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Ⅱ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조광우 -
dc.contributor.other 김지혜 -
dc.contributor.other 정휘철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49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49Z -
dc.date.issued 2002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2 RE-14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08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2_RE14]지구온난화(조광우).pdf -
dc.description.abstract The Third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concluded that the global warming due to the enhanced greenhouse effect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will be accelerated in the 21st century. The projected warming will increase the steric sea level rise of ocean which have large adverse effects such as coastal lowland inundation, wetland displacement, coastal erosion, saltwater intrusion into estuaries and freshwater aquifers, altered tidal range in rivers and bays, change in tide and wave patterns, change in sedimentation on the coastal zone in which rich natural ecosystem is exhibited and active socioeconomic system has been already occurred. This study intends to assess the potential impact of the future sea level rise in the coastal zon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questions we asked in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Is the coastal zone of Korean Peninsula vulnerable to the 21st sea level rise? If yes, how much and where? What are appropriate strategy and system corresponding to the vulnerability of the sea level rise? What are future tasks in Korea? We focused on the socioeconomic system in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of Korean Peninsula to the sea level rise and chose inundation area and inundated people as the vulnerability index for the assessment. Fourteen sea level rise scenarios are computed with a combination of steric sea level rise, tide, and storm surge. For the 1-m sea level rise scenario with high tide and storm surge, the maximum inundation areas appear to be 2,643 km2, which is about 1.2% of total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opulation in the risk areas of inundation is 1.255 million, about 2.6% of total population.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coastal zone of Korean Peninsula is quite vulnerable to the 21st sea level rise. The west coastal zone is appeared to be the most vulnerable area compared to the east and south. In the western side of the Korean Peninsula, the North Korea appears to be more vulnerable than South Korea.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in the present study assumes the maximum emission scenario of IPCC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 and does not consider the retention time of the typhoon, and coastal dike and seawalls. Thus the inundated area and population in the present study represent the possible maximum area and population, which indicates the degree of a potential vulnerability in the coastal zone of Korea. The basic approach to deal with the problem of sea level rise requires both mitigation and adaptation. Though the emission reduction of greenhouse gases can reduce a portion of sea level rise, the sea level rise trend in the 21st century cannot be avoided due to the difficulties of the emission reduction and a strong inertia of the ocean. Therefore an effective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sea level rise problem has to lie on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especially in the regional and national scales. For the development of appropriate adaptation strategies on the Korea coast vulnerable to the sea level rise, we have to consider the issues such that where to adapt, how to adapt, and when to adapt. The coastal target needed adaptation can be found by the evaluation of adaptive capacity of the coastal zone which requires the understanding of impacts and adaptive potential of the natural and socioeconomic systems in the coastal zone. The adaptive potential of coastal zone includes the autonomous and planned (predictive and reactive) adaptive capacity. Planned adaptation options to sea level ris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generic approaches such as managed retreat, accommodation, protection. The protection option can be further classified into hard structural options such as dike and soft structural options such as beach nourishment. In practice, the implementations