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지영 -
dc.contributor.other 강영현 -
dc.contributor.other 권영한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9Z -
dc.date.issued 2002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2 RE-10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8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2_RE10]합리적예측평가(김지영).pdf -
dc.description.abstract This study is to establish various and reasonable techniques for survey, estimation and assessment of environmental impact. This is to prepare more substantial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This study is the first year of 5-year plan of study, which begins in 2002 and will end in 2006. In 2002, the study is focused on establishing fundamental scheme for preparing Environmental Assessment Report. In this study, various aspects about assessment principle, range, survey methods, estimation and mitigation methods are reviewed and compiled. In 'Natural Environment Field', methodologies of survey were reviewed. In 'Living Environment Field', survey, preparation of document, measurements and estimations were reviewed. And conceptual approach and implementation of benefit/cost analysis were briefly tested. Problems occurred during preparation of documents of each divisions were reviewed and enhanced methods have been explored. In 'Geology and Geography', protection of regionally valuable sites were mainly discussed. Published reports had described mainly about engineering-related properties. In 'Ecology', detailed survey area have been systematically classified, terminologies have been unified and range of scope has been defined according to its inherent properties of each classification categories. Standard for objective field survey have been suggested and scheme of consideration of impact on ecology has been reviewed. Degree of green naturality has been reviewed and revised. In 'Marine Environment', published assessment reports have been reviewed and revise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In 'Land Use', declar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use and development was emphasized. In 'Air Quality', methods have been suggested for estimation of air pollutant effluents and impact of spreading into the air. In 'Water Quality', problems in preparing data and estimation methods have been reviewed and revise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In 'Waste', useful generation-units of wastes were reviewed and suggested. In 'Noise and Vibration', problems of field measurement has been pointed and enhanced methodologies have been