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추장민 -
dc.contributor.other 강광규 -
dc.contributor.other 박경애 -
dc.contributor.other 김선영 -
dc.contributor.other Park -
dc.contributor.other Hyesook -
dc.contributor.other Ge -
dc.contributor.other Chazhong -
dc.contributor.other Tsogtbaatar -
dc.contributor.other Jamsran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1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1Z -
dc.date.issued 20051231 -
dc.identifier A 환1185 2005 RE-1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197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05_RE17.pdf -
dc.description.abstract Since the early 1990s, the environmental deterioration in every Northeast Asian counties and the wide development of environment cooperation at global level ha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nvironmental cooperation.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programs and regional cooperation mechanism among countries in the environmental fields have been developed for solving regional environmental problems after the Rio conference in 1992, and even within research institutes and NGOs, the cooperation programs are created. The cooperation in businesses sector increases steadily according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business market. Except a few bilateral cooperations, however, most of the cooperation programs are not running efficiently. To avoid similar environmental cooperation programs overlapped, those programs in similar functions should be linked and integrated with each other, and this will lead improvement in the efficiency of cooperation mechanism. In this respect,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velopment plans by analyzing the existing cooperation mechanism comprehensively. This study, thereby, aim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and to provide provides more effective ways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considering the result of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the demand survey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from relevant parties in the Northeast Asia. The tool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international environmental regime has been used to create an effectiveness evaluation method for individual environmental cooperation cases and cooperation mechanism. The scope of evaluation consists of two main fields, namely, institutional and environmental effectiveness. As well, evaluation objects include individual cooperation cases, integrated cooperation, cooperation mechanism among subjects at domestic level and individual cooperation programs at regional level. The evaluation objects for individual environmental cooperation effectiveness are two variables; outputs and outcomes of cooperation implementation (dependent variables), and influencing factors (independent variables). The evaluation method of independent variables is designed for evaluating individual cooperation case and cooperation mechanism. The evaluation method of dependent variables is designed for individual cooperation case in the respect of institutional effectiveness. Environmental effectiveness is evaluated by analyzing survey results on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Korea, China, Japan, and Mongolia. Seven individual cooperation cases are selected and evaluated. Comprehensive cooperation cases include NEASPEC, TEMM, and NEAC. The cases, against transboundary air pollution problems ,including dust and sand storm(yellow sand), consist of EANET, LTP and SDS-Net. NOWPOP is selected as Marine environmental cooperation case. Each cooperation case is evaluated, based on its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objects of independent variables consist of problem(agenda) type/character, problem(agenda) solving capacity, and external factors. The dependent variables of each case are only designed to evaluate the institutional effectiveness and the institutional role of cooperation, including learning facilitate, utility modifier, implementation system. From the evaluation result, most of the cases show representative roles of learning facilitate in cooperation process, but some shows low effectiveness. The effectiveness of the whole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evaluated by analyzing the subjective understanding of relevant persons to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each country, based on the survey result. Environmental cooperation has achieved very low environmental effectiveness in Northeast Asia, according to survey result since there is no viable and quantitative effects on environmental improvement through cooperation in this sub-region. The comprehensive evaluation for environmental cooperation mechanism at regional level in Northeast Asia is as