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자유무역협정의 환경파급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강상인 -
dc.contributor.other 김재준 -
dc.contributor.other 정태용 -
dc.contributor.other Toshihiko Masui -
dc.contributor.other Junichi Fujino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7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7Z -
dc.date.issued 2004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4 RE-1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61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4_RE11]한일자유무역협정의 환경파급효과에 관한 비교연구(강상인).pdf -
dc.description.abstract Since the 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WSSD) in 2002 endorsed the importance of mutual supportiveness betwee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promotion of sustainable development under the open and non-discriminatory multilateral trading system,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rade liberalization have become a theme of heated debate at diverse global, regional and national fora focusing on trade and environment. Having finished its ow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of the current multilateral trade negotiation under the DDA(Doha Development Agenda) in WTO, Korea is now implementing a series of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a free trade agreement. Japan is also trying to introduce an environmental review process in its free trade agreement policy, after having concluded its first free trade agreement with Singapore. The current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de liberalization between Korea and Japan has been implemented by the joint expert meeting composed of experts in the Korea Environment Institute, Institute for Global Environmental Strategies and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in Japan. The joint expert meeting shared the view that environmental review on the FTA would be very important in designing flanking environmental policies and measures to realize mutual supportiveness of trade and environment, and decided to implement a comparative study on the air pollution impact resulting from a free trade agreement between Korea and Japan. In the study, a comparative analysis of industry and bilateral trade structure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ade as a background of environmental impact analysis. The air pollution inventories of Korea and Japan based on the Korean I-O table classification were harmonized and compared. The intertemporal change in industrial emission structure between 1995 and 2000 showed that there had been an important technological progress in managing air pollution. The air pollution effect was calculated by combining emission coefficient per unit of production and output change after free trade. The emission coefficient per unit of production was obtained from the related energy consumption survey. In general, the emission coefficient of Japan is lower than that of Korea for a given industry, which reveals a inter-industrial difference in emission coefficient for a given air pollutant in a country. These two kinds of difference were supposed to play a key role in determining aggregated air pollution impact of industrial output change after trade liberalization. The output change by industry after free trade was calculated from the free trade simulation using a standard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developed by GTAP. The standard CGE model could be characterized by comparative static type and perfect competitive market assumption. The result showed that free trade between Korea and Japan can mitigate air pollution, and economic gains from trade represented by +1.17% and +0.21% increase of GDP respectively. After free trade, the specialization structure of Korea and