suggested. In 'Recreation and Scene', estimation methods about impact on scene and review results of published report have been presented. In 'Economy', estimation method of physical environmental change and impact on society and man in value of money have been reviewed and suggested. For every field, quantification and systematic analysis on environmental impact due to development projects have been implemented through review of published reports and presentation of assessment methodologies. And methods have been suggested to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 The revised methodologies suggested in this study would promote preparation quality and integrity of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report, and eventually assist in maintaining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of development projects.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further the integrated assessment method of each individual field and the specific assessment method of each project categor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 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환경영향평가서 분야별 평가 및 작성 기법 <br> 1. 지형·지질 <br> 2. 동·식물상 <br> 3. 해양환경 <br> 4. 수리·수문 <br> 5. 토지이용 <br> 6. 대기질 <br> 7. 수질 <br> 8. 폐기물 <br> 9. 소음·진동 <br> 10. 위락·경관 <br> 11. 경제성평가 <br> <br>제3장 결론 <br> <br>참고문헌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1<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br>2. 연구 범위 및 방법 2<br>제2장 환경영향평가서 분야별 평가 및 작성기법 4<br>1. 지형?지질 4<br>1.1 지형?지질 항목의 전반적 고찰 5<br>1.2 현황 조사 7<br>1.2.1 조사항목 8<br>1.2.1.1 지형 현황 9<br>1.2.1.2 지질 현황 11<br>1.2.1.3 보전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현황 13<br>1.2.1.4 특이한 자연현상 19<br>1.2.1.5 토양 현황 20<br>1.2.1.6 토질 현황 21<br>1.2.1.7 지반 현황 22<br>1.2.1.8 지표수 및 지하수 현황 24<br>1.2.1.9 광구 및 광물자원 개발 현황 25<br>1.2.1.10 지하 매장물 현황 26<br>1.2.1.11 해저시설물 현황 27<br>1.2.1.12 기존 유사사례의 현황 27<br>1.2.1.13 기타 현황 28<br>1.2.2 조사범위 28<br>1.2.3 조사방법 29<br>1.2.3.1 조사 기간과 빈도 30<br>1.2.3.2 조사 장비 30<br>1.2.4 조사결과의 제시 방법 30<br>1.3 영향예측 31<br>1.3.1 영향예측 항목 31<br>1.3.1.1 지형변화의 예측 31<br>1.3.1.2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에 대한 영향 예측 35<br>1.3.1.3 특이 자연현상에 미치는 영향 예측 35<br>1.3.1.4 토공량 규모에 따른 영향 예측 36<br>1.3.1.5 재료 소요량에 따른 영향 예측 40<br>1.3.1.6 토양 변화로 인한 영향 예측 41<br>1.3.1.7 지질 변화로 인한 영향 예측 42<br>1.3.1.8 토질 변화로 인한 영향 예측 43<br>1.3.1.9 지반 변화로 인한 영향 예측 43<br>1.3.1.10 광산 주변 개발시 영향 예측 46<br>1.3.1.11 시추로 인한 영향예측 47<br>1.3.1.12 기타 영향의 예측 47<br>1.3.2 영향이 미치는 범위의 산정 48<br>1.3.3 영향예측 방법 48<br>1.3.4 영향예측시 고려할 사항 48<br>1.3.4.1 지형개변 규모의 적정성 검토 49<br>1.3.4.2 지반안정성 검토 50<br>1.3.4.3 토양에 대한 영향 평가 50<br>1.3.4.4 토질에 대한 영향 평가 51<br>1.4 저감방안 51<br>1.4.1 원형보전 방안 52<br>1.4.2 지형훼손의 저감 52<br>1.4.2.1 대절토 발생지역 53<br>1.4.2.2 고성토 발생지역 55<br>1.4.3 지질재해의 저감 56<br>1.5 토의 56<br>2. 