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환경규제정책의 발전방향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회성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6Z -
dc.date.issued 20020601 -
dc.identifier A 환1185 2002 WO-02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62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2_정책]WO-02지속가능한사회(정회성).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economic logic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is the market failures; the free market can not allocate environmental resources optimally, since the environment has the public good properties and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resources used to cause externality problems. To address the worsening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ecosystem deterioration, most countries have introduced their own environmental policies since the late 1960s. With the proliferation of neo-conservative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the market over the government, however, deregulation (or regulatory reform) has become hot policy agenda in many countries since the early 1980s. The collapse of Communist Block of Eastern Europe in part due to deepening inefficiency of the economy has further helpe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superiority ideology. The environmental policy was not an exception in this trend. Many economists and policy makers have advocated the application of the marketization principles even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roblems caused by the market failures. Since the inauguration of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n the early 1990s, the market superiority ideology has also landed in Korea and the deregulation (or regulatory reforms) has been a top policy agenda. In particular, the People's Government, which started along with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the late 1997, strongly has pursued the regulatory reform policies. The government assumed the deregulation policy as one of the best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deep-rooted inefficiency of Korean economy and the corruption of the public sectors that we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the economic crisi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vironmental regulatory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The ultimate goal of a governmental regulation is to create a new societal order that we assume it desirable.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policy is to develop a society that can wisely use and conserve the precious environmental capital. Unfortunately, both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 this report argues, have their own inherent loopholes in handl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terioration problems, ultimately the life-supporting function of the ecosystem. Considering the weaknesses of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 and the inherent uncertainties of the ecosystem problems, this study develops a sustainability system approach to environmental policy. The sustainability system approach is designed to integrate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under the condition of the permanent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ultimate goal of environmental policy should be the conservation of the life-supporting functions of our ecosystem. One should, however, always keep in mind that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s carrying capacity can not be achieved without the appropriate consideration of societal integr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order to mak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the future environmental policy should target to the conservation of specific ecosystem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specific pollutant emission control. We can mitigate the high uncertainties of ecosystem problems taking advantage of a new governance structure with free information production and circulation.