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Ⅲ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전성우 -
dc.contributor.other 박용하 -
dc.contributor.other 정휘철 -
dc.contributor.other 이동근 -
dc.contributor.other Matsuoka -
dc.contributor.other Yuzuru -
dc.contributor.other Harasawa -
dc.contributor.other Hideo -
dc.contributor.other Takahashi -
dc.contributor.other Kiyoshi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8Z -
dc.date.issued 2002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2 RE-08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84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2_RE08]기후변화(전성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Climate change has now become more and more evident all over the world; consequently, the world has strived to work out strategies to mitigate the climate change processes and to adapt to the change. For it has only been a few decades or centuries since climate change triggered by greenhouse gas emissions, the potential impacts by climate change should be assessed in a long term to establish appropriate and effective counter measures.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for 3 years since year 2000 to suggest a framework approach to an integrated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model for forest sector for Korea, where no integrated climate change impact model has not yet been developed. Chapter 2 of this study attempted to review various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results on forest to predict the national-level and macro-level impacts. The macro- level assessment results show significant impact due to climate change on the Korean peninsula is unlikely; however, the national-level impact on the environment was not able to be predicted due to the dense spatial resolution of the model.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a regional model at an appropriate spatial resolution is required to assess the climate change impact in Korea. In chapter 3, the structures and theoretical frameworks of various climate change impact models on forest sector were reviewed. These models were classified into 4 different approach techniques: experiment, analogy, expert opinion, and quantitative modeling. The results show that an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model based on quantitative modeling techniques is most appropriate in case of Korea. To quantify the impact on forest, the Holdridge bio-climate model, which is a process-based bio-physical model, were considered to be compatible. Chapter 4 covers the structure and detailed development focuses of AIM/IMPACT (Korea) model employed for this study. Issues related to global warming scenarios, GCMs (General Circulation Models) and RCMs (Regional Circulation Models), temperature resolution considering the lapse rate, impact assessment model on forest sector, and adaptation assessment methods are discussed. In chapter 5, the actual impact assessment on forest sector using the developed AIM/IMPACT(Korea) model was attempted. The assessment results predict that the warm-temperate and boreal wet forests in the southern region are likely to decline by 34.99% under the A2 scenario. Moreover, the warm-temperate and boreal wet forests in the western part of the mid latitude areas are likely to decline by 16.18%. In the eastern part of the mid latitude areas, a 3.16% decline was predicted. 