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Title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기법에 관한 연구
Authors
정흥락
Issue Date
2003-12-30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3-23
Page
106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27
Language
한국어
Abstract
A study on the Landscape Ecological Metho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The aim of the study is to provide general guidelines for fauna and flora survey, impact evaluation and predication, and mitigation strategie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ment (EIA) applied by principles in landscape ecology. In order to suggest the application of methodologies in landscape ecology to present EIA system, the study has dealt with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statements in fauna and flora category in EIA documents, theoretical background and research trends in landscape ecology, examination of possible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principles, and analysis of landscape ecological traits in example areas as case studies. The study indicated and analyzed that the limitation of fauna and flora category in EIA resulted from uncovering many important portions, which are supposed to be analyzed and reviewed in ecosystem level such as structure and function of the system, and roles of habitats. The results presented that diverse ways in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es using two different cases - a industrial park construction project and a road construction - in EIA reviews. Especially, both biotope classification and landscape ecological network analysis were applied for the case studies through the site visiting and study on the EIA documents. Most important aspect in applying diverse principles in landscape ecology to present EIA is how to make useful inventory to improve analysis of fauna and flora category. To meet this criterion, first of all, major and/or interested taxa should be analyzed or examined depending upon the kinds of projects and their localities, followed by second procedure that biotope identifications according to types of ecosystems or habitats.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econd step should be completed by preliminary field survey results and other fundamental data such a topographical map. The result of the biotope identification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survey data would determined the priority order of conservation, which could play a critical role in impact prediction and mitigation establishment in EIA.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security of connectivity among ecosystems or biotopes could be a major device to maintain the function of ecosystem, while the results from network analysis could be used as core information for site suitability and mitigation formulation. As final, 3 propositions as additional guidelines for preparation EIA statement were described as followings; ① Understanding of spatial structure in local ecosystems, ② Identification of major biotopes, inventory, impact prediction, and mitigation establishment, and ③ Building ecological networks. By using conceptual approaches, the study showed the possible ways for the improved EIA methods based on principles of landscape ecology. It is also recommended that development of the detail and applicable techniques is needed as future study.

Table Of Contents

제1장 서론 1
1. 연구배경 및 목적 1
2. 연구내용 및 범위 2

제2장 동·식물상 분야 환경영향평가 현황 및 문제점 4
1. 환경영향평가서 작성규정 4
가. 현황조사 4
나. 사업시행으로 인한 영향예측 7
다. 저감방안 8
라. 사후환경영향조사 10
2. 환경영향평가서 작성현황 10
가. 현황조사 10
나. 영향예측 및 저감방안 12
3. 문제점 14
가. 현황조사 14
나. 영향예측 및 저감대책 14

제3장 경관생태학의 이론적 배경과 연구동향 16
1. 경관의 의미 16
2. 경관생태학의 개념과 발달 16
가. 생물지리학과 지생태학 측면 18
나. 생태학과 식생학 측면 19
다. 인간생태학 측면 20
라. 생태계 보전과 환경정책의 측면 20
3. 국내외의 연구동향 21
가. 국제경관생태연합과 동북아시아의 경관생태학 연구 21
나. 한국의 IALE활동 및 경관생태학적 토지이용계획 관련 연구 22

제4장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의 적용방안 검토 24
1. 일반생태학과 경관생태학의 차이 24
2. 현행 환경영향평가의 한계점과 발전방안 26
3. 경관생태학의 원리와 응용 27
가. 경관생태학의 원리 27
나. 경관생태학적 원리의 응용 가능성 29
4. 환경영향평가에 활용 가능한 이론들 30
가. 경관바탕의 역동성과 위계이론 31
나. 경관조각의 다양성과 측정지수 32
다. 통로의 종류와 주요기능 33
라. 경계와 가장자리의 기능 34

제5장 사례지역의 경관생태학적 특성 분석 36
1. 사례지역의 선정 36
2. 선정된 사업지역의 분석 36
가. 오송생명과학단지 개발사업(면적사업) 36
나. 병천∼용두리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선형사업) 51
3. 분석결과의 비교 65

제6장 동·식물상 항목의 경관생태학적 평가기법 제안 67
1. 현황조사의 구상 67
2. 생물서식공간의 구분 68
3. 조사결과의 분석, 영향예측, 저감방안 수립 68
4. 경관생태네트워크의 구축 방안 69
가. 핵심생태지역 70
나. 거점생태지역 70
다. 연결생태지역 70
5. 경관생태학적 토지이용계획의 수립 71
6. 경관생태학적 평가방안의 요약 및 기존 평가방안과의 차이점 73

제7장 결론 77
1. 경관생태학적 환경영향평가의 중요성 77
2. 연구의 요약 79
3. 정책제안 및 향후 연구과제 80

참고문헌 81

경관생태학에서 생태계평가를 위한 일반적 이론 87
1. 생태계 평가의 이론적 배경 87
2. 평가 과정 90
가. 고유성 평가 91
나. 조각화 평가 91
다. 취약성(fragility)과 안정성(stability) 92
라. 회복력과 저항력 93
마. 중추종 93
바. 지역의 생물다양성 94
3. 경관분석지수 97
가. 개별 서식지(패치)의 분석지수 98
나. 경관내 패치 집단의 분석 99
다. 서식지의 공간적 배열 100
라. 서식지간 인접성 지수 101
마. 경관내 서식지 다양성지수 101
바. 서식지 내의 핵심구역 지수 102

용어정리 105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