으로 '강과 바다가 만나 다양함과 생명력이 넘치는 풍요로운 삶의 터전 창조'를 제시하였으며,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기본 원칙으로 통합적 유역관리의 핵심요소인 지속가능의 원칙, 동반자적 협력관리의 원칙, 생태계 중심관리의 원칙 및 통합관리의 원칙을 제안하였다. 하구관리의 실질적인 전략으로 하구서식지의 훼손방지 및 서식지 보호, 하구환경 개선, 훼손된 하구서식지 복원과 이를 지원하기 위한 하구환경관리체제 확립 등 4개 분야로 설정하고 부문별 목표와 시행방안을 도출하였다. 하구환경관리를 위한 각 부문별 목표는, 하구서식지 보호의 경우 하구서식지의 면적을 현재의 수준으로 유지하고, 하구환경질 개선부문의 경우에는 하구언유무에 따라 하구역의 하천 및 해양경계지점에서 수질환경기준 I등급 또는 II등급을 달성하는 것을 목표로 제안하였다. 하구서식지 복원의 목표는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습지보전법에 의한 대체습지의 조성 및 복원을 위한 시범사업추진에 두었으며, 관리체제의 확립은 하구별 환경관리체제의 확립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전략분야의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전략부문별 시행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그 주요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하구서식지 보호 하구서식지 보호부문의 시행방안으로는 낙동강 하구와 같이 자연환경보호구역으로 이미 지정된 지역의 경우 통합공간관리가 가능한 관리체제로 전환이 필요하며, 하구환경의 적극적인 보호를 위해 한강하구 등 일부하구를 환경보호구역으로 지정해야 할 것이다. 특히, 하구는 매우 광범위하기 때문에 전체를 보호구역으로 지정하기보다는 보호가치가 크고 현실적으로 보호구역 지정이 용이한 지역을 소규모로 분할 지정하고 생태통로 건설 등을 포함하여 보호구역간의 관리연계성을 강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하구환경 개선 하구환경개선 부문 목표 달성을 위해 4대강 하구역 수질개선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상대적으로 수질관리가 미흡한 중소규모 하구의 수질개선, 하구폐기물 관리강화, 하구지형·경관특성의 유지 및 하구가 주민의 여가활동 장소로 이용되도록 지원하기 위한 생활환경질 개선대책이 추진되어야 한다. 제도적으로 하구수질 및 환경개선 사업을 지원하기 위해 수질환경보전법 개정을 통한 지정하구(가칭) 도입 또는 해양오염방지법 개정을 통한 환경관리해역제도의 내용적 관리범위 확대가 현실적으로 고려될 수 있다. 지정하구제 도입과 환경관리해역 관리범위 확대는 관련 부처인 환경부와 해양수산부 합동으로 하구환경관리를 위한 가장 효과적인 정책대안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상호보완적으로 운영될 수 있다. ▣ 하구환경복원 하구언 또는 인공방조제 건설 시 생태계 및 종합환경질을 고려한 하구정책을 시행하고 적극적인 하구복원사업의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서는 환경부, 해양수산부, 농림부 및 건교부 합동으로 하구역에 건설된 하구언 및 인공방조제가 당초의 치수, 이수 및 매립 등의 목적을 충분히 달성하였는지 평가하는 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이와 병행하여 하구구조물 건설로 인해 야기된 하구의 물리, 화학, 생물, 지리 및 생태학적 영향을 종합적으로 평가하는 조사·연구사업이 추진되어야 한다. 또한, 적극적인 하구환경정책으로의 전환을 위해서는 하구복원에 대한 국가전략 및 지침을 개발하고 하구복원을 위해 영산강 하구 등 특정하구를 대상으로 한 시범사업 개발이 필요하다. ▣ 하구환경관리체제 확립 하구환경의 보호, 개선 및 복원을 위해서는 하구를 하나의 관리단위로 하는 하구환경관리체제의 수립이 필요하며 이런 관점에서 가장 시급한 것은 기존 환경관리체제의 통합 및 의사결정과정에서의 통합성을 제고할 수 있는 하구별 환경관리프로그램의 구축 및 운영이다. 또한 주요 하구이외의 하구에 대해서는 각 하구의 특성과 관리여건을 반영하여 하구환경현안을 해결하고 합의를 도출할 수 있는 비법정 하구환경관리프로그램을 운영하도록 유도해야할 것이다. 이와 함께 기초조사의 확충, 하구환경 모니터링 능력을 제고하기 위한 수질측정망 개선, 의사결정 지원시스템 구축, 하구환경관리에 대한 추진동력을 제공하는 시민 의식 및 참여를 제고하기 위한 각종 교육·홍보 활동 및 주민참여 프로그램의 개발·운영 등 하구환경관리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관리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하구에 대한 종합적인 기초조사와 함께 중장기적인 연구 및 교육·홍보는 지역에 위치하는 대학이나 연구기관에 지역하구환경관리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지원하는 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 PSR평가를 통한 하구별 환경관리기본방향 본 연구에서는 하구별 특성을 파악하고 특성별 관리기본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연구범위로 포함된 하구에 대해 하구의 상태, 하구환경관리의 압력, 압력에 대한 대응자료에 기초하여 유형분류를 수행하였다. 분류결과 양양남대천 등 4개의 1급지방하천 하구는 보호를, 태화강 및 형산강하구는 개선을, 영산강 하구는 복원 중심의 관리가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낙동강, 섬진강, 금강, 안성천 및 삽교천 하구는 개선과 복원을 병행하고 한강, 만경강, 가화천 및 동진강 하구는 개선과 보호에 중점을 두어 관리를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분류되었다. 2. 