of the options above require the analysis of land use, degree of vulnerability, costs and benefits, etc and may be combination of the options rather than one approach. For the expected adverse impacts in the coastal zone due to the sea level rise, appropriate timing of the response is needed. In terms of the response timing, the adaptation can be classified as anticipatory and planned ones. Generally it is more effective to consider both anticipatory and planned adaptations at the same time for the impacts of future sea level rise. The anticipatory adaptation can be enhanced with the protection and augmentation of the autonomous adaptive capacity through the examination of existing coastal development way such as the damage of tidal flat, dune, and so on. Integration of the adaptation measures to the sea level rise impact into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ICZM)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way to respond the impact of future impact of sea level rise and climate changes. The responding system of Korea to the sea level rise appears to be vulnerable as much as the coastal zone of Korea. The vulnerability of responding system involves with the lacks of responsible organization, experts, awareness, appropriate strategies, implementation of established strategies, and so on. Therefore the responding system to deal with the climate impact problems including sea level rise is urgently required. Because the climate change issues including sea level rise problem have to be dealt under scientific uncertainty, the corresponding system have to be designed to deal with the processes of information and awareness, planning and design, implementation, and monitoring and evaluation in continuity and long-term period. The future task corresponding effectively to the sea level rise problem in Korea include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formation on sea level rise near the Korean coasts and regional prediction, the development of adaptative measures based on detailed vulnerability assessment, enhancement of people awareness on sea level rise and global warming issue, consensus formation of corresponding necessity, and formation of integrated corresponding system to deal with the sea level rise issu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목적 <br> 3. 연구주제 및 방법 <br> 4. 연구내용 <br> <br>제2장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br> 1. 지구온난화 개요 <br> 2. 우리나라 온난화 현황 및 예측 <br> 3. 해수면 상승기구 <br> 4. 해수면 상승현황 및 예측 <br> <br>제3장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br> 1. 해수면 상승 영향 <br> 2. 영향평가 방법론 <br> 3. 한반도 영향평가 <br> <br>제4장 해수면 상승 대응 방향 <br> 1. 해수면 상승 대응을 위한 기본방향: 저감과 적응 <br> 2. 온실가스 감축 <br> 3. 적응 <br> <br>제5장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 대응 체제 <br> 1. 국제대응체제 <br> 2. 주요국가 대응체제 <br> 3. 우리나라 대응체제 <br> <br>제6장 향후 우리나라 과제 <br> <br>제7장 연구결과 및 제언 <br> 1. 결과 <br> 2. 제언 <br> <br>참고문헌 <br> <br>부록 : 기후변화 2001 : 연안역과 해양생태계 (IPCC 3차 보고서, 2001)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1<br>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br>2. 연구 목적 2<br>3. 연구 주제 및 방법 3<br>4. 연구 내용 5<br><br>제2장 지구온난화와 해수면 상승 7<br>1. 지구온난화 개요 7<br>가. 지구온난화 기구 7<br>나. 지구온난화 현황 10<br>다. 지구온난화 예측 12<br>2. 우리나라 온난화 현황 및 예측 15<br>3. 해수면 상승 기구 17<br>4.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19<br>가. 현황 19<br>나. 예측 22<br>다. 우리나라 현황 및 예측 24<br><br>제3장 해수면 상승 영향 평가 33<br>1. 해수면 상승 영향 33<br>2. 영향 평가 방법론 37<br>3. 한반도 영향 평가 42<br>가. 자료 42<br>1) 표고 및 수심 42<br>2) 인구 45<br>나. 해수면 변화 시나리오 46<br>1)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 46<br>2) 조석 48<br>3) 태풍 해일 57<br>4)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 58<br>다.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가능 지역 60<br>1) 한반도 60<br>2) 남북한 66<br>라. 해수면 상승에 따른 침수 가능 인구 68<br>1) 한반도 전역 71<br>2) 남북한 73<br><br>제4장 해수면 상승 대응 방향 76<br>1. 해수면 상승 대응을 위한 기본 방향: 저감과 적응 76<br>2. 온실가스 감축 77<br>3. 적응 83<br>가. 적응 개념 83<br>나. 적응 대상 85<br>다. 적응 기술 88<br>1) 관리적 이주 90<br>2) 순응 92<br>3) 방어 94<br>라. 적응 시기 96<br>마. 대응 과정 98<br>바. 연안통합관리 100<br><br>제5장 지구온난화 및 해수면 상승 대응 체제 103<br>1. 국제 대응 체제 103<br>가. WCRP 105<br>나. IGBP 106<br>다. IHDP 106<br>라. IPCC 107<br>마. UNFCCC 108<br>2. 주요국가 대응체제 111<br>가. 일본 111<br>1) 지구온난화 대응체제 113<br>2) 영향평가 대응체제 116<br>나. 영국 119<br>1) 지구온난화 대응체제 119<br>2) 영향평가 대응체제 121<br>다. 미국 126<br>1) 지구온난화 대응체제 126<br>2) 영향평가 대응체제 129<br>3. 우리나라 대응체제 132<br>가. 지구온난화 대응체제 132<br>나. 영향평가 대응체제 135<br>다. 개선 방향 136<br><br>제6장 향후 우리나라 과제 142<br><br>제7장 연구 결과 및 제언 149<br>1. 결과 149<br>2. 제언 152<br><br>참 고 문 헌 154<br><br> 기후변화 2001: 연안역과 해양생태계 (IPCC3차보고서, 2001) 162<br><br>Abstract 218<br><br> -
