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지역의 황사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협력방안 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추장민 -
dc.contributor.other 정회성 -
dc.contributor.other 강광규 -
dc.contributor.other 유난미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1Z -
dc.date.issued 200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3 RE-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0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3_RE01]동북아황사(추장민)1.pdf -
dc.description.abstract A Study on the Analysing Northeast Asian Dsut and Sand Storm Damages and the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ccurrence, effects and damages of Northeast Asian DSS in an integrtaed way and to estimate the actual damage costs, especially focusing on the areas of human health, industry, transport (air transport), education, etc. After analyzing the routes and damages of DSS, this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possible policy alternatives for damage deductions and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DSS. Recently, the frequencies and intensities of DSS originated from deserts in China and Mongolia have increased a lot in Northeast Asia. The days of DSS occurrence in Seoul reached to 27days in 2001. The exposure of DSS in 2001 has been recorded as the most frequent occurrence ever. In 2002, two heavy DSS occurrences accompanied by strong winds forced many elementary schools closed and a lot of flights schedules cancelled. In addition, the DSS results in various kinds of social and private costs to Northeast Asian countries. The increased concentration of PM10 and PM2.5 due to the DSS in many metropolitan areas gave harmful effects on the human health causing various disease of respiratory system such as asthma, bronchities. The DSS can reduce visibility causing additional traffic accidents, reduction in agricultural productivity, increased defect rate in accuracy industries, and so on. However, there has been few comprehensive study on DSS in Korea. Most studies on the DSS have focused on the atmosphere-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components, the 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rrence and transfer-channel to Korea. The research on the DSS damage estimates and efforts to develop policy alternatives for damage minimization are very poor. To address the DSS damages comprehensively and find out appropriate policies for