석호 환경관리기본방안 독특한 환경특성과 생태·경관가치를 가지고 있는 석호의 환경관리는 경관가치와 지형가치를 어떻게 유지·보전할 것인지에 관리의 초점이 맞추어져야 한다. 특히, 석호는 하구환경과는 달리 규모가 매우 작아 지역적인 개발사업에 의해 물리적 원형이 쉽게 훼손될 수 있으며, 경관가치와 지형가치는 인위적인 활동에 취약하므로 보호가치가 있는 석호에 대한 보호정책은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이와 함께 이미 석호의 특성이 파괴되었거나 항만 등 다른 용도로 사용되는 석호는 수질개선에 바탕을 둔 이용합리화에 초점을 맞추어야 하며, 현재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석호에 대해서는 보전과 복원노력을 병행하는 다원적인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 PSR구조에 의해 관리유형별로 석호를 구분한 결과, 송지호 및 화진포호는 보호 정책이 우선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매호 및 향호는 보호 및 개선을, 영랑호 및 경포호는 개선 및 복원을, 청초호는 이용을 중심으로 관리를 추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호중심의 석호는 뛰어난 경관적 가치와 우리나라 일반적인 호소와는 달리 자연호이며 동시에 육해 전이수역에 위치하는 기수호라는 지형적·생태적 특이성을 고려하여 생태계보전지역 또는 지정호소로 지정하여 중앙정부차원에서 보호·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또한, 석호는 수면적에 비해 유역면적이 넓고, 유입하천유량이 적으며, 기수호라는 특수성에 의한 성층 등 수질관리에 매우 취약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므로 호소수질관리의 차원에서 석호의 특성별로 가용한 외부오염원 및 내부오염원 관리수단을 동원하여 수질보전 및 개선에 주력해야 할 것이다. 관리체제의 측면에서 석호를 단순히 우리나라 18,000개의 호소 중 일부로 평가해서는 안되며, 적어도 송지호 및 화진포호는 생태계보전지역이나 지정호소로 지정하여 중앙정부 차원의 관리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가중되는 개발압력으로부터 개발과 보전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 사전환경성평가 등의 제도적인 평가체제를 강화하는 동시에 석호환경의 기능과 가치에 대한 조사·연구의 추진, 석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제고를 위한 교육·홍보 및 석호환경 보전을 위한 환경단체의 활동 지원 등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VI. 관리기본방안 사례연구 하구 및 석호에 대한 관리기본방안을 섬진강 하구와 송지호에 적용하여 자연환경, 인문사회 현황 등의 자료를 토대로 관리범위 설정과 대상지역 관리방안을 도출하였다. 자연자원이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진정한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개발된 에머지 평가기법을 이용하여 섬진강 하구와 송지호의 생태적 가치를 추정하여 관리방안 도출에 활용하였다. 1. 섬진강하구 관리기본방안 섬진강 하구 상류쪽 경계는 조석이 영향을 미치는 범위를 기준으로 할 때, 광양시 소재 다압취수장 부근 지점이며, 바다쪽 경계는 관리여건을 고려하여 광양만 특별관리해역의 경계로 설정될 수 있다. 동 지역은 대규모 국가산업단지와 배후도시가 위치하여 산업 및 인구에 의한 이용압력이 높게 나타났고, 평균 수질은 해역수질기준 III등급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금속과 유해화학물질이 공단주변의 하천 및 해수에서 검출되어 향후 이들에 의한 오염이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산업단지 확장과 추가 건설을 위한 매립 등 대규모 개발계획이 추진되고 있어 생물서식지의 감소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원유 및 석유류 제품을 수송하는 대형 선박의 입출항이 잦은 항구들이 위치하고 있어 대규모 유류오염이 우려되고 있다. 현재 환경부의 물관리 종합대책, 해양오염방지법상의 광양만 특별관리해역 등이 수립·시행될 예정이지만 관련부처간 섬진강 하구관할범위가 모호하여 하구 중심부는 관리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섬진강 하구환경관리방안은 관리제도 및 체계정비, 하구환경질의 개선, 생태계 복원, 생태계 가치평가에 기초한 관리계획 수립, 섬진강하구연구센터 운영, 지역이해당사자의 참여 제고 등으로 구분되어 제시되었다. 먼저, 관리제도 및 체계 정비부문의 경우 섬진강 하구를 하구환경보전지역으로 별도로 지정하기보다는 기존의 광양만 특별관리해역을 하구환경관리를 포함하여 확대운영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보인다. 관리주체 구성과정에서 섬진강 수계의 상류에 위치하는 지자체를 포함한 다양한 이해당사자들이 섬진강 하구관리에 참여함으로써 성공적인 하구관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섬진강 하구의 환경질 관리부문에서 하천쪽 수질은 BOD 기준 I등급, 바다쪽 경계의 해양수질은 II등급으로 관리목표를 설정하였는데, 수질개선을 위해서는 주변 산업단지와 배후도시의 오염원관리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에머지 평가결과 섬진강 하구역은 약 2,900백만원/ha/년으로 생태적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섬진강 하구가 철강 및 석유화학 등 산업활동을 위한 공간으로 사용됨으로써 우리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 외에도 하구생태계의 기여가치가 아주 높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편 과학적이고 종합적인 섬진강 하구환경에 대한 자료의 부족은 섬진강 하구환경관리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연구·조사의 수행이 가능하도록 섬진강 하구지역에 위치한 연구기관이나 대학을 섬진강하구연구센터로 지정하여 섬진강 하구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2. 