3.11% decline was expected in the northern part of the peninsula. Throughout the whole Korean peninsula, it is predicted to be that warm-temperate forest will decline and be replaced by sub-tropical forest. This results contrast to the macro-level impact assessment results; therefore, a further comparative study is urged with similar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study cases of similar latitude countries. Since the adaptation patterns of forest to climate change are all different by constituent tree types, the adaptation pattern was predicted by the mean velocity of forests migrating to more suitable bio-climate conditions in this study. Under the B2 scenario, the net economic loss 1 million US dollars If the mean velocity of forest reaches 250 meter/year, the net economic loss is predicted to be over 1 million US dollars under the B2 scenario. Moreover, it was also predicted that the economic loss will be as much as 7 million US dollars under the A2 scenario. In general, the faster the forest velocity gets, the more the net economic loss decreases; however, the minimum net economic loss is predicted to be 29 million US dollars and the maximum net loss will be 558 million US dollars if the mean velocity of forest is 2.0km/year. In chapter 6, the significant issues raised in multi-lateral meetings related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f Climate Change and the consequences are reviewed. For adaptation measures, 8 case studies are reviewed including cases of developed countries and Asian countries focusing on the government level adaptation structures and actual implementation cases. The case studies showed that most effort has been made to alleviate the climate change by the reduc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however, no practical effort to mitigate the impact on forest and the adaptation measures has not been made. In chapter 7,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policy suggestions are discussed: - Develop a continuous data acquisition scheme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model - Establish an efficient data distribution system - Establish an organic cooperation scheme between related institutions - Review of multiple scenarios - Support studies on integrated impact assessment - Develop the concrete climate change mitigation and adaptation strategies on forest secto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 <br>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br> 3. 연구의 흐름 <br> <br>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 선행연구결과 분석 <br> 1. 광역차원의 영향평가 <br> 2. 한반도 차원의 영향평가 <br> 3. 연구결과 분석 및 고찰 <br> <br>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모형 연구동향 분석 <br> 1. 모형개발 배경 <br> 2.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영향평가모형 구분 <br> 3. 모형개발 동향 분석 및 고찰 <br> <br>제4장 삼림영향평가모형 선정 및 적용방법 <br> 1. AIM/Imapct(Korea) 모형 <br> 2. 기온상승시나리오 <br> 3. 대기대순환모형과 지역대기순환모형 <br> 4. 기온감율을 고려한 지역대기순환모형 <br> 5. 삼림영향평가모형 <br> 6. 삼림의 적응성 추정 <br> 7. 삼림의 경제적 가치평가 <br> <br>제5장 모형의 적용 및 분석 <br> 1. 연구대상지역의 선정 <br> 2. 미래기후의 추정 <br> 3.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 및 검증 <br> 4.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의 영향평가 <br> 5. 삼림의 경제적 가치손실액 추정 <br> <br>제6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부분 대응방안 <br> 1. 기후변화협약 <br> 2. 주요 선진국의 대응방안 사례 <br> <br>제7장 요약 및 제안 <br> 1. 요약 <br> 2. 정책제안 <br>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제안 <br> <br>참고문헌 <br>Abstract <br> <br>부록 <br> 1. IPCC SRES 시나리오 <br> 2. 일본의 SRES 시나리오 <br> 3. 우리나라의 삼림식물대 <br> 4. 용어 설명 <br>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언 1<br>요약 1<br><br>제1장 서론 1<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br>2. 연구의 목적 및 범위 4<br>3. 연구의 흐름 6<br><br><br>제2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 선행연구결과 분석 9<br> 1. 광역차원의 영향평가 9<br> 가. 대기대순환모형 9<br> 나. 삼림영향평가 10<br> 2. 한반도 차원의 영향평가 16<br> 가. 대기대순환모형 16<br> 나. 삼림영향평가모형 17<br> 3. 연구결과 분석 및 고찰 19<br><br><br>제3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영향평가모형 연구동향 분석 21<br> 1. 모형 개발 배경 21<br> 2.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영향평가모형 구분 22<br> 가. 