동?식물상 58<br>2.1 현황조사 58<br>2.1.1. 조사분야 59<br>2.1.1.1 현황 및 문제점 59<br>2.1.1.2 개선방안 60<br>2.1.2 조사범위 63<br>2.1.2.1 현황 및 문제점 63<br>2.1.2.2 개선방안 64<br>2.1.3 식물상 목록정리 66<br>2.1.3.1 현황 및 문제점 66<br>2.1.3.2 개선방안 67<br>2.1.4 도시화 지수, 양치식물 계수, 생활형 스펙트럼 68<br>2.1.4.1 현황 및 문제점 68<br>2.1.4.2 개선방안 69<br>2.1.5 노거수, 보호수, 천연기념물(독립 노거수) 71<br>2.1.5.1 현황 및 문제점 71<br>2.1.5.2 개선방안 72<br>2.1.6 현존식생도 72<br>2.1.6.1 현황 및 문제점 72<br>2.1.6.2 개선방안 74<br>2.1.7 녹지자연도 74<br>2.1.7.1 현황 및 문제점 74<br>2.1.7.2 개선방안 77<br>2.1.8 식물현존량 84<br>2.1.8.1 현황 및 문제점 84<br>2.1.8.2 개선방안 84<br>2.1.9 식생조사법 85<br>2.1.9.1 현황 및 문제점 85<br>2.1.9.2 개선방안 86<br>2.1.10 포유류 86<br>2.1.10.1 현황 및 문제점 86<br>2.1.10.2. 개선방안 87<br>2.1.11 조류 89<br>2.1.11.1 현황 및 문제점 89<br>2.1.11.2 개선방안 91<br>2.1.12 양서류 98<br>2.1.12.1 현황 및 문제점 98<br>2.1.12.2 개선방안 99<br>2.1.13 파충류 101<br>2.1.13.1 현황 및 문제점 101<br>2.1.13.2 개선방안 102<br>2.1.14 곤충류 103<br>2.1.14.1 현황 및 문제점 103<br>2.1.14.2 개선방안 105<br>2.1.15 어류 109<br>2.1.15.1 현황 및 문제점 109<br>2.1.15.2 개선방안 110<br>2.1.16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113<br>2.1.16.1 현황 및 문제점 113<br>2.1.16.2 개선방안 115<br>2.1.17 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116<br>2.1.17.1 현황 및 문제점 116<br>2.1.17.2 개선방안 118<br>2.1.18 담수생태계 124<br>2.1.18.1 현황 및 문제점 124<br>2.1.18.2 개선방안 125<br>2.1.19 습지 128<br>2.1.19.1 현황 및 문제점 128<br>2.1.19.2 개선방안 128<br>2.2 영향예측 129<br>2.2.1 식물상 129<br>2.2.1.1 현황 및 문제점 129<br>2.2.1.2 개선방안 130<br>2.2.2 보호수, 노거수, 천연기념물(노거수) 131<br>2.2.2.1 현황 및 문제점 131<br>2.2.2.2 개선방안 132<br>2.2.3 식생 및 녹지자연도 132<br>2.2.3.1 현황 및 문제점 132<br>2.2.3.2 개선방안 133<br>2.2.4 동물상 133<br>2.2.4.1 현황 및 문제점 133<br>2.2.4.2 개선방안 134<br>2.2.5 미소 생물상(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138<br>2.2.5.1 현황 및 문제점 138<br>2.2.5.2 개선방안 139<br>2.2.6 주요생물종 140<br>2.2.6.1 현황 및 문제점 140<br>2.2.6.2 개선방안 140<br>2.2.7 생태계 140<br>2.2.7.1 현황 및 문제점 140<br>2.2.7.2 개선방안 141<br>2.3 저감방안 141<br>2.3.1 식물상 141<br>2.3.1.1 현황 및 문제점 141<br>2.3.1.2 개선방안 142<br>2.3.2 보호수, 노거수, 천연기념물(노거수) 143<br>2.3.2.1 현황 및 문제점 143<br>2.3.2.2. 개선방안 144<br>2.3.3 식생 및 녹지자연도 144<br>2.3.3.1 현황 및 문제점 144<br>2.3.3.2 개선방안 144<br>2.3.4 육상동물 145<br>2.3.4.1 현황 및 문제점 145<br>2.3.4.2 개선방안 145<br>2.3.5 어류,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148<br>2.3.5.1 현황 및 문제점 148<br>2.3.5.2 개선방안 149<br>2.3.6 주요 생물종 150<br>2.3.6.1 현황 및 문제점 150<br>2.3.6.2 개선방안 150<br>2.3.7 생태계 151<br>2.3.7.1 현황 및 문제점 151<br>2.3.7.2 개선방안 151<br>2.4 기타 개선사항 151<br>2.4.1 동?식물상 항목의 명칭 151<br>2.4.1.1 현황 및 문제점 151<br>2.4.1.2 개선방안 152<br>2.4.2 주요 생물종의 선정 153<br>2.4.2.1 현황 및 문제점 153<br>2.4.2.2 개선방안 153<br>2.4.3 동?