DSS,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DSS damages and the root causes of desert expansion in Mongolia and China. This study investigated actual DSS damages happened in Korea, particularly looking at such areas as, health, industry, transport (air transport), and education. Followings are brief summaries of this study's findings although we observed the sudden increases in the PM10 concentration at the time of DSS, the number of out patients in hospitals did not increase simultaneously. This outcomes may attribute to various government's efforts to reduce the DSS damges and peoples preventive maesures. In industry area, over a 56% of enterprises responded to research that DSS affected to their production activities. However, a 82.8% of enterprises responded that they have no investment programs to prevent DSS damages. The semiconductor and electronics industries which require precise production process responded to have their own damage-control program. The amount of sale losses of air transportation industries due to DSS is approximately 580 million won for 102 flight schedule cancellations. The closure of elemntary schools to avoid heavy exposure of children to PM10. costed 11,372,310 suspension hours. This includes 1,063 shortened- class times and 3,096 closed- school times in 2002. Next year this study will calculate the comprehensive DSS damage costs. In addition, this study will try to develop practical and specific policy alternatives for the DSS damages remediation and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to combat DSS problem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1.연구 필요성 및 목적 <br> 가.연구 배경 및 필요성 <br> 나.연구목적과 연구방법 <br> 2.연구추진체계 및 연구계획 <br> 가.연구추진체계 <br> 나.연구계획 <br> 3.연구범위와 내용 (1차년도) <br> <br>제2장 황사발생 및 영향 메커니즘과 피해범위의 설정 <br> 1.황사현상의 정의와 유형분류 <br> 가.황사의 정의 및 유형화의 필요성 <br> 나.황사 유형 및 분류기준 <br> 2.동북아 지역 사막화 현황 및 확대 요인: 중국과 몽골 <br> 가.중국의 사막화 현황과 확대 요인 <br> 나.몽골의 사막화 현황 및 확대 요인 <br> 다.동북아지역 사막화 확대의 구조적 요인 <br> 3.황사 피해 유형과 국가별 피해범위의 설정 <br> 가.황사의 물리적 특성과 피해 <br> 나.황사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과 피해 <br> 다.지역(국가)적 피해특성 및 범위 설정 <br> <br>제3장 동북아지역 국가의 황사현황 및 방지대책 <br> 1.중국의 황사발생 현황과 피해 <br> 가.황사 발생 현황 <br> 나.황사발생지역의 공간적 변화 추이 <br> 다.중국내 황사의 장거리이동 경로 <br> 라.황사 피해 현황 <br> 마.중국정부의 대응책 <br> 2.몽골의 황사(DSS)발생 및 그 피해 현황 <br> 가.황사발생현황 <br> 나.황사피해현황 <br> 다.몽골정부의 황사방지 대책 <br> 3.북한의 황사발생 및 피해현황 <br> 가.황사 발생 현황 <br> 나.황사 피해 현황 <br> 다.황사피해 방지대책 <br> 4.일본의 황사발생 및 피해 현황 <br> 가.황사발생현황 <br> 나.황사피해현황 <br> 다.