follows. Suitability of cooperation subject is high level, but diversity of cooperation is also low. Cooperation substances concentrated on regional environmental issue such as transboundary air pollution etc. But most of cooperation among governments have been implementing, based on voluntary participation, no legal binding environmental regime in Northeast Asia. Thus, strengthening enforcement of cooperation is the major challenge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Northeast Asia. From the result of effectiveness evaluation and the demand survey, more effective way for improving environmental cooperation is suggested as following in this study. Firstly, the driving keynotes of Northeast environmental cooperation are establishing feasible purpose, selection and concentration on regional major issues and damage prevention, selecting cooperation project base on outcome and efficiency, achieving synergy effect through linkage and integration among individual cooperations, promoting participation of various subjects and closely linkage other regional/global cooperation. Secondly, the strategic purpose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should be focused on the following directions. First, reform of environmental policy and institu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of each in the Northeast Asia country. Second, an establishment of counter measures about major regional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transboundary air pollution, including acid rain, dust and sand storm, marine pollution and ecosystem change. Third, evolution of institutionalization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in the Northeast Asia. Thirdly, the importance cooperation fields, prior cooperation projects and institution reform sector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importance cooperation fields are transboundary air pollution(including acid rain), marine pollution, dust and sand storm. The prior cooperation projects of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ion are establishment of transboundary air pollutant monitoring network and cooperation of industry technology for air pollutant reduction such as energy efficiency field. The prior cooperation projects of marine pollution are establishment of marine pollution monitoring and information sharing network, land source water pollution prevention project, marine ecosystem joint survey and conservation project. The prior cooperation projects of dust and sand storm established permanent bilateral joint monitoring and data transmission network with China, forecasting and early warming network in the long-term, desertification prevention project. The prior cooperation fields of institutional reform consist of mainly two fields: a comprehensive cooperation field and a transboundary air pollutant monitoring and assessment field. The role of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 identification among NEASPEC, TEMM and NEAC, between LTP and EANET are suggested in the phase approach. Domestic implementation mechanism of each cooperation is identified according to sector and subject. Then, role coordination and relationship identification among 5 main relevant departments, namely, environment, foreign affairs,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eteorological agency, forest agency are suggested in environmental cooperation fields. The role of among relevant departments needs to be arranged based on domestic assignment of each department. Also, human resources training, information network establishment, and "Northeast environment report" publication are suggested to improve domestic implement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 문 요 약 <br> <br>제1장. 서론 <br> 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br> 2. 기존 연구 고찰 <br> 3. 연구의 내용과 방법 <br> <br>제2장 동북아 환경협력 현황 개괄 <br> <br> 1. 동북아 지역차원의 환경 현안 <br> 가. 대기분야 <br> 나. 해양 분야 <br> 다. 기타 분야의 지역 환경 현안 <br> <br> 2. 정부간 환경협력 <br> 가. 다자간 협력 <br> 나. 양자간 협력 <br> <br> 3. 지자체간 환경협력 <br> <br> 4. 국제기구, 연구기관 및 민간조직의 환경협력 <br> 가. 국제기구 주관 협력사업 <br> 나. 연구기관 협력 <br> 다. 민간조직(NGOs 및 기업) 협력 <br> <br> 5. 환경협력 성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br> <br>제3장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방법 설계 <br> <br> 1. 국제환경레짐의 유효성 평가방법 선행연구 고찰 <br> 가. 레짐 유효성 연구동향과 유효성의 개념 <br> 나. 유효성 평가방법 고찰 <br> 다. 유효성 평가방법 선행연구 고찰 요약 <br> <br> 2.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범위 설정 <br> <br> 3.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 방법 <br> 가. 환경협력 내·외부 영향요인(독립변수) 평가방법 <br> 나. 환경협력 결과(종속변수)의 유효성 평가방법 <br> <br> 4. 개별 협력으로 형성된 환경협력체계 평가방법 <br> <br>제4장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 <br> <br> 1. 평가대상 환경협력의 선정 <br> <br> 2. 개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br> 가. 포괄적 환경협력사례 <br> 나. 장거리이동 월경성 대기오염 대응 <br> 다. 해양 분야 지역협력 <br> <br> 3. 