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존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설정에 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수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3Z -
dc.date.issued 2003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3 RE-2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2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3_RE21]보존가치가있는지형지질(이수재)1.pdf -
dc.description.abstract Strategy for the Protection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in Korea The Earth, 4.5 billion years old, has undergone many changes and renewals through the geologic time. Its long evolution has shaped the environment in which we live. The Earth retains 'memories' of the past inscribed both in the rocks and in the landscape, a record which can be read and translated. The mankind and the Earth share a common heritage of the past and present. Each and every human-being should understand that the slightest damage could lead to irreversible losses for the future. In undertaking any form of development, we should respect the singularity of this heritage. We urgently request national authorities to take into consideration and to protect this heritage, through all legal, financial and organizational measures that may be necessary. We discussed the geological heritage and geodiversity which is not yet familiar concept to common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groups in Korea. We ne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state of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aspect of Korea in terms of both protection of geological heritage and the extent of geodiversity. Next step is to realize our geodiversity in comparison with other countries. We need to gather and research the geological information through geological survey before and after any form of development. By doing so, we can understand our abiotic environment more thoroughly by deciphering the hidden geologic formations on the Earth's surface. There are plenty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s in Korea which can be classified as outstanding universal value, such as Jangseong disconformity, Wangsan active fault, Haenam dinosaur footprints, etc.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in Korea is vulnerable to be destroyed or be effaced because of the lack of public awareness, management policies and geological surveys. Though the geomorphological feature, such as a landscape, is included in 'national survey of natural environment', its importance and intensity is infinitesimal compared with plants and animals. The geoconservation, geosite, geopark, geotope, geodiversity,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and the Earth heritage, etc. became the common language among the United Nations(UNESCO) and European countries. The geosite of the year is selected every year by the ProGEO, which is a professional geological group in association with the International Union of Geological Sciences and the UNESCO. The United Kingdom has the most powerful management policy and action plan in the protection of the geological heritage. She has good legal and financial measures, and relatively the largest protected area compared with other European countries. The SSSI(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NNR(national nature reserves) with AONB(area of outstanding natural beauty) and NP(national parks) are typical examples of steady-going protection policies in the UK.