송지호 관리기본방안 동해안 석호 중 소규모인 송지호는 유역내의 인구가 적고 인위적 오염원이 적어 비교적 보존 상태가 양호한 편에 속한다. 빼어난 경관과 양호한 보존상태로 지형경관에 대해서는 높은 보존등급을 보였지만, 생물종 다양성과 풍부성을 이용한 평가는 송지호의 훼손이 많이 진행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송지호는 고니 등의 집단도래보호구로 지정되어 철새도래지로서 큰 가치를 지니고 있다. 송지호는 다른 석호들에 비해 수질이 전 항목에 걸쳐 가장 좋은 상태를 보였지만, 총인과 총질소 기준 III~IV 등급에 해당되어 호수의 수질 악화를 막기 위한 대책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염원으로는 축산폐기물과 비점오염원에 의한 부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에머지 평가 결과 송지호 생태가치는 약 130만원/ha/년으로 섬진강 하구에 비해 훨씬 낮게 평가되었지만, 육상의 일부 생태계에 비해서는 높았다. 송지호의 경우 본 연구의 에머지 평가에서 포함시키지 못한 지형·경관의 가치가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송지호의 자연환경 및 인문사회 특성에 기초하여 제시된 송지호의 환경관리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관리제도 및 관리체계 재정비 부문에서는 송지호 유역을 생태계보전지역이나 지정호소로 지정하여 관리함으로써 관리효율성을 높일 필요가 있는데, 대안으로 호수주변의 토지를 매입하여 관리하는 방법이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석호관리기준을 체계화하여 중앙-지방간 역할 분담을 재정립할 필요가 있으며, 이 경우 중앙정부 차원에서 석호에 대한 관리지침을 세워야 할 것이다. 둘째, 호수 수질관리를 위해서는 영양염류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며, 축산오염과 비점오염원의 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셋째, 석호의 가치평가에 기초한 개발계획을 재검토하고, 석호의 가치를 잘 보전할 수 있는 간접적 개발방안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석호 생태계에 대한 정밀 조사·연구가 필요하며, 여기에서 얻은 자료는 석호에 대한 올바른 가치인식 및 송지호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다섯째, 송지호 관리를 위한 유역단위의 지역연합체로 송지호 관리위원회(가칭)를 구성하여 송지호의 관리에 지역주민의 참여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 VII. 정책제언 및 향후 연구방향 모든 인간생존의 바탕인 자연환경의 현명한 이용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하게 요구되고 있는 시점에서 다양한 가치를 보유하고 있는 하구·석호 환경이 더 이상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국가정책의 획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가주도의 대규모 하구개발사업에 대한 포기선언은 이러한 정책전환의 출발점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외국의 사례에서 보듯이 통합적이고, 점진적이며 반복적인 과정과 절차를 기반으로 한 하구환경관리체제는 향후 국가하구관리정책의 근간이 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관리의 사각지대에 있는 육해 전이환경인 하구와 석호에 대한 종합적이고 광범위한 자료 수집·분석을 토대로, 환경관리를 위한 기본 정책방향과 시행방안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하구·석호에 대한 기존의 연구가 매우 미흡하여 본 연구에서 실질적인 관리에 필요한 모든 사안을 심층적으로 다루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런 관점에서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추진해야 할 연구내용 및 분야로, i) 종합적인 기초조사 및 환경현황 파악, ii) 수질이외에 하구생태계의 생태적 기능에 대한 연구, iii) 자연자원으로서의 가치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연구, iv) 하구환경관리를 위해서는 현행의 분화된 관리체제에 대한 명확한 이해와 정리, v) 하구관련 조사연구에 대한 단기, 중기, 장기조사연구전략 수립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ng-H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a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Dae-Seok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Na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eong-H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Byung-Kook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Yo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Hye-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