Japan moved to less pollution intensive one, and the mitigation of air pollution in Japan revealed less important than that of Korea. This results might show one of the interesting cases that the free trade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could be mutually supportive. But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 obtained by the current study needs much precaution. The simulation result from CGE type model is highly dependant on the value of various elasticities not always estimated econometrically but sometimes chosen arbitrary by researchers. The second limit of the current study is that it used a multi-regional general equilibrium model and could not consider the detailed national information which can be more useful in a two-country general equilibrium model combining two individual national general equilibrium models. The comparative static structure of the model put also certain limit on analysis capacity related to the induced technology transfer or progress after free trade.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Abstract <br> <br>I. Introduction <br> <br>II. FTA Policy in Korea <br> 1. Overview <br> 2. Korea Japan FTA progress <br> 2.1 Joint Study Group <br> 2.2 Negotiations <br> <br>III. EIA on Korea Japan FTA <br> 1. EIA Joint Study Group in Japan <br> 2. EIA of FTA in Korea <br> <br>IV. Empirical Results <br> 1. Data, Model and Simulation <br> 1.1 Data <br> 1.2 Model <br> 1.3 Simulation <br> 2. The Comparison of Economic Structure <br> 2.1 Domestic Industry Structure <br> 2.2 Bilateral Trade Flow <br> 3. Environmental Performance <br> 3.1 Data <br> 3.2 Environmental Performance Progress in Korea <br> 3.3 Comparativ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Air Pollution <br> 4. Free Trade Simulation <br> 4.1 Macroeconomic Impacts <br> 4.2 Changes in Trade Flow <br> 4.3 Air Pollution Impacts of K-J Free Trade <br>V. Conclusion <br> <br>References <br> <br>Annex 1. Industry structure for Korea and Japan <br>Annex 2. Emission intensity data for Korea and Japan <br>Annex 3. The Comparison of Environmental Markets <br>Annex 4. Detailed Trade effects on K-J FTA <br> <br>국문요약(Abstract in Korean)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Abstract <br> <br>I. Introduction <br>II. FTA Policy in Korea <br>1. Overview <br>2. Korea Japan FTA progress <br>2.1 Joint Study Group <br>2.2 Negotiations <br>III. EIA on Korea Japan FTA <br>1. EIA Joint Study Group in Japan <br>2. EIA of FTA in Korea <br>IV. Empirical Results <br>1. Data, Model and Simulation <br>1.1 Data <br>1.2 Model <br>1.3 Simulation <br>2. The Comparison of Economic Structure <br>2.1 Domestic Industry Structure <br>2.2 Bilateral Trade Flow <br>3. Environmental Performance <br>3.1 Data <br>3.2 Environmental Performance Progress in Korea <br>3.3 Comparative Environmental Performance in Air Pollution <br>4. Free Trade Simulation <br>4.1 Macroeconomic Impacts <br>4.2 Changes in Trade Flow <br>4.3 Air Pollution Impacts of K-J Free Trade <br>V. Conclusion <br> <br>References <br> <br>Annex 1. Industry structure for Korea and Japan <br>Annex 2. Emission intensity data for Korea and Japan <br>Annex 3. The Comparison of Environmental Markets <br>Annex 4. Detailed Trade effects on K-J FTA <br> <br>국문요약(Abstract in Korean) -
dc.format.extent vi, 84p. -