황사방지 대책 <br> <br>제4장 우리나라 황사현황 및 피해 연구동향과 한계 <br> 1.황사발생 현황과 영향 및 피해양상 <br> 가.황사의 장거리 이동 현황 <br> 나.황사 빈도수 <br> 다.황사의 대기질에 미치는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br>국문요약<br><br>제 1 장 서론 1<br>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1<br> 가.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br> 나. 연구목적과 연구방법 3<br>2.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계획 4<br> 가. 연구추진체계 4<br> 나. 연구계획 5<br>3. 연구범위와 내용 (1차년도) 6<br><br>제 2 장 황사발생 및 영향 메커니즘과 피해범위의 설정 8<br>1. 황사현상의 정의와 유형분류 8<br> 가. 황사의 정의 및 유형화의 필요성 8<br> 나. 황사 유형 및 분류기준 9<br>2. 동북아 지역 사막화 현황 및 확대 요인: 중국과 몽골 12<br> 가. 중국의 사막화 현황과 확대 요인 12<br> 나. 몽골의 사막화 현황 및 확대 요인 20<br> 다. 동북아지역 사막화 확대의 구조적 요인 25<br>3. 황사 피해 유형과 국가별 피해범위의 설정 27<br> 가. 황사의 물리적 특성과 피해 27<br> 나. 황사에 부착된 오염물질에 의한 영향과 피해 30<br> 다. 지역(국가)적 피해특성 및 범위 설정 31<br><br>제 3 장 동북아지역 국가의 황사현황 및 방지대책 33<br>1. 중국의 황사발생 현황과 피해 33<br> 가. 황사 발생 현황 33<br> 나. 황사발생지역의 공간적 변화 추이 36<br> 다. 중국내 황사의 장거리이동 경로 39<br> 라. 황사 피해 현황 42<br> 마. 중국정부의 대응책 47<br>2. 몽골의 황사(DSS)발생 및 그 피해 현황 49<br> 가. 황사발생현황 49<br> 나. 황사피해현황 50<br> 다. 몽골정부의 황사방지 대책 52<br>3. 북한의 황사발생 및 피해현황 54<br> 가. 황사 발생 현황 54<br> 나. 황사 피해 현황 57<br> 다. 황사피해 방지대책 59<br>4. 일본의 황사발생 및 피해 현황 60<br> 가. 황사발생현황 60<br> 나. 황사피해현황 62<br> 다. 황사방지 대책 62<br><br>제 4 장 우리나라 황사현황 및 피해 연구동향과 한계 65<br>1. 황사발생 현황과 영향 및 피해양상 65<br> 가. 황사의 장거리 이동 현황 65<br> 나. 황사 빈도수 67<br> 다. 황사의 대기질에 미치는 영향 69<br> 라. 황사피해양상 73<br>2. 황사피해에 관한 기존연구 동향 74<br> 가. 건강분야 황사피해 기존연구 고찰 74<br> 나. 산업분야 황사피해 기존연구 고찰 77<br> 다. 교통(항공)분야 황사피해 기존연구 고찰 77<br> 라. 농축산업분야 황사피해 기존 연구 고찰 80<br>3. 우리나라의 황사대응 현황 84<br> 가. 국내 황사대응 85<br> 나. 국제협력을 통한 대응 86<br>4. 평가 및 문제점 90<br><br>제 5 장 황사피해의 종합평가를 위한 기초조사 92<br>1. 황사피해현황 기초조사 구상 92<br>2. 건강피해 현황 조사 94<br> 가. 조사분석의 내용 94<br> 나. 황사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기상조건의 이해 96<br> 다. 조사분석 방법 99<br> 라. 조사분석 결과 103<br>3. 산업분야의 피해현황 조사 122<br> 가. 황사가 산업에 미치는 영향 122<br> 나. 산업분야의 피해현황 및 손실 분석 125<br> 다. 설문조사 결과 127<br> 라. 황사피해 기업 사례 조사 142<br>4. 교통(항공운송산업) 분야의 매출 손실액 추정 154<br> 가. 교통(항공운송산업) 분야의 황사 피해와 경제적 손실 154<br> 나. 분석방법 157<br> 다. 항공운송 관련산업의 직접 매출액 손실 현황 158<br>5. 교육부문 황사피해 (2002년) 164<br> 가. 조사목적 및 배경 164<br> 나. 피해 분야와 범위설정 165<br> 다. 교육부문 황사피해 조사 결과 165<br>6. 황사피해 기초조사 결과에 대한 종합정리 172<br><br>제 6 장 요약 및 향후 과제 177<br>1.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177<br>2. 2차 년도 연구추진 기본 구상 180<br><br>참고문헌 182<br><br> 중국 서북부 지역 DSS 피해 현황(1949-2002) 190<br> 산업분야 피해 조사 양식 (설문지) 200<br> 대한항공 국내공항 기상제한치 204<br><br>Abstract 205<br><br> -