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by far the most active country to protect the paleontological resources. Some new legal supports such as the Paleontological Resources Preservation Act and the Vertebrate Paleontological Resources Preservation Act are under discussion in the Congress to replace the existing Fossil Protection Act. The National Parks Service has a practical paleontological resource management policy and action plan (NPS-77 guidelines). We still have a chance to effectively protect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in Korea as long as we make a firm legal based action: one is reformulating the existing law such as the Natural Environment Protection Act or the Cultural Heritage Protection Act, and another is making a new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Conservation Act which gives the Geological Heritage Conservation Review the authority to survey and judge all the Earth's heritage. We should prepare criteria which are compatible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and other field of disciplines such as biology and landscape to classify the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The classified list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can be widely used in various purposes, such a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EIA), preliminary environmental assessment(PEA), strategic environment assessment(SEA), natural resources unit map, natural ecological map, academic research, educational site, recreational activity, geotourism, and so 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 론 1 <br> <br>1. 연구의 배경 1 <br>2. 연구의 필요성 3 <br>3. 연구의 목적 4 <br>4. 선행연구 현황 6 <br>5. 연구보고서의 체계 7 <br> <br>제2장 지형?지질의 개념과 지형?지질다양성 11 <br> <br>1. 지형?지질의 개념 11 <br>지형의 의미 12 <br>2. 지형?지질 유산의 이해와 활용 13 <br> 인간 활동에 의한 지형?지질 정보의 노출 13 <br> 지형?지질 유산 정보의 활용 15 <br>3. 국내의 귀중한 지형?지질 유산의 사례 16 <br> 백두대간 및 주요 정맥 16 <br> 동점 난정합 (선캠브리아-캠브리아 부정합면) 20 <br> 장성 대결층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석탄기 비정합면) 21 <br> 해남 공룡화석지 22 <br> 중국 친링 봉합대의 한반도 연장선 예상 지역 22 <br> 개발사업의 계획시 주의할 사항 25 <br>4. 지형?지질 다양성의 개념 25 <br> 한반도의 지형 개관 - 지체구조 26 <br> 한반도의 지질 개관 31 <br> <br>제3장 국내의 지형?지질 유산 관리현황 33 <br> <br>1. 법적?제도적 고찰 33 <br>2. 자연환경조사에서 지형?지질 35 <br>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지형?지질 35 <br>3.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지형?지질의 관리 현황 46 <br> 명승 현황 51 <br> <br>제4장 외국의 지형?지질 유산 관리현황 53 <br> <br>1. 세계의 자연보전정책 개괄 53 <br>2. 유엔 55 <br> UNESCO의 자연유산 보전 노력 55 <br> 문화유산의 자격요건 55 <br>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 58 <br> 자연유산의 자격요건 59 <br> 세계유산 등록 절차 일정표 60 <br>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67 <br> 남해안 일대 공룡화석지 67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br>국문요약<br><br>제1장 서 론 1<br><br>1. 연구의 배경 1<br>2. 연구의 필요성 3<br>3. 연구의 목적 4<br>4. 선행연구 현황 6<br>5. 연구보고서의 체계 7<br><br>제2장 지형/지질의 개념과 지형/지질다양성 11<br><br>1. 지형/지질의 개념 11<br>지형의 의미 12<br>2. 지형/지질 유산의 이해와 활용 13<br> 인간 활동에 의한 지형/지질 정보의 노출 13<br> 지형/지질 유산 정보의 활용 15<br>3. 국내의 귀중한 지형/지질 유산의 사례 16<br> 백두대간 및 주요 정맥 16<br> 동점 난정합 (선캠브리아-캠브리아 부정합면) 20<br> 장성 대결층 (고생대 오르도비스기-석탄기 비정합면) 21<br> 해남 공룡화석지 22<br> 중국 친링 봉합대의 한반도 연장선 예상 지역 22<br> 개발사업의 계획시 주의할 사항 25<br>4. 지형/지질 다양성의 개념 25<br> 한반도의 지형 개관 - 지체구조 26<br> 한반도의 지질 개관 31<br><br>제3장 국내의 지형/지질 유산 관리현황 33<br><br>1. 법적/제도적 고찰 33<br>2. 자연환경조사에서 지형/지질 35<br>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지형/지질 35<br>3. 문화재보호법에 의한 지형/지질의 관리 현황 46<br> 명승 현황 51<br><br>제4장 외국의 지형/지질 유산 관리현황 53<br><br>1. 세계의 자연보전정책 개괄 53<br>2. 유엔 55<br> UNESCO의 자연유산 보전 노력 55<br> 문화유산의 자격요건 55<br> 문화경관(cultural landscape) 58<br> 자연유산의 자격요건 59<br> 세계유산 등록 절차 일정표 60<br> 한국의 세계유산 잠정목록 67<br> 남해안 일대 공룡화석지 67<br> 제주도 자연유산지구 69<br> 설악산 천연보호구역 70<br> UNESCO 지구공원 지정계획 71<br>3. 유럽연합 73<br> 지형/지질 명소(GEOSITES) 73<br> 유네스코와 유럽연합의 지형/지질 유산의 보전계획 평가 76<br> NATURA 2000 제도 79<br>4. 