dc.format.extent x, 220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Sea level. -
dc.title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주변의 해수면 변화와 그 영향에 관한 연구 Ⅱ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ea level rise and its possible impact near the Korea due to global warming Ⅱ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2-14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최근 발표된 기후변화에관한정부간패널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의 3차보고서는 산업혁명 이후의 인간 활동에 기인한 지구온난화는 21세기에 크게 가속될 것으로 평가하였다.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은 자연 생태계의 보고이며 인간의 사회경제적 활동이 집중된 연안역에 다양한 악영향 - 연안 저지대 및 습지 범람, 해안 침식, 강이나 지하수로 해수 침투, 강 수위 증가 및 범람, 조석 및 파동의 변화, 퇴적상의 변화 등 - 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본 연구는 21세기 지구의 온난화로 일어나는 해수면 상승에 대하여 1) 한반도의 연안역이 취약한가, 2) 취약하다면 얼마나 취약한가, 3) 적절한 대응 전략 및 대응 체제는 어떻게 수립해야하는가 , 4) 향후 우리의 과제는 무엇인가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한반도 연안역의 취약성 평가 대상은 사회경제시스템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취약성 지수로서는 해수면 상승에 따른 범람 면적과 범람 인구를 선정하였다. 취약성 평가를 위한 해수면 상승 시나리오는 지구온난화에 의한 해수면 상승과 더불어 조석 및 태풍해일에 의한 해수면 상승 효과를 고려하여 14개 시나리오를 산출하였다. 산출된 해수면 시나리오 중 조석 및 태풍 해일을 고려한 해수면 1 m 상승에 대하여 한반도 최대 범람 가능 면적은 약 2,643 km2로서 한반도 전체 면적의 약 1.2% 정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취약 지대에 거주하는 범람 가능 인구는 약 1,255,000명으로 한반도 전체 인구의 약 2.6%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리적으로는 서해안이 남해안과 동해안에 비하여 훨씬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해안중에서도 북한이 남한보다 더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취약성 평가는 온실가스 배출이 IPCC SRES (Special Report on Emission Scenario)의 배출시나리오를 따라 일어나는 경우를 가정하며, 연안역의 방어시설 및 태풍 보유시간 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한반도 취약성 평가는 최대 침수 가능 면적 및 인구를 나타내며 이는 한반도 연안역의 잠재적 취약성 정도를 의미한다. 해수면 상승 영향에 대한 대응의 기본 전략은 온실가스 감축 (mitigation)과 적응 (adaptation) 두 가지 면에서 동시에 접근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온실가스 감축을 통하여 21세기 해수면 상승을 어느 정도 감소시킬 수는 있으나 온실가스 감축의 어려움과 해양의 관성으로 인하여 해수면 상승은 피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와 같은 지역적인 차원에서의 가장 중요한 대응 노력은 계획적인 적응 전략에 초점을 맞추어야하며 적응전략 개발 및 수립은 저감 방안을 보완하는 필수적인 요소로 판단된다. 해수면 상승에 취약한 것으로 조사된 한반도 연안역에 대하여 적응책을 고려하는 경우 적응이 필요한 장소 (where to adapt?), 적응 방법 (how to adapt?), 적응 시기 (when to adapt?)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안역에 대한 적응 능력 평가는 영향 및 적응 잠재력에 대한 이해를 요구하며 연안역의 적응 잠재력은 자발적인 적응 능력과 계획적 적응력을 포함한다. 이 과정은 자연계의 자발적인 적응과정 및 사회경제시스템의 계획된 적응에 대한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해수면 상승에 대한 계획적인 적응 방법으로는 크게 관리적 이주 (managed retreat), 순응 (accommodation), 방어 (protection)의 세 가지 전략으로 구분할 수가 있으며 방어 적응 전략은 크게 방파제와 같은 hard 기술과 사빈 보충과 같은 soft 기술로 구분 할 수가 있다. 이들 적응 기술들은 취약 지대의 토지이용 상황, 취약성 정도, 비용 대비 효과 분석 등의 종합적인 검토를 토대로 위의 대응 기술의 적절한 조합이 요구된다. 적응시기에 대하여는 예측적 적응과 반응적 적응으로 구분할 수가 있으며 예측적 적응은 해수면 상승에 대한 연안역의 취약성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예측적 적응과 반응적 적응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향후 해수면 상승 대응에 효과적이다. 예측적 적응 증대는 기존 연안역 개발 관행 (갯벌, 사구 훼손 등)에 대한 재검토를 통한 연안역의 자발적인 적응 능력의 보호로 이루어 질 수 있다. 현재 가장 효율적인 연안역 관리 정책으로 제시되는 통합연안역관리 내에 해수면 상승 및 기후변화 영향을 동시에 고려하는 것이 효과적인 대응 방향으로 사료된다. 지구온난화 영향에 대한 우리나라의 대응 체제는 전담 체제 결여, 담당 인력 부족 및 잦은 이동에 따른 전문성 결여, 적응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결여, 효율적인 대책 수립 미비, 수립된 대책의 이행 미비 등으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구온난화 영향에 종합적으로 대처 할 수 있는 대응 체제의 구축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면 상승과 같은 기후변화 문제에 관한 대응은 과학적으로 불확실한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과정으로 해수면 상승 대응 정책 결정은 (1) 정보와 인식 구축, (2) 계획 및 정책 구상, (3) 실행, (4) 모니터링 및 평가의 네 가지 단계로 수행되어야 하며 관련 정책 결정은 환경, 경제, 위험에 대한 사회의 태도 등을 주의 깊게 고려하면서 장기적이고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대응체제의 구성은 온실가스 감축뿐만 아니라 계획적인 적응을 함께 다룰 수 있는 체제 구성이 요구되며, 위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기후변화 문제는 지속적인 대처가 필요하므로 전담기구의 설치가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이해당사자의 참여를 통한 시너지 효과의 극대화 및 국가의 지속발전과 조화시킬 수 있는 대응 체제 구상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면 상승 대응을 위하여 향후 고려하여야 할 우리나라의 과제로는 크게 해수면 상승 현황 및 예측 관련한 과학적 정보 증진, 해수면 상승에 효과적 대응을 위한 적응책 검토 및 수립, 해수면 상승 및 지구온난화에 대한 국민 의식 증진 및 대응 필요성에 대한 합의 형성, 위의 세 가지 과제를 종합적이며 지속적으로 다룰 수 있는 전략 시스템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o Kwang-Wo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im Ki-hy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eong Hui-Chul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