dc.format.extent xix, 206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동북아지역의 황사피해 분석 및 피해저감을 위한 지역협력방안 Ⅰ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udy on the Analysing Northeast Asian Dsut and Sand Storm Damages and the Regional Cooperation Strategies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3-01 -
dc.description.keyword 대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제 1 장 서 론 □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990년대 후반이후 황사의 발생빈도와 강도, 지속일, 장거리 이동량 및 강하량이 증가함에 따라 황사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한 우리나라에서도 황사의 영향과 피해 확대 - 2001년 서울지역의 황사발생일수는 27일로 황사관측 이래 최다일수 기록 - 2002년 3월 20일에 발생한 강력한 황사로 서울지역 PM10농도가 1,470㎍/㎥/일까지 상승 - 2002년 3월과 4월의두 차례의 강력한 황사로 인해, 초등학교 휴교와 항공기 운항결항 등 재난수준의 피해 발생 ○ 황사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각 영역의 피해현황에 대한 기초조사, 종합적인 피해추정 및 피해 최소화를 위한 대책수립 필요 □ 연구의 목적 ○ 동북아지역 황사의 발생과 영향 메커니즘 및 피해현황 종합정리 - 황사의 발생원인과 영향 메커니즘 분석 및 피해유형 범주화 - 동북아지역 각국의 피해현황 조사 ○ 황사로 인해 피해가 발생했거나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건강과 산업, 교통(항공운송), 교육부문을 중심으로 황사로 인한 실제적인 피해현황을 조사?분석(1차년도) ○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국가 및 지역차원의 종합적인 대책수립과 협력방안을 모색하고자 함 (2차년도) □ 연구의 추진 체계 ○ 황사피해현황 조사, 황사피해추정(피해비용의 정량화), 피해저감대책 수립의 3부분으로 구성함 ○ 연구기간은 2년으로 1차 년도는 황사피해의 현황조사에 중점을 두어 실시하고, 2차 년도는 피해추정과 그에 대한 저감대책을 제시하고자 함 제 2 장 황사발생 및 영향 메커니즘과 피해범위 설정 □ 중국 서북부지역과 몽골남부의 고비사막 지역이 우리나라에 직접적 영향 ○ 중국의 사막화토지 면적은 국토면적의 27.93%에 해당하며, 사막화의 잠재적 위험이 있는 지역은 79% - 토지사막화는 ‘50년대 이후 계속적으로 확대되어 오고있는 추세 - 내몽고의 일부초원지역의 토지사막화 면적은 연평균 8~9%씩 확대되고 있으며, 이는 매년 해당지역의 약 1/10의 초원이 퇴화되어 사막으로 변하는 것에 해당 ○ 중국 사막화 확대는 자연적 요인과 인위적 요인의 복합적 산물 - 인위적 요인으로는 인구증가로 인한 과도한 경지개간, 방목, 무분별한 벌목 등으로 인한 토지퇴화, 경작기술의 낙후로 인한 경작지 퇴화, 수자원의 남용 및 산업 구조적 문제 등이 있음 - 인위적 요인에 의한 중국사막화 확대 기여율은 95%에 이르는 결정적인 작용 ○ 사막화는 인구가 상대적으로 집중된 농업 및 대도시 지역으로까지 확대추세 □ 몽골은 지리적 위치나 기후적 특성상 사막화가 확대되어옴 ○ 국토면적의 90%가 반건조 또는 건조지역으로 습도가 매우 낮음 ○ 최근 수십 년 간 목초지의 전반적인 퇴화 형태로 사막화가 확대됨 - 2001년의 토양회복 프로젝트 조사에 의하면 40만6천ha의 경지가 생산력 회복이 불가능한 정도로 부식, 토지 생산능력이 20%까지 감소 - 지난 40년 간 목초지와 경지의 퇴화로 사질화된 모래사막의 면적은 3만8천ha 확대, 사막 등을 비롯한 사막화 위협을 받고 있는 지역은 몽골 국토 총면적의 41.3%에 달함 - 지난 30년 사이에 연평균 0.7℃이상의 기온이 상승한데 비해, 연평균 강우량은 5~10mm까지 감소, 극심한 가뭄이 야기한 수자원 고갈과 겨울과 봄철의 강한 바람에 의한 경지와 목초지의 풍식이 자연적 요인으로 작용 ○ 몽골의 농?목축업 부문은 전체 GDP중 35%의 비중이며, 농?목축업 생산품이 전체 수출비중의 25%를 차지하는 수입구조 ○ 생존과 경제적 이익 추구를 목적으로 목초지의 생태수용한계를 훨씬 넘는 과도한 방목, 무분별한 벌채, 과도한 개발 등 인위적 요인에 의한 사막화 확대를 초래 제 3 장 동북아 황사발생과 각국의 피해현황 □ 황사피해 유형과 국가별 피해범위 설정 ○ 황사의 발생과 영향 메카니즘에 따라 동북아지역의 몽골, 중국 등 황사발생지와 한국, 북한, 일본 등 황사 이동경로지역의 황사영향과 피해유형에 차이를 보임 ○ 황사의 물리화학적 작용이 지역에 따라 다르기 때문임 □ 중국의 황사발생과 피해현황 ○ 사람의 생명과 가축등의 재산손실 피해를 입고 있음 ○ 매년 DSS로 인해 5.76~19.8억 인민폐에 달하는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입고 있는 것으로 추정 ○ 중국정부의 대응은 퇴경환림(退耕還林)정책과 황사 예?