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policy procedures should be designed to fulfill discursive democratic structure that evolve itself along with the changes of policy circumst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ustainability system model, this paper evaluates the environmental regulatory reform efforts of People's Government. The outcomes of the government show mixed blessings. The government did make a lot of progress in the details of specific policy issues, in particular i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choice of policy targets, but could not demonstrate the clear vis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e people, To make the future environmental regulatory reform more acceptabl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ustainability system's criteria, this paper emphasizes following points. Firstly, environmental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actually protect the environmental rights of people. Such policy tools a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environmental compensation system,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would be useful for this purpose. In particular, the responsibilitie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sion should be transferred to environmental users rather than current environmental victims. Secondly, environmental regulation should be more flexible and efficient.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redesigned based on the principle of industrial ecology, and the voluntary approaches to environmental management should be extended.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ccounting system and the ecologically friendly management of new investment through the financial sector. Thirdly, government should endeavor to make policies with heavy environmental impacts even greener. Such government policies as, energy and water resources development, national land and urban development, agricultural and fishery practices, etc.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the sustainability principle. The full cost pricing and eco-tax reform would be good alternatives to induce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Finally, on-time amendments of environmental laws and the re-shuffling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re necessary to backup the evolution of the sustainability system.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reforms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principl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s management. It must be reminded that a well-designed feedback system in the environmental policy process would facilitate the iterative regulatory reform to address the intrinsic uncertainties of ecosystem problems. Regulatory Reform toward a Sustainable Society in Korea The economic logic of governmental intervention to environmental problems is the market failures; the free market can not allocate environmental resources optimally, since the environment has the public good properties and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the environmental resources used to cause externality problems. To address the worsening environmental pollutions and ecosystem deterioration, most countries have introduced their own environmental policies since the late 1960s. With the proliferation of neo-conservative ideology which emphasizes the superiority of the market over the government, however, deregulation (or regulatory reform) has become hot policy agenda in many countries since the early 1980s. The collapse of Communist Block of Eastern Europe in part due to deepening inefficiency of the economy has further helped the expansion of the market superiority ideology. The environmental policy was not an exception in this trend. Many economists and policy makers have advocated the application of the marketization principles even for the environmental management problems caused by the market failures. Since the inauguration of Kim Young-Sam Administration in the