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Ⅱ

Title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Ⅱ
Other Titles
삼림부문의 생기후모형개발을 중심으로
Authors
전성우
Co-Author
박용하; 정휘철; Harasawa; Hideo; Takahashi; Kiyoshi
Issue Date
2001-12-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1-08
Page
vi, 129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53
Language
한국어
Keywords
Forest microclimatology
Abstract
1. Objectives - To prepare primary data and conduct the modeling of the forest distribution assessment model selected in 2000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modeling results -To assess the change in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forest through climate change 2. Results and Policy Proposals -There is a need for artificial measurements of 16% of the forest until the year 2100, according to the results on forest distribution change in Korea based on the IPCC IS92a scenarios. -In case that the yearly mean movement growth rate of the forest is below than 0.25km per year, it is estimated that there will be a loss of US$3.5billion annually due to the futility of forest adaptation. North Korea is also to be more affected than the South Korea. -The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is necessary to fully assess the impact of forest and other ecosystem fields. This includes a correspondence plan at national level and continuous establishment of the basic data 3. Implementation Plan -To understand the forest distribution change through climate change at a national level -To estimate the forest distribution change by climate scenarios 4. Strengths of the report -Research was conducted in collaboration with a Japanese research group who are experts on the international impact assessment model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imely propriety and had reliable research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4


Ⅱ. 삼림영향예측모형의 이론적 고찰 6

1. 실험법 7

2. 유추법 7

3. 전문가 판단 7

4. 정량적 모형 8
4.1. 생물·물리적 모형 8
4.2. 경제모형 14
4.3. 통합모형 15


Ⅲ. 모델의 선정 및 부분별 적용방법 17

1. 모델의 선정 17

2. 기온상승시나리오 18

3. 대기대순환모형(GCM)과 지역대기순환모형(RCM) 20

4. 기온감율을 고려한 기온의 공간내삽방법 24
4.1 일평균 기온감율의 추정 24
4.2 기온감율 기반의 공간내삽모형 25

5. 삼림영향모형 26

6. 삼림의 적응성 추정 30


Ⅳ. 모델의 적용 및 분석 33

1. 연구대상지역의 선정 33

2. 미래 기후의 추정 34
2.1. 기온 37
2.2. 강수량 43
2.3. 기후예측결과 45

3. AIM의 Holdridge 모델을 이용한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결과 52
3.1. 기후변화에 의한 삼림의 변화 52
3.2. 온량지수와 현존식생도를 이용한 모델의 검증 54
3.3. Holdridge 모델의 예측결과 59

4. 기후대의 변화가 지역 삼림에 미치는 영향 61
4.1. 영향 분석의 구조 61
4.2.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적응성 예측결과 64

5.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액의 추정 68
5.1. NCEAS 모형 68
5.2 경제적 가치 손실액의 예측결과 69
6. 수종별 적응성 평가 68


Ⅴ. 요약 및 제안 80

1. 요약 80

2. 정책제언 81


참고문헌 84

부록 Ⅰ :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94

부록 Ⅱ : IPCC SRES 설명 105

부록 Ⅲ : BIOME3 모델개요 119

부록 Ⅳ : 우리나라의 삼림식물대 124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