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Title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Authors
변병설
Co-Author
윤갑식
Issue Date
2001-12-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1-09
Page
vi, 116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54
Language
한국어
Keywords
Regional planning- Environmental aspects
Abstract
Recently, the peaceful exchange of cooperation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t the government and civil organization levels has opened the prospects of reconciliation for the two countries. As the inter-Korean cooperation is making significant progress in the areas of economy and development, however, the environment around the border territory, which has high ecological value, has the possibility of being harmed in the process of this cooperation. Because of the detriment to the territory’s environment, it is necessary that current inter-Korean cooperation projects consider ways to allow development in an environment-friendly manner.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present conditions of environmental management by observing the societies, economies, territorial utilization, and environments of both North and South Korea. It also analyzed the problems of the two Koreas’ ongoing cooperative exchange in three areas: economy,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eservation. The principles and objectives for territorial environment management that the study found were based on the foreign case studies and North Korean environmental management. The objectives included the security of the environment, the restoration of territorial unity and the pursuit of balanced development, provided that the unification would be gradual and peaceful. The progress of reunification would determine the system of environmental management for the territory focusing on the considered objectives. In order to secure an environmentally healthy border territory, the study recommends the establishment of three steps. The first step calls for non-government organizations, including research institutes, to take positive ac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in the border territory. The second step involves direct exchange between the countries with the government playing a key role. The third step includes the establishment of a comprehensive territorial plan for the territory in terms of environmental preservation. In order to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and simultaneous restoration of territorial unity, it will be necessary to initially secure territorial unity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balanced development. Subsequently, the territorial environmental management needs to be developed and assessed, and then finally integrated into existing economic, environmental, and development policies.

Table Of Contents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남북한의 국토환경 현황 6
1. 사회·경제적 현황 6
1.1. 인구 6
1.2. 경제 7
1.3. 사회간접자본 10
2. 국토이용현황 16
2.1. 남북한의 국토관리체계 16
2.2. 남북한의 토지이용 24
3. 환경관리 현황 32
3.1. 남북한의 환경정책 32
3.2. 남북한의 환경오염 39
3.3. 환경오염의 원인 47
Ⅲ. 남북한 국토환경 분야 교류협력의 현황과 문제점 51
1. 남북한 교류협력의 제도적 변화 51
2. 사회·경제부문의 교류협력 현황 52
2.1. 사회부문 교류협력 52
2.2. 경제부문 교류협력 54
3. 개발부문의 교류협력 현황 56
3.1 교류협력의 개관 56
3.2. 교류협력의 사례 57
4. 환경보전부문의 교류협력 현황 68
4.1. 교류협력의 개관 68
4.2. 교류협력의 사례 69
5. 교류협력의 문제점 72
5.1. 교류협력 사업에서 환경성 확보 미흡 73
5.2. 국토의 균형개발에 대한 고려 미흡 73
5.3. 교류협력의 제도적 기반 취약 74
Ⅳ. 통일 독일의 국토환경관리 현황과 시사점 75
1. 통일 이전의 동서독 교류협력 현황 75
1.1. 개발부문의 교류협력 75
1.2. 환경부문의 교류협력 77
2. 통일 독일의 국토환경관리 현황 82
2.1. 지역개발정책 83
2.2. 환경보전정책 87
3. 통일 독일의 시사점 93
3.1. 개발부문 교류협력의 시사점 93
3.2. 환경부문 교류협력의 시사점 94
3.3. 통일 독일 지역개발정책의 시사점 95
3.4. 통일 독일 환경보전정책의 시사점 96
Ⅴ.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의 기본방향 98
1.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의 원칙 98
2.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의 기본목표 101
2.1. 국토의 친환경성 확보 101
2.2. 국토의 일체성 회복 및 균형발전 추구 101
3. 단계별 국토환경관리 방향 설정 102
Ⅵ. 통일시대에 대비한 국토환경관리 방안 104
1. 국토의 친환경성 확보를 위한 방안 104
1.1. 1단계: 연구기관을 포함한 NGOs중심 및 다자적 교류협력 추진 104
1.2. 2단계: 정부중심의 직접 교류협력 105
1.3. 3단계: 한반도 국토환경보전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106
2. 국토의 일체성 회복 및 균형발전을 위한 방안 107
2.1. 1단계: 국토의 일체성 확보 및 균형발전을 위한 기반 마련 107
2.2. 2단계: 국토의 일체성 확보 및 균형발전을 위한 기반 확대 108
2.3. 3단계: 국토환경관리를 위한 정책의 통합 109
Ⅶ. 결론 111
1. 연구의 요약 111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113
참고문헌 114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