early 1990s, the market superiority ideology has also landed in Korea and the deregulation (or regulatory reforms) has been a top policy agenda. In particular, the People's Government, which started along with the foreign currency crisis in the late 1997, strongly has pursued the regulatory reform policies. The government assumed the deregulation policy as one of the best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deep-rooted inefficiency of Korean economy and the corruption of the public sectors that were considered as the main causes of the economic crisis. This report addresses the environmental regulatory policies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our society, in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The ultimate goal of a governmental regulation is to create a new societal order that we assume it desirable. The purpose of environmental policy is to develop a society that can wisely use and conserve the precious environmental capital. Unfortunately, both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 this report argues, have their own inherent loopholes in handling th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ecosystem deterioration problems, ultimately the life-supporting function of the ecosystem. Considering the weaknesses of the market and the government and the inherent uncertainties of the ecosystem problems, this study develops a sustainability system approach to environmental policy. The sustainability system approach is designed to integrate economic growth and social development under the condition of the permanent conservation of environmental capacity. In order to pursue the goal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ultimate goal of environmental policy should be the conservation of the life-supporting functions of our ecosystem. One should, however, always keep in mind that the conservation of environment's carrying capacity can not be achieved without the appropriate consideration of societal integrity and economic efficiency. In order to make the sustainable development possible, the future environmental policy should target to the conservation of specific ecosystems instead of concentrating on specific pollutant emission control. We can mitigate the high uncertainties of ecosystem problems taking advantage of a new governance structure with free information production and circulation.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policy procedures should be designed to fulfill discursive democratic structure that evolve itself along with the changes of policy circumstance. Based on the above-mentioned sustainability system model, this paper evaluates the environmental regulatory reform efforts of People's Government. The outcomes of the government show mixed blessings. The government did make a lot of progress in the details of specific policy issues, in particular i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governance structure and the choice of policy targets, but could not demonstrate the clear vision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to the people, To make the future environmental regulatory reform more acceptable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sustainability system's criteria, this paper emphasizes following points. Firstly, environmental regulation should be strengthened to actually protect the environmental rights of people. Such policy tools as, the precautionary principle, environmental compensation system, environmental information disclosure, would be useful for this purpose. In particular, the responsibilities for environmental information provision should be transferred to environmental users rather than current environmental victims. Secondly, environmental regulation should be more flexible and efficient. Environmental regulatory system should be redesigned based on the principle of industrial ecology, and the voluntary approaches to environmental management should be extended.