경보 시스템 구축 중심 ○ 국가환경보호총국의 DSS-NET, 기상국의 모니터링 네트워크는 동북아지역의 황사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국제협력의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 □ 몽골의 황사발생과 피해현황 ○ 최근 몇 년간 DSS의 발생횟수가 4배이상 증가, 특히 고비사막 지역의 상당부분에서의 DSS 발생횟수는 연평균 30회를 초과 ○ 2001년 4월, 5일간 지속된 DSS로 몽골 전체면적의 88.7%의 해당지역에 영향, 직접적인 경제손실은 800만US$ 이상 ○ 몽골정부는 94년 UN사막화방지협약에 가입하면서 토지퇴화와 사막화방지를 위한 국가행동계획을 실시하기 시작하였으나, 황사를 방지하기 위한 관측활동 및 예?경보 등의 조치는 거의 실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 □ 북한의 황사발생과 피해현황 ○ 북한지역에서도 2002년 강력한 황사발생하여 평양등지에서의 하루평균 황사먼지량이 1㎢당 4.5~5.1t에 달함 ○ 관측 장비등의 부족으로 황사발생 현황이 제대로 파악되지 않고 있음 ○ TV와 언론매체등을 통해 황사현황 및 방지대책에 관한 교육선전을 실시함 황사발생과 영향 메커니즘에 따른 각국의 황사피해 범위 국가 위치 주요피해분야 피해양상 몽골 발생지 인명, 주택(건물), 농업, 수자원, 교통, 통신, 전기, 대기, 생태환경, 건강 - 황사 발생지역의 재난형 파괴 중국 발생지/ 이동경로/ 상대적 근거리 인명, 주택(건물), 농업, 수자원, 교통, 통신, 전기, 대기, 생태환경, 건강 - 황사 발생지역의 재난형 파괴 - 이동경로지역의 재난형 피해 한국 이동경로/ 상대적 원거리 건강, 산업, 교통, 농업, 기타 사회활동(교육서비스) - 건강피해, 산업활동 및 생활 지장초래 북한 이동경로/ 상대적 원거리 건강, 산업, 교통, 농업, 기타 사회활동(교육서비스) - 건강위해, 산업활동 및 생활 지장초래 일본 이동경로/ 상대적 원거리 건강, 산업, 교통 - 건강위해, 생산활동 및 생활 저해 □ 일본의 황사발생과 피해현황 ○ 2000년 이후, 황사발생횟수가 급격히 증가, 큐슈지역에서 항공기 결항 피해발생, 황사의 강하로 인한 SPM의 대기오염 증가 ○ 동북아의 다른 국가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영향을 받음 ○ 일본정부의 황사대책은 황사발생 및 장거리이동연구와 황사경보제도의 실시, 사막화 방지를 위한 엔차관 제공 등이 있음 제 4 장 우리나라 황사현황 및 황사피해 연구동향과 한계 □ 한국의 황사피해유형은 ‘이동경로형’임 ○ 1990년대 이후 황사의 발생횟수, 일수가 크게 증가 - 2002년 강력한 황사로 초등학교의 휴교사태와 항공기 결항피해 야기 - 서울에서 황사발생시(1990~2000년) PM10농도는 비황사시의 2~10배에 달하며, 2002년 3월 22일의 시간최고 PM10 농도는 2,000㎍/㎥를 초과 ○ 한국의 황사피해는 대기오염 특히 먼지농도의 강화와 황사에 포함된 유해물질로 인한 2차 피해로 나타남 □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 기존연구는 건강, 산업, 항공, 농?축산업등에 관한 연구로 나뉨 -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는 황사의 주요한 오염물인 미세먼지로 인한 피해에 집중 ○ 기존연구의 한계점 - 각 분야의 실제 피해현황에 대한 사실조사와 분석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함 - 황사피해로 나타나는 직접적인 비용지출 혹은 소득감소로 나타나는 경제적 손실과 비용에 대한 조사분석이 미비 - 건강피해 이외의 분야에서 황사피해에 대한 연구조사 성과가 사실상 부재 제 5 장 황사피해의 종합평가를 위한 기초조사 □ 기초조사 구상 ○ 1차년도 연구는 황사발생이 가져오는 실제적인 피해규모 파악에 중점 ○ 황사피해와 동일시기의 PM10이하 먼지농도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함 ○ 건강, 산업, 교통(항공운송), 교육 부문을 중심으로 황사피해현황 기초조사 실시 □ 건강피해 현황 ○ 분석대상: 전국건강보험심사실적 기준, 2001년과 2002년 3,4월 진료환자 2천만 명 - 특히, 2002년 황사발생전후의 기간, 해당 질환군의 일별, 기간별, 전국별, 지역별, 연령별 진료환자수의 변화를 비교 분석 - 질병선정: 황사에 민감할 것으로 예상되는 4개 질환(호흡기계질환, 심혈관질환, 안과질환, 이비인후과질환) 선정. 