영국 79<br> National Nature Reserves (NNRs) 제도 80<br> SSSI 제도 82<br><br>5. 미국의 화석관리 정책 91<br> 화석관련 입법 추진 현황 91<br> 미국 국립공원국의 화석 보호정책 91<br> 6. 일본 95<br><br>제5장 지형/지질 유산 관리정책의 문제점 96<br><br>1. 전국자연환경조사에서 지형 항목의 문제점 98<br>2. 고생물 자원 관리상의 문제점 98<br>3. 미지정 천연기념물 관리상 문제점 106<br>4. 지형/지질 유산 판별기준의 문제점 108<br><br>제6장 지형/지질 유산 관리정책의 개선방안 110<br><br>1. 지형/지질 유산의 가치축의 설정 111<br>2. 환경영향평가에 반영할 사항 111<br>3. 화석자원에 대한 조사 및 평가 113<br>4. 국내의 지질유산 관련법 제정 동향 115<br>5. 지형/지질 유산의 조사 및 활용 방안 115<br>5.1 조사의 필요성 115<br>5.2 조사 대상 118<br> 지형/지질 유산의 조사 대상 118<br>5.3 조사 방법 121<br>5.4 선정 기준 (판별기준) 122<br>5.5 선정 방법 124<br> 지형/지질 유산 심의위원회 운영시 기대효과 126<br>5.6 지형/지질 유산의 조사계획 (조사대상 선정) 127<br>5.7 지형/지질 유산 조사결과의 활용방안 128<br><br>제7장 정책 제언 및 맺음말 130<br><br>1. 정책 제언 130<br> 지형/지질 유산의 보전/관리 방안 130<br>2. 이 연구의 한계 및 향후 연구방향 132<br>3. 맺음말 136<br><br>참고문헌 137<br><br>〈부 록〉 141<br> 지형/지질유산 관련자료 목록 (발행 연도순) 141<br> 문화재 중 지형/지질 관련 천연기념물 목록 144<br> 세계문화 및 자연유산 보호에 관한 협약 146<br><br>Abstract 157<br> -
dc.format.extent 159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보존가치가 있는 지형·지질의 대상설정에 관한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Strategy for the Protection of Geological and Geomorphological Heritage in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3-21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이 연구는 자연환경 중에서 무생물 분야인 지형/지질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그 중 보전가치가 있는 대상을 보호/관리하는 방안을 다룬 것이다. 생물다양성(biodiversity)과 건전한 환경을 유지하려면 그것의 기초가 되는 지형/지질(지질, 지형, 토양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사용한다) 다양성도 유지되어야 한다. 지형/지질 다양성(geodiversity)은 지형/지질 유산을 이해하고 보전함으로써 유지될 수 있다. 현재 세계적으로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조사 및 보호제도가 활발히 시행중인데, 유네스코의 세계유산(UNESCO World Natural Heritage)과 지구공원(Geoparks), 유럽연합과 국제지질연합(IUGS)의 지형/지질 명소(geosites), 그리고 영국의 국가자연보호지역(national nature reserve, NNR)과 과학적 특별흥미지역(site of special scientific interest, SSSI) 등이 그러한 예이다. 국외에서는 지형/지질 유산, 지구공원, 지형/지질 명소, 지구보전(geoconservation), 지형/지질 다양성, 국가자연보전지역, 과학적 특별흥미지역, 그리고 소멸위기상(facies in danger) 등의 용어를 조어(造語)하고, 그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지형/지질유산의 판별기준과 조사대상을 선정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연환경조사 등에 의해 각종 보호지역이 정해지는데, 대체로 생물과 그 서식지를 위한 것이 많은 반면, 지형/지질 유산 관련 사항은 전국자연환경조사의 지형경관과 문화재보호법의 천연기념물이나 명승 등 소수만 있어서 보호지역의 선정에는 적극성이 다소 부족하다. 이 연구는 지형/지질 유산의 개념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보전/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지형/지질 다양성을 조사/보호하기 위해서는 관련법(자연환경보전법, 문화재보호법 등)의 개정이나 신규법(지형/지질유산보전법 등)의 추진이 필요하다.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보호관리정책에 대한 국제적인 추세의 파악과 조사/보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야 한다. -국내의 지형/지질 유산을 효과적으로 보호/관리하기 위해서는 상설 전문기구나 전문위원회(지형/지질유산전문위원회 등)의 구성과 운영이 필요하다.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과학적 가치를 부여하기 위한 판별기준을 세계적, 국제적, 국가적, 지역적 차원에서 설정하여야 한다.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통하여 과학적 가치 이외에 사회적 가치의 척도를 부여하여야 한다. -지형/지질 유산은 누구든지 자유롭게 그 가치를 향유할 수 있도록 접근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적정한 행동지침을 분야별(특이지형, 화석, 화산, 해안지형 등)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현재 환경영형평가제도에서 지형/지질 유산에 관한 사항은 새로운 시각으로 재정립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항목별 평가기준의 설정과 함께 자연환경과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평가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지형/지질 유산은 각계의 관련 전문가에 의한 장기간의 조사와 연구가 필요하므로, 국가적인 차원의 조사/보호계획이 수립/시행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구체적인 조사내용은 포함하지 않았다. 따라서 국내의 지형/지질 유산에 대한 전반적인 조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후속조치가 필요하다. 국토환경성평가지도나 생태자연도에는 지형, 지질, 토양 등 분야의 자료가 구체적으로 수록되어야 그 지도의 총체성과 목적이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oo Jae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