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최지용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4:58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4:58Z -
dc.date.issued 2004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4-3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6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농업과학기술원]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연구(2004).pdf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1. 연구 배경 및 목적 <br>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br> <br>제2장 친환경농업의 환경영향에 대한 고찰 <br> 1. 개요 <br> 2. 생태계 <br> 3. 토양 <br> 4. 지하수 및 지표수 <br> <br>제3장 사례지역 고찰 <br> 1. 사례지역 개요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 2. 사례지역의 오염측정 지점 및 오염도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 <br>제4장 친환경농업 시스템의 환경영향 종합평가 <br> 1. 사례지역 오염부하량 산정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 2. 사례지역의 오염원 분석 및 유출특성 평가 <br> 가. 오염원별 부하량 <br> 나. 사례지역의 유출특성 <br> 3. 관행농업과 친환경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비교 <br> 가. 수질 <br> 나. 생물다양성 <br> 다. 토양오염 <br> 라. 농자재사용량 <br> 4.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br> <br>제5장 결론 <br> <br>참고문헌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목 차 <br> 제1장 서 론 <br>1. 연구 배경 및 목적 <br>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br> 제2장 친환경농업의 환경영향에 대한 고찰 <br>1. 개요 <br>2. 생태계 <br>3. 토양 <br>4. 지하수 및 지표수 <br> 제3장 사례지역 고찰 <br>1. 사례지역 개요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2. 사례지역의 오염측정 지점 및 오염도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 <br>제4장 친환경농업 시스템의 환경영향 종합평가 <br>1. 사례지역의 오염부하량 산정 <br> 가. 충청남도 홍성군 홍동면 친환경농업지구 <br> 나. 충청북도 옥천군 청성면 산계리 친환경농업 시범마을 <br>2. 사례지역의 오염원 분석 및 유출특성 평가 <br> 가. 오염원별 부하량 <br> 나. 사례지역의 유출특성 <br>3. 관행농업과 친환경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 비교 <br> 가. 수질 <br> 나. 생물다양성 <br> 다. 토양오염 <br> 라. 농자재사용량 <br>4.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오염부하 저감효과 분석 <br> 제5장 결론 <br> 참고 문헌 -
dc.format.extent vii, 110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Pollutants -
dc.title 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 -
dc.type 수탁보고서 -
dc.title.original Research on management methods of pollutants for environmental friendly agriculture -
dc.description.keyword 물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제1장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공공수역에 유입되는 수질오염물질은 크게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점오염원은 주로 가정하수와 공장폐수에 의해 발생되며, 비교적 일정한 지점에서 일정한 양이 지속적으로 발생되어 강우시나 비강우시 배출량에 큰 변동이 없는 특성을 가진다. 이에 비해 비점오염원은 도시, 농지, 산지 등에서 불특정하게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장소 또는 지역을 의미하며, 비점오염물질 발생은 강수·바람 등을 통해 지표유출수로 유출되거나 직접 수계로 유입되는 특성을 지니다. 농업활동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적으로 농작물과 축산물의 생산 활동에 의해 발생하며, 이러한 활동은 점오염원과 비점오염원의 모든 형태로 나타나지만 대규모 축산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비점오염원으로 나타난다. 농작물의 생산에 의한 환경에의 영향은 농작물의 경작시 발생하는 표토의 교란, 식생을 제거하고 그 자리에 농작물을 심고 농작물이 뿌리를 내리기까지 토양방치, 토양개량을 위해 비료나 가축배설물 등의 토층 상부 살포, 살충제 살포, 관개용수의 공급, 강우에 의한 토양의 유실 등이 있으며, 축산에 의한 환경에의 악영향은 부적절한 방법에 의한 가축배설물 처리, 식생을 적절하게 보호하지 못하는 방목, 하천인근에서의 가축방목 및 사육 등이 있다. 농업 생산이 점차 집약화 되고 생산성의 향상을 위해 비료 및 농약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농작물의 오염뿐만 아니라 토양 및 수질오염이 가중되고 있다. 특히 화학 비료의 과도한 사용 및 산성우 등의 영향으로 토양이 산성화되어 토양 중 영양염의 유출이 가속화되고, 토양미생물이 사멸하여 토양 및 인근 수계의 오염이 더욱 가중되고 있다. 그리고 일부에서는 가축분뇨의 이용만이 친환경농업으로 잘못 오인되어 가축분뇨의 과다 살포 및 미숙성 퇴비의 사용 등도 중요한 농업비점오염원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환경영향의 종합적인 조사·분석을 기초로 환경오염 부하 저감을 위한 실제적인 전략 수립과 구체적인 추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으며, 본 원에서는 농업오염원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농업 비점오염원에 대한 정량화와 농업비점오염원 저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2. 주요 연구 내용 및 방법 선행 수행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선정된 사례지역에 대한 생활오수, 논·밭, 축산에 의한 오염원별 오염부하량을 통계 자료 및 실제 측정을 통하여 산정하고 사례지역의 오염물질 배출 패턴에 대해 각 오염원별로 비교하려 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제1장 서 론 하며 선행 수행된 사례지역의 조사대상범위를 더 확대하여 상류지역에 대한 오염정도를 파악하려 한다. 이 결과를 토대로 외국의 친환경농업과 관행농업이 환경에 미치는 사례를 조사하여 기존 관행농업에서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시 발생되는 이점 및 오염부하의 저감효과를 조사하고 각 사례지역의 친환경농업에 따른 오염부하량의 발생정도를 비교·분석한다. 이와 더불어 관행농법과 친환경농법이 인근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검토하기 위해서 사례지역 내의 생물다양성, 비료·농약 사용량의 변화, 토양오염 등 친환경농업체제로의 전환에 따른 환경영향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려한다. 연구수행 흐름도는 다음과 같다. -
dc.identifier.citationtitle 수탁보고서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I JI-YO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ETC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