dc.language 영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title 한일자유무역협정의 환경파급효과에 관한 비교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Comparativ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act of Korea-Japan Free Trade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4-11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환경과 무역연계에 관한 통합적 접근은 무역자유화가 지방(local), 국가(national), 지역(regional), 지구(global) 환경에 어떠한 파급효과를 가져오는가 또는 환경정책 및 규제가 국제무역 특히 개도국 및 최빈국의 선진국 시장접근에 미치는 영향은 어떤 것인가에 관한 의문에서 출발하며, 환경과 무역의 연계문제를 다루는 국제통상협상의 주요 쟁점을 구성한다. 지난 2003년 9월 멕시코 칸쿤에서 개최된 제5차 세계무역기구(WTO) 각료회의에서 도하개발아젠다(DDA) 무역자유화협상과 관련된 주요 쟁점에 대한 중간평가는 예상된 성과를 도출하지 못하였다. 이에 따라 다자간 무역자유화 협상에 상당한 난항이 예상되는 시점에서, 다자간 자유무역협상의 중요한 보완수단으로 인식되어온 양자 혹은 지역국가간의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관심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지역, 양자간 자유무역협정은 상품 혹은 서비스부문의 교역자유화는 물론 직접투자, 무역원활화, 인력이동 등 보다 심화된 교역장벽 제거를 통해 협정 당사국간의 경제통합 정도를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반면, 각 국이 독자적인 국내 환경정책목표달성을 위해 설정한 환경규제 기준 및 정책의 차이는 종종 국가 간 교역에 상당한 실질적 교역장벽으로 작용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환경규범, 규제기준 및 환경정책협력의 강화를 통한 교역장벽 해소는 주요한 지역자유무역협정의 구성요소로 인식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협상 혹은 환경부문을 담당하는 정부부처를 중심으로 진행 중인 자유무역협정 논의과정에서 적절한 환경성 검토가 이루어질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또한 자유무역협정을 통한 국가간 교역확대 및 경제통합의 진전은 당사국 국가경제의 생산, 소비, 자원이용의 변화에 따라 상당한 환경파급효과를 유발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경오염, 생태계 파괴, 자원고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환경파급효과를 정확히 예측하고 부정적 환경효과를 최소화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모색하며, 발생하는 환경문제를 비용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환경기술 혹은 환경정책부문의 협력수요를 발굴하는 정성 및 정량적 분석체계수립이 요구된다. 자유무역협정의 환경성 평가는 무역협상과 함께 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평가에는 협상의 초기단계에서 예측 가능한 환경성 평가결과와 함께 협정이 가져올 부정적인 환경효과에 대한 대응조치 등이 포함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영향평가를 수행하는 실무자가 자유무역협정의 협상과정에 참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단계별 협상을 통해 진행되는 자유무역협정의 각 협상단계를 이해하고 그 과정에서 얻어지는 협상정보를 환경영향평가에 통합하는 장점을 가져다준다. 최근 관심을 모으는 전략적 환경영향평가를 무역자유화의 환경성 평가에 적용할 경우, 충분한 정보를 구비한 협상자,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등 다양한 관리기관의 참여, 전문가, 환경관련 NGOs, 시민과 경영단체의 참여가 특히 중요해진다. 환경적 측면의 정보를 공유한 전문가, 환경단체, 시민, 경영단체 등과 다양한 영역의 참여는 이들이 가진 양자무역 및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해주며, 평가의 각 단계에서 일반시민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자유무역협정의 환경성 평가는 경제성 평가와 연계되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유무역협정에 따른 무역자유화가 재화와 서비스의 교역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세의 철폐나 저감은 물론 비관세장벽의 감소를 의미하며, 무역자유화의 환경영향 또한 이러한 경제적 교역여건의 변화로 인한 무역흐름의 변화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환경성 평가와 경제성 평가는 병행되어야 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2004년 4월 칠레와의 FTA 발효로 일본에 이어 자유무역협정 체결국 대열에 합류하였다. 또한 기존협상대상국인 일본 및 싱가포르 외에 EFTA 와 멕시코 등 새로운 FTA 협상대상국을 선정하고 현재 협상 및 공동연구가 진행 중이다. 일본과의 FTA협상은 지난 2002년 이후 일본과의 본격적인 자유무역협상이 시작된 이래, 2004년 11월 현재까지 6차 협상이 진행되었으며, 실무자 논의 및 대책회의가 지속되고 있다. 일본은 싱가포르와의 자유무역협상 체결 이후 환경성평가에 대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으며, 우리나라도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2003년 연구에서 제안했던 국가 간 자유무역협정의 경제, 무역, 환경 등의 효과를 통합하여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양국 간 비교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일반적인 글로벌 모형에서의 정량적 분석절차는 먼저, 관세 및 비관세장벽의 제거 혹은 감축으로 인해 생산 활동의 변화와 재화 및 서비스 교역량의 변화를 파악하고, 다음으로 생산 활동의 변화에 따라 재화와 서비스의 소비가 증가한 경우 예상되는 환경적 위험에 대한 평가를 진행하며, 마지막으로 환경적 위험을 저감하는 충분한 정책대안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는 순서로 구성된다. 무역협정형태의 무역자유화는 분석에 사용된 모형의 경제변수들을 통해 표현될 수 있으며, 이들 경제변수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정량분석을 통해 환경?경제적 파급효과가 계량화된다. 따라서 교역당사국간의 자유교역에 따른 환경파급효과 추정작업에는 먼저 교역에 따른 재화와 용역의 흐름은 교역당사국의 비교우위구조에 의해 결정되고 교역방향에 따라 당사국내 산업생산구조의 변화가 유발되는 경제적 분석이 선행된다. 이어 이 같은 생산활동의 변화에 따른 환경적 외부성(externality)을 추정하는데, 생산구조의 변화가 유발하는 환경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산업별 환경오염유발강도에 대한 추정이 선행되고 이는 국내경제를 대상으로 특정 산업의 생산 활동과 관련된 환경적 외부효과를 검증하는 작업을 포함한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무역협정의 환경파급효과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기 위한 분석모형으로 기본적인 GTAP-CGE 모형을 이용하였다. 양국의 산업구조를 비교하기위해 각각 1995년과 2000년의 투입산출표(IO table) 자료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산업구분별 자료를 작성하였다. 