특히, 호흡기 환자, 천식환자에 중점을 두어 황사발생전후 환자수의 증감 등을 비교함 ○ 황사 중 황사입자가 가장 많은 부분은 PM3로 PM3이하의 황사입자의 비중이 51.4%이며, PM2.5의 황사입자는 50%미만으로, 황사시 PM10의 농도증가가 그대로 건강피해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수도 있음 ○ 조사결과 황사시 진료환자수는 전체, 또는 각 질병에 있어서 급격히 증가하지는 않으나, 대규모 황사일 전후의 환자수는 현상유지 또는 일부 진료에 있어 환자수는 증가함 ○ 서울지역 2002년 3월 11일~30일까지의 황사발생 기간의 진료 환자수는 4개 질병 총 846,707명에 대한 분석 - 그 중, 황사발생 기간의 진료환자수가 황사전 비황사기간의 271,231명 보다 16,867명이 많은 288,098명으로, 황사전 비황사기간의 진료환자수 대비 6.2%증가 - PM10농도 급증에 따라 진료환자수도 급증하지 않으나 서울지역 호흡기 환자는 황사전 비황사시기보다 7% 증가 ?연령별 구성에 있어서 7~12세는 9%에서 12%로, 13~18세는 5%에서 7%로 증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많은 환자가 발생 ?그 중 천식환자의 연령별 변화는, 4~6세가 11%에서 12%로, 7~12세는 9%에서 13%로, 13~18세는 2%에서 4%로 증가 ○ 4~18세 성장기에 있는 아동 및 청소년 층의 건강이 피해에 가장 민감한 연령층으로 파악됨 □ 산업부문 ○ 황사의 영향을 받을 것으로 추정되는 11개 업종 선정, 855개 업체 추출, 492개 업체에 설문지 배부, 조사결과가 회수된 122개 업체의 설문내용 분석 및 방문조사 ○ 설문조사 결과, 황사가 대상기업의 생산활동 등에 영향을 미친다는 답변이 56%임에 반해, 투자계획 등의 의향이 없다는 응답은 82.8%를 보임 ○ 조사대상업체들이 황사대책방안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적으로 투자계획을 마련하고 있지 못하며, 이는 정책입안에 있어서의 하나의 과제로 볼 수 있음 □ 교통(항공운송) 부문 ○ 황사먼지에 의한 시정장애와 강풍으로 인한 항공기와 선박의 운항제한피해 ○ 2002년의 항공사자료 이용, 황사발생일자 중심으로 분석, 기상자료를 확보하지 못한 공항을 제외한 8개 공항의 항공기 결항현황을 대상으로 조사분석 ○ 2002년 황사로 인한 총 102편의 결항에 대해 항공운송 관련산업의 직접매출액손실은 총 5억8천만원이 발생 (항공기 1편 결항시 약 560만원의 항공운송 관련산업의 직접적인 매출손실이 발생한 것에 해당함) □ 교육부문 ○ 강한 황사가 있었던 2002년 3월과 4월, 제주를 제외한 전국 15개 교육청 중심으로 전국의 유치원, 초?중?고등학교 학생의 수업손실 규모와 피해현황을 파악 ○ 2002년 황사로 인해 유치원, 학교별로 취해진 휴업조치를 1회로 하여 전부 합하면 유치원 1,557회, 초등학교 2,310회, 중학교 19회에 달함 ○ 단축수업은 전체적으로 1,063회 실시됨 ○ 휴업과 단축수업을 합하면 약 11,372,310시간의 수업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추정됨 제 6 장 요약 및 향후과제 □ 1차년도 연구결과 요약 ○ 1차년도에는 황사피해의 종합적인 평가를 위한 기초조사를 위해 건강, 산업, 교통(항공), 교육부문을 대상으로 황사에 의한 직접적인 경제적 피해에 대한 사실조사 실시, 각 분야의 직접적인 경제적 손실을 추정함 □ 2차년도 연구계획 ○ 1차년도의 기초자료를 바탕으로 2차년도에는 분야별 피해추정 모델을 개발하여 황사에 의한 편익부문을 포함한 종합적인 황사피해 비용을 추정 예정 ○ 각 분야와 각 국의 전문가 참여가 필수적이므로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실제 운영시스템과 현장조사를 통한 기업전문가 활용계획 ○ 황사피해 저감대책의 수립을 위해, 국내 및 동북아 차원에서 실시되고 있는 황사피해방지 시스템에 대한 조사와 평가를 실시, 기업 및 각 분야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실제적이고 구체적인 황사피해 저감을 위한 대책방안을 모색 ○ 황사방지 국제협력부분에 있어서도 한국, 중국, 일본 및 북한이 참여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동북아 DSS모니터링 및 황사대응 ADB-GEF프로젝트와 같은 다자간 국제협력 등 국내외 전문가들의 연구성과 활용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u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ang-M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