실험법 22<br> 나. 유추법 22<br> 다. 전문가판단 23<br> 라. 정량적 모형 23<br> 3. 모형 개발 동향 분석 및 고찰 27<br><br><br>제4장 삼림영향평가모형 선정 및 적용방법 31<br> 1. AIM/Imapct(Korea)모형 31<br> 가. 모형의 선정 31<br> 나. 모형의 개발 방향 32<br> 다. AIM/Impact(Korea) 모형의 구조 34<br> 라. AIM/Impact(Korea) 모형의 세부 개발 내용 35<br> 2. 기온상승시나리오 39<br> 가. IPCC IS92 시나리오 39<br> 나. SRES 시나리오 42<br> 3. 대기대순환모형과 지역대기순환모형 50<br> 4. 기온감율을 고려한 기온의 공간내삽방법 54<br> 가. 일평균 기온감율의 추정 54<br> 나. 기온감율 기반의 공간내삽모형 55<br> 5. 삼림영향평가모형 57<br> 6. 삼림의 적응성 추정 59<br> 7. 삼림의 경제적 가치평가 65<br><br><br>제5장 모형의 적용 및 분석 67<br> 1. 연구대상지역의 선정 68<br> 2. 미래기후의 추정 69<br> 가. 기온 71<br> 나. 강수량 74<br> 다. 기후예측결과 75<br> 3.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 및 검증 81<br> 가. 삼림의 생물기후학적 분류 81<br> 나. 온량지수와 현존식생도를 이용한 모델의 검증 83<br> 4.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의 영향 평가 85<br> 가. 영향 분석의 구조 85<br> 나.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분포 변화 평가 86<br> 다.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적응성 평가 92<br> 5. 삼림의 경제적 가치손실액 추정 97<br><br><br>제6장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부분 대응방안 103<br> 1. 기후변화협약 103<br> 가. IPCC와 UNFCCC 103<br> 나. 당사국 총회 추진현황 및 주요내용 106<br> 다. 교토의정서 발효 등 향후전망 111<br> 2. 주요 선진국의 대응방안 사례 113<br> 가. 유럽연합 113<br> 나. 미국 116<br> 다. 캐나다. 119<br> 라. 호주 124<br> 마. 영국 126<br> 바. 덴마크 128<br> 사. 프랑스 131<br> 아. 멕시코 134<br> 자. 일본 136<br> 3. 대응방안 비교 분석 139<br><br><br>제7장 요약 및 제안 141<br> 1. 요약 141<br> 2. 정책제안 143<br> 3.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제안 149<br><br>참고문헌 151<br><br>Abstract 153<br><br>부록1 : IPCC SRES 시나리오 167<br>부록2 : 일본의 SRES 시나리오 191<br>부록3 : 우리나라의 삼림식물대 207<br>부록4 : 용어 설명 213 -
dc.format.extent xvii, 225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Forest microclimatology -
dc.title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Ⅲ -
dc.title.alternative 삼림부문을 중심으로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Impact assessment of ecosystem influenced by changing global climate and its national management practices Ⅲ(2002)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2-08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Ⅰ.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o 기후변화는 현재 전세계적으로 발생되고 있으며, 이를 감소시키기 위한 대응전략과 발생된 기후변화에 적응하기 위한 적응전략 수립에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음. o 기후변화영향물질들이 배출되어 영향을 미치는 것은 짧게는 10-20년부터 길게 100년까지이므로 장기적인 관점에서 영향을 파악하고 대응계획을 수립하여야 함. o 우리나라도 1990년대 초부터 기후변화에 따른 기후변화 예측기술 등에 대해서 연구사업을 추진하여 왔으며, 그 기후변화에 따른 생태계 영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나, 구체적으로 기후변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예측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되어 있지 못한 실정임. o 삼림부분은 우리나라 전국토의 70%를 차지하고 있어, 기후변화에 의한 영향평가 연구를 수행함에 있어서 가장 시급히 다루어져야 할 부분임. - 자연림은 지구 유전자와 생물다양성의 저장고이며, 다양한 재원을 제공하는 동시에 기후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어 영향연구의 필요성이 매우 높음. Ⅱ. 연구 목적 o 본 연구는 지난 2000년부터 3개년간 수행된 연구로, 기후변화 통합영향평가모델이 없는 우리나라에서 삼림부분의 통합영향평가모형의 틀을 개발하고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2차년도(2001년)에서는 1차년도에 선정된 모델의 기본자료 구축 및 모델링과 모델링 결과의 검증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음. - 대기대순환 모형의 CO2농도 배증시의 평형실험결과를 이용하여 지구온난화로 인한 한반도 주변의 기후 변화를 추정하였음. - 변환된 기후자료를 이용하여 Holdridge 방법등 생기후학적 분류결과에 대한 예측을 수행하고, 기존의 연구결과에 따라 기후변화에 대한 삼림의 적응을 추가한 모형을 개발하여, 2100년 시점의 기후변화에 의한 한반도 주변지역의 삼림영향예측을 실시하였음. - 삼림의 영향예측결과와 삼림이 가지는 다양한 기능을 고려한 생태경제학적인 연구의 성과들을 이용하여 기후변화로 인한 삼림의 적응성에 의한 경제적 가치의 손실액을 추정하였음. o 3차년도(2002)에서는 개발된 모형을 이용하여 SRES 시나리오별 영향예측과 이에 따른 정책대응방안 설정을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하였음. Ⅲ. 연구의 주요결과 1. 연구대상지역 o 연구의 대상지역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한반도를 포함한 경도 120° ~135°, 위도 30°~ 45°으로 설정하였음. - 한반도 삼림의 연결성을 고려하여 북한과 만주지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을 선정하였음. o 영향연구의 지역별 특성 및 영향정도의 파악을 위하여 지역을 구분하였음. - 기존의 삼림분포특성 연구에서 나타난 삼림생태계 분포와 기후 패턴을 고려하고 행정구역경계를 이용하여 구분한 것임. · A지역은 남부지역인 경상남북도, 전라남북도 · B지역은 중부 서해지역인 충청남북도, 경기도, 황해도 · C지역은 중부동해지역으로 강원도와 함경남도 일원 · D지역은 북부지역으로 평양남북도와 함경북도 일원 2. 