또한 한국과 일본의 산업별 배출집약도를 나타내는 계수를 수집하여 본 연구의 분석목적에 맞게 재배열하였으며, 우리나라의 경우 2000년 기준의 산업별 배출계수를 에너지 총조사 보고서에 기반하여 재 추정해 보았다. 양국 산업구조를 비교해보면, 일본은 서비스업 비중이 약간 증가하였을 뿐 1995년과 비교해 여전히 서비스 중심의 산업구조를 이루고 있다. 한국은 중공업부문의 제조업과 서비스업 비중이 일본에 비해 크게 증가하였고, 일본과 같은 서비스 분야로 산업의 비중이 커가고 있음을 관찰하였다. 양국간의 비교에서는 건설업 비중이 양국모두 다소 감소하였고, 한국에서의 농림수산업 분야 비중이 일본의 그것보다 크게 나타났다. 전체적으로 양국의 경제규모를 비교해서 산업구조 변화를 보면 1995년과 크게 달라지지 않았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변화가 일본에 비해 컸음을 관찰하였다. 한?일간 교역구조를 살펴본 결과, 우리나라의 대일 수출은 경, 중공업에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데 반해 수입은 중공업 및 대형 장비산업 등에 편중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외교역에서 일본에 대한 수출비중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나 수입은 지속적으로 유지 및 확대되고, 특정부문에 편중되어 있어서 심각한 무역불균형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다. 환경효과를 분석하기 위한 양국 대기오염물질의 산업별 배출집약도를 비교해 보면, 대부분 산업에서 우리나라가 일본에 비해 단위배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에너지 사용비중이 훨씬 높은 일본의 선박산업 부문 또는 농림수산광업, 수송서비스, 그리고 건설업 등에서 Nox의 단위배출수준이 우리나라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전체적인 1995년의 단위배출계수 값도 한국은 산업별 편차가 약 100배까지 보이고 있으나, 일본은 대부분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2000년 기준으로 재 추정된 배출계수와 기존의 값을 비교해 보면 대부분의 산업에서 배출계수 값이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목재 및 목제품, 자동차를 제외한 수송산업, 전력산업, 그리고 수송서비스 산업 등은 ‘95년에 비해 단위배출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완전한 자유무역을 가정한 한?일 FTA 모의분석 결과, 한?일 양국의 GDP는 각각 1.17% 및 0.21%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된 대기오염 변화율은 GDP변화율에 비해 낮은 것으로 예측되었다. 경제적 효과에서는 우리나라의 생산량은 증가하나 일본은 극소지만 감소하는 값이 추정되었다. 또한 일본과의 무역구조에 큰 변화가 없으며, 전체적인 무역수지가 개선되더라도 오히려 일본과의 무역적자는 더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제적 효과는 양국의 정형화된 교역구조에서 기인한다고 판단된다. 즉, 일본으로부터 수입이 최종생산 증가를 유발하고 그것이 다시 우리나라 전체 교역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파악되며, 상대적으로 일본은 우리나라와의 교역비중이 작으므로 그 효과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적인 부분에서 양국의 대기오염은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특히 우리나라는 오염집약적 산업의 생산이 줄고 일본으로 부터의 수입이 이를 대체하여 다른 오염효과가 작은 산업으로의 생산 유발효과가 일본보다 큰 것이 반영되었고, 일본은 전체적인 산출 감소량이 오염배출감소를 유발한 것으로 파악된다. 물론 이러한 면은 양국의 1995년 산업구조를 가정한 상태에서 이루어진 것임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분석과정에서 양국의 교역구조가 상이하고,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에서도 산업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자유무역의 환경오염유발효과 예측에 상당한 주의가 요구됨을 알 수 있었다. 자유무역은 당사국의 교역조건 및 산업구조 변화여부에 따라 특정 산업에 환경오염을 편중시킬 수 있으며, 한일 양국의 교역구조 및 산업특화, 그리고 경쟁력 등의 변화가 경제부문 및 환경에 동시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경쟁모형을 가정하여 정태비교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규모의 경제 및 자본축적효과 등은 고려하지 않았다. 또한 기준년의 기술수준에 변화가 없다고 가정하였으며, 모형에 적용한 환경오염유발모듈은 경제적 효과와 외생적으로 결합된 형태이다. 따라서 경제부문과의 상호 피드백 및 성장효과를 파악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통계자료 및 산업분류상의 제약으로 모든 환경오염물질의 배출에 미치는 효과를 고려하지 못하고 주요 대기오염물질에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같은 제약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자유무역협정의 환경파급효과를 추정하는데 있어 다지역 다재화 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여 산업별 경제적 파급효과에 연계된 환경파급효과를 정량분석하고, 양국의 산업별 단위 배출계수자료를 토대로 환경오염 유발효과를 추정?비교하였다는 성과를 얻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 기준 일본 자료가 획득되지 않았는데, 이는 추후 보완할 것이며, GTAP자료의 업데이트와 함께 최신의 산업구조 및 교역효과를 반영한 양국간 비교연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국내 환경정책의 효과를 반영할 수 있는 분석도구로써 양국의 개별적 일국모형을 구축하고 대기오염물질 외에 폐기물 흐름자료 등을 반영한 통합모형을 구축하여 비교하는 것을 다음과제로 제안하며, 본 연구를 결론짓도록 하겠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 In Ka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ae Joon Ki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Tae Yong J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Toshihiko Masui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unichi Fujin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