식물상 항목의 평가서 작성 목차 154<br>2.4.3.1 현황 및 문제점 154<br>2.4.3.2 개선방안 154<br>2.4.4 전문가조사 강화 방안 156<br>2.4.4.1 현황 및 문제점 156<br>2.4.4.2 개선방안 157<br>2.4.5 생물표본확보 157<br>2.4.5.1 현황 및 문제점 157<br>2.4.5.2 개선방안 158<br>2.4.6 생태계영향평가 기법의 발전 방향 158<br>2.4.6.1 현황 및 문제점 158<br>2.4.6.2 개선방안 159<br>2.5 토의 160<br>3. 해양환경 162<br>3.1 현황조사 163<br>3.1.1 현황 및 문제점 163<br>3.1.1.1 해양동?식물상 조사 163<br>3.1.1.2 해양수질 및 저질 조사 172<br>3.1.1.3 해양물리조사 181<br>3.1.2 개선방안 186<br>3.1.2.1 해양동?식물 현황조사 186<br>3.1.2.2 해양수질 및 저질 현황조사 194<br>3.1.2.3 해양물리현황조사 198<br>3.2 영향예측 204<br>3.2.1 현황 및 문제점 204<br>3.2.1.1 해양동?식물상 영향예측 205<br>3.2.1.2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영향예측 205<br>3.2.2 개선방안 209<br>3.2.2.1 해양동?식물상 영향예측 209<br>3.2.2.2 수치모형실험을 통한 영향예측 209<br>3.3 저감방안 215<br>3.3.1 현황 및 문제점 215<br>3.3.2 개선방안 215<br>3.3.2.1 공사시 저감방안 216<br>3.3.2.2 이용시 저감방안 217<br>3.4 토의 218<br>4. 수리?수문 222<br>4.1 현황조사 222<br>4.1.1 현황 및 문제점 222<br>4.1.2 개선방안 222<br>4.2 영향예측 223<br>4.2.1 현황 및 문제점 223<br>4.2.2 개선방안 223<br>4.3 저감방안 235<br>4.3.1 현황 및 문제점 235<br>4.3.2 개선방안 235<br>4.3.2.1 우수배제계획의 수립 235<br>4.3.2.2 수로차단에 대한 대책 마련 235<br>4.3.2.3 하천이설시 대책 마련 236<br>4.4 토의 236<br>5. 토지이용 238<br>5.1 현황조사 238<br>5.1.1 현황 및 문제점 238<br>5.1.1.1 지구현황분석도 238<br>5.1.1.2 상위 및 관련 계획의 반영 239<br>5.1.2 개선방안 239<br>5.1.2.1 지구현황분석도 239<br>5.1.2.2 상위 및 관련 계획의 반영 240<br>5.2 영향예측 240<br>5.2.1 현황 및 문제점 240<br>5.2.1.1 상위계획과의 연계성 검토 240<br>5.2.1.2 주변 토지이용의 변화 241<br>5.2.2 개선방안 241<br>5.2.2.1 상위계획과의 연계성 검토 241<br>5.2.2.2 주변 토지이용의 변화 242<br>5.3 저감방안 243<br>5.3.1 현황 및 문제점 243<br>5.3.1.1 녹지 및 공원확보 243<br>5.3.1.2 지형을 고려한 개발 243<br>5.3.1.3 불투수면적의 최소화 245<br>5.3.1.4 친수환경의 조성 245<br>5.3.2 개선방안 246<br>5.3.2.1 녹지 및 공원확보 246<br>5.3.2.2 지형을 고려한 개발 250<br>5.3.2.3 불투수면적의 최소화 251<br>5.3.2.4 친수환경의 조성 252<br>5.4 토의 253<br>6. 대기질 255<br>6.1 현황조사 256<br>6.1.1 현황조사 및 문제점 256<br>6.1.1.1 대기질 현황측정 256<br>6.1.1.2 상층기상 측정 258<br>6.1.2 개선방안 264<br>6.1.2.1 대기질 현황측정 264<br>6.1.2.2 상층기상 측정 266<br>6.2 영향예측 267<br>6.2.1 현황 및 문제점 267<br>6.2.2 개선방안 271<br>6.2.2.1 대상사업별 발생 예상 대기오염물질 종류 271<br>6.2.2.2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산정 방법 272<br>6.2.2.3 모델링 방법 284<br>6.2.2.4 스크리닝 모델 287<br>6.2.2.5 유동특수현상 289<br>6.3 저감대책 293<br>6.3.1 현황 및 문제점 293<br>6.3.2 개선방안 294<br>6.3.2.1 공사시 294<br>6.3.2.2 운영시 297<br>6.4 토의 302<br>7. 수질 304<br>7.1 현황조사 304<br>7.1.1 현황 및 문제점 304<br>7.1.2 개선방안 309<br>7.2 영향예측 314<br>7.2.1 현황 및 문제점 314<br>7.2.1.1 토사유출량 산정 314<br>7.2.1.2 공사시 오수발생량 및 오염부하량 318<br>7.2.1.3 공사시 오염발생량이 수용하천에 미치는 영향 320<br>7.2.1.4 이용시 오염부하량 321<br>7.2.1.5 이용시 발생오염량이 수용하천에 미치는 영향 326<br>7.2.2 개선방안 326<br>7.2.2.1 토사유출량 산정 326<br>7.2.2.2 공사시 오수발생량 및 오염부하량 338<br>7.2.2.3 공사시 오염발생량이 수용하천에 미치는 영향 341<br>7.2.2.4 이용시 오염부하량 342<br>7.2.2.5 이용시 발생오염량이 수용하천에 미치는 영향 344<br>7.3 저감 방안 345<br>7.3.1 현황 및 문제점 345<br>7.3.2 개선방안 349<br>7.3.2.1 토사유출 방지대책 349<br>7.3.2.2 공사시 오수처리대책 350<br>7.3.2.3 지하수오염의 저감대책 352<br>7.3.2.4 이용시 용수공급계획 353<br>7.3.2.5 오?