사용한 자료 및 방법 o 현재의 기온과 강수량 관측정보와 GCM 결과로부터 나온 기온과 강수량의 변화를 이용하여 연구에서 요구되는 기후 정보로 변환하였음. - 현재 기후는 UNEP에서 개설한 그리드데이터센터에서 제공하는 지구기후네트워크(Global Historical Climatology Network Data, GHCN)의 동북아지역 기온 197개소, 강수량 119개소 지점의 월평균기온, 강수량자료와 기상청 상시관측소 80개 지점의 1961년~ 1999년까지 일 평균 기온과 강수량을 이용하여 제작하였음. o 미래기후자료는 IPCC에서 인정한 CSIROMK2, CCCma, ECHAM4, HADCM2의 4개 SRES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하였음. - 이들 GCM의 공간적 해상도는 영향 연구에 이용될 정도로 충분히 조밀하지 않으므로 "GCM 결과 형성자(organizer)"를 이용하여 각 기후 인자에 적합한 방법에 의해 자료들을 공간적으로 보간하였음. o 예측 및 검증에 사용된 현재의 식생정보는 환경부에서 조사하여 제작한 현존식생도의 군락별 분포도를 이용하였음. 3. 기온 및 강수량 변환결과 o 지구 평균 기온이 2℃ 증가함에 따라 우리나라의 추정된 기온증가는 2.5~3℃ 범위였고, 특히 겨울철 북한 지역의 기온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o 기온증가가 커질수록 총강수량은 증가하였으며, 특히 중부 이북지역에서 증가의 폭이 크게 나타나고, 계절별로는 겨울철 남부지역에서 강수량 감소가 예측됨 4. 삼림분포변화 검증 및 예측 o 기후변화에 의한 삼림분포의 변화를 예측·평가하기 위해 Holdridge 모형과 GCM을 이용해 생성된 미래의 기온과 강수량을 이용하였음. o 예측된 결과의 검증을 위하여 온량지수를 이용한 분포범위와 모형에서 도출된 분포가능범위를 비교검증하였으며, 수종별 분포특성의 비교를 위하여 신갈나무군락과 동백나무군락의 분포현황과 모형에서 도출된 분포가능범위를 비교·검증하였음. o Holdridge 구분에 의한 우리나라의 삼림상태는 아래와 같음. - 남부지역과 백두대간을 제외한 중부지역 대부분이 난온대림으로 분류됨. - 백두대간과 북한의 대부분의 지역은 냉온대습윤림으로 분류됨 - 개마고원과 백두산 부근은 아한대습윤림과 아한대강우림으로 분류됨. - 백두산 정상과 개마고원 중 고도가 매우 높은 지역은 한대툰드라로 분류됨 o A2시나리오하에서 온대와 아한대림이 남부지역은 34.99% 감소하며, 중부의 서부지역은 16.18%, 중부의 동부지역은 3.16%, 북부지역은 3.11%가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음. - 한반도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온대림이 감소하고, 아열대림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광역영향평가의 결과와 다른 점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같은 위도에 속한 나라들과 비교연구를 할 가치가 있는 것으로 판단됨. 5.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의 적응성 o A2 시나리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역이 다른 시나리오에 의해 영향을 받는 지역보다 넓으며, 특히 중부의 동부지역의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음. - 이를 지역별로 보면, 남부지역의 온대림중 약 3.13% 정도가 고사의 위험이, 3.28%정도의 지역이 삼림소멸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 중부서부지역의 온대림중 0.65%의 지역이 삼림고사의 위험이, 3.30%가 삼림소멸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 중부동부지역의 온대림중 2.66%의 지역이 삼림고사의 위험이, 0.41%가 삼림소멸의 위험이 있음. - 북부지역의 온대림중 2.13%가 삼림고사의 위험이, 1.31%가 삼림소멸의 위험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음. 6. 기후변화에 따른 삼림식생변화의 경제성 o 삼림의 영향예측결과와 세계생태계 경제적 가치모델(NCEAS 모델)의 결과를 조합하여 삼림의 경제적 가치 손실액을 계산하였음. - 삼림의 이동가능 속도는 수종에 따라 다르므로, 수종별 적응가능성 연구보다는 평균적인 이동가능속도를 이용하여 적응성을 평가하였음. - 삼림의 이동가능속도가 250m/년일 때, B2 시나리오 경우 최소피해액인 102백만US$가 순손실로 평가되었으며, A2 시나리오의 경우 최대피해액인 700백만US$의 경제적 가치 손실이 발생하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 삼림의 이동가능속도가 증가할수록 순손실액은 감소하나, 삼림의 이동가능속도가 2.0km/년일 경우에도 최소 29백만US$에서 최대 558백만US$의 순손실이 발생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음. Ⅳ. 정책제안 및 대응방안 o 기후변화적응전략 수립을 위한 영향평가연구를 위한 제언은 다음과 같음. - 통합영향평가모형구축을 위한 기초자료의 지속적인 확보방안 및 공동활용을 위한 통합구축방안의 수립이 필요함. - 구축된 자료의 효율적인 배포체계 구축을 위한 국토환경정보센터와 같은 조직의 신설이 필요함. - 통합영향평가모델 개발을 위한 관련 기관간의 유기적인 연계체계 구축이 필요함 - 우리나라의 실정에 적합한 SRES 시나리오의 설정 및 검토가 필요함 -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은 한 부분만 파악해서는 불가능하므로, 통합영향평가연구의 추진이 필요함. o 삼림부분의 대응 및 적응전략은 다음과 같은 원칙과 방법에 따라 수립되어야 함. - 적응과 관련해서는 크게 광역차원과 지역차원을 동시에 고려하는 적응대책을 마련하여야 함. - 위협받고 있는 종이나, 생태계에 대한 위협을 평가하여야 하며, 국립공원관리공단, 산림청 등과 같은 생태계 조사기관들과 협조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체계를 구축하여야 함. - 삼림의 단절화를 줄이고 연결성을 고려한 완충지역의 설치를 증대시켜야 함. - 삼림은 기후변화영향물질을 흡수하는 유일한 저감원중의 하나인 삼림제거를 방지해야 함. - 멸종위기종이나 희귀종 이외에도 다양한 종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함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eo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eong-Wo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