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al accounting system and the ecologically friendly management of new investment through the financial sector. Thirdly, government should endeavor to make policies with heavy environmental impacts even greener. Such government policies as, energy and water resources development, national land and urban development, agricultural and fishery practices, etc. should be managed according to the sustainability principle. The full cost pricing and eco-tax reform would be good alternatives to induce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Finally, on-time amendments of environmental laws and the re-shuffling of administrative structure are necessary to backup the evolution of the sustainability system. The legal and administrative reforms should be done according to the integration principl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ources management. It must be reminded that a well-designed feedback system in the environmental policy process would facilitate the iterative regulatory reform to address the intrinsic uncertainties of ecosystem problem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장 <br> <br>제2장 환경정책의 의의와 규제수단 <br> 제1절 환경문제와 시장의 실패 <br> 제2절 환경정책의 의의와 특수성 <br> 제3절 환경정책의 목표와 규제정책 수단 <br> <br>제3장 환경정책의 실패와 환경규제 개혁동향 <br> 제1절 정부 및 정책 실패의 의의 <br> 제2절 환경규제정책과 정부의 실패 <br> 제3절 주요국가의 환경규제 개혁 추진동향 평가 <br> <br>제4장 지속가능한 발전과 환경규제 정책방향 <br> 제1절 환경정책의 궁극적인 목표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br> 제2절 지속가능발전론의 전개와 의의 <br> 제3절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기준 <br> 제4절 환경규제에 대한 지속가능성 체계와 정책방향 <br> <br>제5장 우리나라 환경규제 실태와 규제개혁 평가 <br> 제1절 환경규제체계 <br> 제2절 환경규제개혁의 추진실태 평가 <br> 제3절 환경규제개혁 추진상황 및 평가 <br> <br>제6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규제 개혁방향 <br> 제1절 기본방향 <br> 제2절 환경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규제의 강화 <br> 제3절 환경규제의 유연화와 효율성 제고 <br> 제4절 환경관련 정책의 녹색화 <br> 제5절 환경규제 정책관련 제도의 정비 <br> <br>제7장 요약 및 결론 <br> <br>참고문헌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장 서 장 1<br><br>제 2장 환경정책의 의의와 규제수단 7<br>제1절 환경문제와 시장의 실패 7<br>1. 외부효과 7<br>2. 공공재의 존재 8<br>3. 정보의 부재 9<br>4. 환경피해의 역진성 9<br>제2절 환경정책의 의의와 특수성 10<br>1. 환경정책의 의의 10<br>2. 환경정책의 특수성 13<br>제3절 환경정책의 목표와 규제정책 수단 17<br>1. 환경정책의 목표 설정 17<br>2. 환경규제의 수단 19<br><br>제 3장 환경정책의 실패와 환경규제 개혁 동향 44<br>제1절 정부 및 정책 실패의 의의 44<br>제2절 환경규제정책과 정부의 실패 46<br>1. 환경정책 수립과정과 정부의 실패 46<br>2. 환경정책 집행과정과 정부의 실패 50<br>3. 환경정책의 평가 및 환류와 정부의 실패 53<br>4. 종합평가 54<br>제3절 주요국가의 환경규제 개혁 추진동향 평가 55<br>1. 환경규제개혁에 대한 논의 동향 55<br>2. 미국 57<br>3. 네덜란드 61<br>4. 영국 65<br>5. OECD의 환경규제개혁의 대안 68<br><br>제4장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규제 정책방향 73<br>제1절 환경정책의 궁극적인 목표에 대한 재인식의 필요성 73<br>제2절 지속 가능 발전론의 전개와 의의 75<br>1. 배경과 발달과정 75<br>2. 지속 가능한 발전의 개념 78<br>3. ICLEI의 지속 가능한 발전 80<br>제3절 지속가능성의 개념과 기준 82<br>1. WCED의 시각:경제사회학적 관점 82<br>2. 자연과학적인 관점 83<br>3. 경제학적 관점:티텐베르그의지속가능성원리와기준 86<br>제4절 환경규제에 대한 지속가능성 체계와 정책방향 89<br>1. 환경규제에 대한 지속가능성 체계 접근 89<br>2. 환경정책의 기본목표 <br> : 환경권 보장으로 환경정의의 구현 94<br>3. 환경관리 대상의 선택 <br> : 생태관리개념으로 체계적 접근 95<br>4. 환경정책의 결정 및 집행 <br> : 민주적 협업체계의 구축 활용 98<br>5. 환경정책수단의 활용 <br> : 유연성 규제수단과 환경정보의 공개 99<br>6. 환경규제개혁의 제도화<br> : 규제의 지속가능성 평가와 법규?행정개혁의 추진 101<br>7. 환경규제개혁의 기준과 대안: 예시 102<br><br>제5장 우리 나라 환경규제 실태와 규제개혁 평가 104<br>제1절 환경규제 체계 104<br>1. 개관 104<br>2. 환경기준 및 정책목표의 설정 105<br>3. 주요 환경정책 수단 107<br>제2절 환경규제개혁의 추진실태 평가 115<br>1. 정부 규제개혁의 배경 및 현황 115<br>제3절 환경규제개혁 추진상황 및 평가 128<br>1. 환경규제개혁 추진목표와 방향 128<br>2. 환경규제개혁의 추진실적 131<br>3. 환경규제개혁의 평가 135<br><br>제 6장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규제 개혁방향 143<br>제1절 기본방향 143<br>제2절 환경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규제의 강화 145<br>1. 사전예방과 환경기준의 강화 145<br>2. 환경피해 보상제도의 강화 146<br>3. 환경정보의 공개 및 공유체계 강화 147<br>제3절 환경규제의 유연화와 효율성 제고 148<br>1. 산업생태학적인 환경정책으로의 전환 148<br>2. 환경규제의 유연화 작업의 지속 추진 149<br>3. 자율적인 산업환경관리체계의 강화 150<br>4. 환경사범에 대한 처벌의 강화 151<br>제4절 환경관련 정책의 녹색화 152<br>1. 경제체계의 효율성 제고와 녹색화 152<br>2. 각종 개발 정책의 녹색화 153<br>제5절 환경규제 정책관련 제도의 정비 154<br>1. 규제정책 평가 및 환류 기능의 강화 154<br>2. 환경법 및 관련 법규의 통?폐합 154<br>3. 환경행정조직과 기능의 정비 155<br><br>제 7장 요약 및 결론 157<br><br> 159<br><br><br> -
dc.format.extent x, 174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환경규제 -
dc.title 지속가능한 사회를 향한 환경규제정책의 발전방향 -