폐수처리계획 353<br>7.3.2.6 오?폐수 재이용 354<br>7.4 토의 356<br>8. 폐기물 358<br>8.1 현황조사 359<br>8.2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359<br>8.2.1 현황 359<br>8.2.1.1 공사시 360<br>8.2.1.2 운영시 376<br>8.2.2 문제점 및 개선방안 392<br>8.2.2.1 도시개발, 산업단지, 관광지조성사업 392<br>8.2.2.2 소각시설 394<br>8.2.2.3 폐기물매립시설 395<br>8.3 토의 416<br>9. 소음?진동 419<br>9.1 현황조사 419<br>9.1.1 현황 및 문제점 420<br>9.1.1.1 현황조사 420<br>9.1.1.2 환경목표기준 420<br>9.1.2 개선방안 434<br>9.1.2.1 현황조사 434<br>9.1.2.2 환경목표기준 435<br>9.2 영향예측 436<br>9.2.1 현황 및 문제점 436<br>9.2.1.1 일반공사시 영향예측 436<br>9.2.1.2 발파공사시 영향예측 436<br>9.2.1.3 운영시 영향예측 442<br>9.2.2 개선방안 453<br>9.2.2.1 일반공사시 영향예측 453<br>9.2.2.2 발파공사시 영향예측 453<br>9.2.2.3 운영시 영향예측 453<br>9.3 저감방안 454<br>9.3.1 현황 및 문제점 454<br>9.3.1.1 일반공사시 저감방안 454<br>9.3.1.2 발파공사시 저감방안 456<br>9.3.1.3 운영시 저감방안 458<br>9.3.2 개선방안 465<br>9.3.2.1 일반공사시 저감방안 465<br>9.3.2.2 발파공사시 저감방안 466<br>9.3.2.3 운영시 저감방안 466<br>9.4 토의 467<br>10. 위락?경관 469<br>10.1 현황조사 469<br>10.1.1 현황 및 문제점 469<br>10.1.1.1 경관특성의 파악 469<br>10.1.1.2 경관현황 및 분석도 470<br>10.1.1.3 조망점의 선정 471<br>10.1.2 개선방안 471<br>10.1.2.1 경관특성의 파악 471<br>10.1.2.2 경관현황 및 분석도 473<br>10.1.2.3 조망점의 선정 475<br>10.2 영향예측 476<br>10.2.1 현황 및 문제점 476<br>10.2.1.1 경관예측 기법의 선정 477<br>10.2.1.2 정량적?정성적 평가 477<br>10.2.1.3 저감방안에 관한 효과 분석 478<br>10.2.1.4 경관영향 예측 과정의 체계화 478<br>10.2.2 개선방안 479<br>10.2.2.1 경관예측 기법의 선정 479<br>10.2.2.2 정량적?정성적 평가 486<br>10.2.2.3 저감방안에 관한 효과 분석 488<br>10.2.2.4 경관영향 예측 과정의 체계화 489<br>10.3 저감방안 504<br>10.3.1 현황 및 문제점 504<br>10.3.1.1 경관을 고려한 입지선정 504<br>10.3.1.2 스카이라인의 보존 505<br>10.3.1.3 조망권의 확보 505<br>10.3.1.4 생태복원녹화 505<br>10.3.2 개선방안 506<br>10.3.2.1 경관을 고려한 입지선정 506<br>10.3.2.2 스카이라인의 보존 507<br>10.3.2.3 조망권의 확보 508<br>10.3.2.4 생태복원녹화 508<br>10.4 토의 510<br>11. 경제성 평가 512<br>11.1 정의 512<br>11.2 범위 512<br>11.3 기능 513<br>11.4 경제성 분석을 둘러싼 쟁점 사항 514<br>11.4.1 자료의 유무 및 신뢰성 514<br>11.4.2 추가환경비용 514<br>11.4.3 적용시기 515<br>11.4.4 적용우선사례 515<br>11.5 향후과제 516<br>제3장 결론 517<br>참고문헌 523<br> -
dc.format.extent xxiii, 544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Environmental policy- Research -
dc.title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평가를 위한 기법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reasonable estimation and assessment method of environmental impac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2-10 -