dc.type 수시연구 -
dc.title.original Environmental regulatory reform toward a sustainable society in Korea -
dc.title.partname 정책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2-02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o 80년대 말의 공산권의 붕괴와 함께 붐을 이룬 신자유주의 풍조는 정부정책의 시장화 이념을 만들면서 규제완화(또는 규제개혁)는 범세계적인 하나의 유행어가 되었음. - 이러한 시장화 또는 규제개혁의 논리에 대해서는 심도있는 비판이나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음. 그러나 이러한 논리는 종래 정부의 고유한 영역으로 간주되었던 환경분야에 이르기까지 확대되었음. o 이에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되었음. - 환경의 규제개혁에 대한 논리적인 타당성과 한계를 분석하며 향후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제시 - 우리나라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환경규제개혁 사업을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평가?분석하여 정책 방향성의 적절성을 평가 - 향후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환경규제정책의 발전방향을 모색하여 제시 □ 지속 가능한 발전과 환경정책 개혁방향 o 우리 인간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생물 그리고 무생물과 상호 밀접한 상호작용관계를 이루면서 문명을 가꾸어 왔음.(공진화 이론) 수 만년을 지나면서 형성된 지구환경과 인간간의 균형이 급격하게 무너지고 있는 것이 현재 환경문제의 본질임. o 환경정책은 환경문제가 우리의 건강과 장기적인 발전 그리고 우리 후세의 안녕을 위협하는 것을 막기 위한 새로운 사회질서를 창조하기 위한 것임. - 규제개혁이란 이렇게 만들어진 질서가 제 기능을 효과적으로 수행하지 못할 때 새롭게 질서를 개편하는 것을 의미. - 향후 환경규제체계의 궁극적인 목표는 환경용량을 보전하여 지속 가능한 사회(a sustainable society)를 구축하는 것임. o 지속 가능한 발전이라는 개념은 근본적으로 적절한 환경보전 없이는 경제개발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전제로 경제개발, 사회개발, 그리고 생태개발의 세 가지 측면을 통합하는 것임. - 향후 환경정책은 지속가능성이라는 핵심목표를 중심으로 사회통합과 경제효율을 증진시킨다는 시각에서 추진되어야 함. o 지속 가능한 사회로의 발전을 위해서 향후 환경정책은 보다 포괄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이루어져야 함. - 향후 환경정책은 대립 보다는 협력형으로, 개별적으로 다루기 보다는 보다 포괄적으로, 경직적인 접근 보다는 가변적인 여건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유연해져야 함. - 엄정한 분석, 학제적인 평가 그리고 문제의 본질에 대한 직접적인 평가 등을 통한 환경정책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이 필요. □ 우리나라의 환경규제 실태와 규제개혁 평가 o 외환위기 상황에서 1998년 2월에 출범한 「국민의 정부」는 경제활성화를 위한 규제개혁 작업에 보다 매진. - 정부는 규제개혁의 기본목표를 ‘기업하기 좋은 나라', '생활하기 편한 나라'를 만드는 것으로 설정하고 규제완화 및 개혁에 총력을 기울임. - 국민의 정부 규제개혁은 국무총리와 민간인이 공동대표를 맡은 규제개혁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추진. o 환경분야와 같이 국민의 삶의 질에 관련된 사회적 규제는 규제수단과 기준의 합리화에 중점을 둔다는 기본방향에서 추진. - 구체적인 규제개혁의 추진은 년도별로 추진계획을 수립하여 집행하였는데 초창기에는 개별규제의 타당성 검토에 의한 규제 축소에 치중되었으며 2000년도 이후에는 유사하위규제의 정비를 중점적으로 추진. o 국민의 정부가 추진한 환경규제개혁도 큰 틀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평가를 내릴 수 있음. - 민주적이고 투명한 정책 추진, 환경규제 내용의 대폭적인 축소, 일부규제의 강화로 사회적 요구 수 용, 보다 생태?통합적인 환경규제 프로그램의 개발 등은 긍정적으로 평가. - 반면 규제개혁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비전 제시의 미흡, 경제부문과 차별이 충분치 않는 환경규제개혁, 환경정책의 내적 통합의 미흡, 환경관련 규제간의 체계적인 평가와 조정의 미흡 등은 문제로 지적될 수 있음. - 종합적으로 「국민의 정부」가 추진한 환경규제개혁은 긍정적으로 진행된 부분도 많으나 전체적인 방향성 부문에서는 미흡함. □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환경규제정책 개혁 방향 o 1980년대 이래로 강화해 오고 있는 환경정책과 규제가 우리사회를 지속 가능한 사회로 발전해 갈 수 있도록 보장해 줄 수 있느냐 하는 의문에는 회의적인 평가를 내리지 않을 수 없음. - 환경 및 자원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경제와 사회구조를 환경적으로 건전하게 바꾸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기 때문임. - 향후 규제개혁은 포괄적인 환경규제의 재설계라는 시각에서 접근하여 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하여야 함. o 환경권의 실질적 보장을 위한 규제의 강화: - 사전예방과 환경기준, 환경피해 보상제도, 환경정보의 공개 및 공유체계 등의 강화로 환경권의 실절적인 보장을 추진하여야 함. - 환경정보의 제공 책임을 종래 환경피해자에서 환경이용자로 전환하여 환경이용자가 환경피해가 없을 것임을 입증토록 함. o 환경규제의 유연화와 효율성 제고 - 산업생태학적인 환경정책으로의 전환하고 환경규제의 유연화 작업의 지속 추진하며 자율적인 산업환경관리체계의 강화하여야 함. - 특히 금융기관과 연계하여 환경친화적인 투자를 촉진하고 환경회계의 도입을 촉진하는 방법도 검토 o 환경관련 정책의 녹색화 - 경제체계의 효율성 제고와 녹색화를 위해 환경영향이 제품의 가격에 반영될 수 있도록 가격구조를 조정하는 노력과 함께 조세체계의 녹색화와 같은 과감한 개혁이 필요. - 농?림?수산업, 자원?에너지산업 등의 산업활동이 지속가능성의 원칙하에서 운영될 수 있어야 하며 환경용량을 고려한 개발정책 및 사업의 관리가 요구됨. o 환경규제 정책관련 제도의 정비 - 규제 간소화 작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며 환경정책의 본질적인 불확실성을 감안하여 환경규제정책의 환류기능을 강화. - 환경법규도 지속가능성의 이념과 구조에 적합하도록 환경권 보장의 강화, 다매체적인 환경관리, 환경정보관리체계의 강화, 명령과 통제위주에서 규제설계와 협약 등으로 근본적인 구조를 개편하여야 함. - 생태산업적인 환경관리가 가능하도록 현행의 매체별 체계를 통합관리체계로 바꾸는 방안을 검토. 자원관리와 환경관리를 통합한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환경행정기능의 조정 및 통합이 필요.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oi-Se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Policy Study(정책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