dc.description.keyword 환경영향평가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의 충실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환경에 대한 현황조사, 예측, 평가 등에 대한 다양하고도 합리적인 기법들의 개발이 필요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게 되었다. 이 연구는 2002년도부터 2006년도까지 5개년 계획으로 추진중이며 올해는 1차년도 연구를 수행하였다. 2002년도는 내실있는 평가서 작성을 위한 기본 토대 구축을 목표로 하여 ‘환경영향의 합리적 예측 평가를 위한 기법연구’로 수행하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환경영향평가서의 주요 분야에 대한 평가 방향, 범위, 방법, 예측방법 등을 분석하였고 각 주요 항목별로 현황조사, 영향예측, 저감방안 등에 대한 분석 및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자연환경분야는 현황조사의 방법론, 생활환경분야는 현황 및 작성방법, 측정 및 예측 등의 방법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하여 평가기법을 연구하였고 경제성 분석에 대한 개념적인 접근을 시도 제안하였다. 항목별로 현행 작성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중심으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지형?지질 분야에서는 공사와 관련된 기술적 사항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던 기존의 평가 방향을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보호 방안 및 지형훼손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들에 대한 사항들이 취급되었다. 동?식물상 분야에서는 세부조사 분야를 체계화하고 용어를 통일하며 조사범위를 대상에 따라 다양화하였다. 객관적인 조사를 위한 기준을 제시하고 생태계 영향에 대해 종합적으로 고려할 수 있는 방안들을 검토하였으며, 녹지자연도 등급에 대한 문제들을 포함하여 검토하였다. 해양분야에서는 기존 평가서 상의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평가서 작성을 위한 조사시기, 방법, 조사 항목들을 포함한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토지이용 분야에서는 용도, 개발 관련 계획간의 상호 관계, 입지 용이성 등에 대한 자료들을 제시하도록 요청하였다. 대기질 분야에서는 대기질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들을 중점으로 대기오염물질 발생량, 대기확산 영향 등을 검토하는 방법들을 제안하였다. 수질 분야에서는 수질 현황자료 작성상의 문제점과 예측 방법론들을 구체적인 항목에 대해 검토하여 개선된 방법론들을 제시하였다. 폐기물 분야에서는 발생 원단위의 확보 및 적용 방안을 검토하여 개선된 방법론들을 제시하였다. 폐기물 분야에서는 발생 원단위의 확보 및 적용방안을 검토 제안하였고 폐기물 관련 사업의 평가과정을 검토하였다. 소음?진동 분야에서는 현장 조사결과에 대한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개선된 방법론들을 제시하였다. 위락?경관 분야에서는 경관예측기법 및 작성 현황을 검토하여 경관영향평가절차, 예측 방법 등을 정리 제안하였다. 경제성 분야에서는 사업으로 인한 물리적 환경변화와 이와 관련된 사회 인간에 대한 영향을 화폐가치로 추정하는 방법을 개략적으로 정리 제시하였다. 분야별로 평가서 작성 현황을 분석하고 개선된 평가기법을 제시함으로서 각종 개발사업으로 인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화하고 계통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개선된 방법론들은 환경영향평가서 작성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어 실질적인 평가서 작성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나아가서 개발사업이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가능한 방법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해줄 것이다. 향후 통합적인 평가 방법에 대한 연구, 사업별 특성에 따른 평가 기법 등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Ji-yo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ang Yung-hyu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won Young-ha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