동북아 환경협력 전반에 대한 유효성 평가 <br> 가. 동북아 환경협력에 대한 인식 <br> 나.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에 대한 인식 <br> <br> 4.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평가 <br> 가. 국내추진체계평가 <br> 나. 국가간 협력체계 평가 <br> <br>제5장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br> <br> 1. 동북아 환경협력의 추진기조 및 전략 목표 <br> 가. 동북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br>서 언 <br>국 문 요 약 <br> <br>제1장. 서론 <br>1. 연구 필요성 및 목적 <br>2. 기존 연구 고찰 <br>3. 연구의 내용과 방법 <br> <br>제2장 동북아 환경협력 현황 개괄 <br>1. 동북아 지역차원의 환경 현안 <br>가. 대기분야 <br>나. 해양 분야 <br>다. 기타 분야의 지역 환경 현안 <br>2. 정부간 환경협력 <br>가. 다자간 협력 <br>나. 양자간 협력 <br>3. 지자체간 환경협력 <br>4. 국제기구, 연구기관 및 민간조직의 환경협력 <br>가. 국제기구 주관 협력사업 <br>나. 연구기관 협력 <br>다. 민간조직(NGOs 및 기업) 협력 <br>5. 환경협력 성과에 대한 평가의 필요성 <br> <br>제3장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방법 설계 <br>1. 국제환경레짐의 유효성 평가방법 선행연구 고찰 <br>가. 레짐 유효성 연구동향과 유효성의 개념 <br>나. 유효성 평가방법 고찰 <br>다. 유효성 평가방법 선행연구 고찰 요약 <br>2.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범위 설정 <br>3.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 방법 <br>가. 환경협력 내·외부 영향요인(독립변수) 평가방법 <br>나. 환경협력 결과(종속변수)의 유효성 평가방법 <br>4. 개별 협력으로 형성된 환경협력체계 평가방법 <br> <br>제4장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 <br>1. 평가대상 환경협력의 선정 <br>2. 개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br>가. 포괄적 환경협력사례 <br>나. 장거리이동 월경성 대기오염 대응 <br>다. 해양 분야 지역협력 <br>3. 동북아 환경협력 전반에 대한 유효성 평가 <br>가. 동북아 환경협력에 대한 인식 <br>나.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에 대한 인식 <br>4.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평가 <br>가. 국내추진체계평가 <br>나. 국가간 협력체계 평가 <br> <br>제5장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br>1. 동북아 환경협력의 추진기조 및 전략 목표 <br>가. 동북아 환경협력의 추진기조 <br>나. 동북아 환경협력의 전략목표 <br>2. 중점협력 분야 및 우선협력사업 선정 <br>가. 분야별 중점협력 분야 및 우선협력사업 <br>나. 중점 제도개선 분야 <br>3. 국내 환경협력 추진체계 구조개선 방안 <br>가. 정부 부처간 추진체계 개선 방안 <br>나. 부문별 주체간 협력체계 강화 방안 <br>4. 개별 협력 역할조정 및 협력체계의 구조개선 방안 <br>가. 포괄적 협력체의 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 <br>나.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산성비) 대응 협력의 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 <br>5. 국내·외 협력추진 기반 정비 <br> <br>제6장 연구의 요약 및 향후 과제 <br>1. 연구의 요약 <br>가.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유효성 평가방법 설계 <br>나.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유효성 평가 <br>다.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br>2.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br> <br>참 고 문 헌 <br> <br>부록 <br>부록 1. 동북아 환경협력 활동 연혁 <br>부록 2. 동북아 환경협력 분야별 분류 <br>부록 3.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에 관한 의견조사 실시개요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xxi, 295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International cooperation -
dc.title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A study on innovational measures of environmental cooperation mechanism in Notheast Asi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5-17 -
dc.description.keyword 지구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1. 서 론 지난 10여 년간 동북아 환경협력은 역내 국가들의 정부, 연구기관, 민간 환경단체(NGOs), 기업간에 상당한 발전을 가져왔다. 하지만 일부 양자간 차원에서 진행되는 개별적인 협력사업을 제외하고는 상당수의 협력사업이 효율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으며, 역내 환경개선을 위한 실질적인 사업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고 있다. 동북아 환경협력을 활성화하고 협력체계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해 유사한 환경협력체와 협력사업의 중복을 조정하고 개별협력체간의 연계와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서 기존 협력사업과 협력체계의 성과와 한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를 통해 효율성 제고의 측면에서 환경협력의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과제의 연구목적은 현재 동북아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개별 환경협력과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환경협력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그리고 역내 환경협력 당사자의 협력에 대한 수요조사를 바탕으로 동북아 환경협력체계의 구조개선을 통한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2. 동북아 환경협력 현황 개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대상인 개별 협력을 선정하기 위하여 우선 국가간 협력을 통한 공동대응이 필요한 지역차원의 주요한 환경현안에 대하여 대기분야, 해양분야 및 기타분야로 분류하여 개괄적으로 정리·파악하였다. 대기분야에서의 주요 지역 환경현안은 에너지기원 월경성 대기오염, 황사 및 산성비로 파악되었다. 또한 해양분야에서는 육상, 선박 및 해상기원 폐수 유입, 폐기물 투기, 해양생태계(염도, 온도) 변화가 주요한 지역 환경현안으로 공동대응을 필요로 하고 있다. 그리고 기타분야로서 중국과 몽골 및 북한지역의 사막화, 산림파괴, 국경하천 오염사고 및 수생태계가 지역 환경현안으로 대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지역 환경현안에 대응하여 기존의 역내 환경협력의 현황에 대해 정부간, 지자체간, 국제기구, 연구기관 및 민간조직 등 협력주체별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동북아 환경협력의 특성상 협력의 대다수를 이루고 있는 정부간 협력을 중심으로 개별 협력의 성격, 목적, 경과 및 주요활동에 대해 개괄적으로 분석하였다. 과거 10년간 다양한 협력이 전개되어 왔음에도 불구하고 동북아 지역 환경현안이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으며, 오히려 해양생태계 변화, 국경하천 오염 등 새로운 지역 환경문제가 대두하는 있는 현실분석에 근거하여 동북아 환경협력의 성과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와 효율적인 협력방안을 모색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3.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유효성 평가방법 설계 본 연구에서 설계한 동북아 환경협력 유효성 평가 방법은 평가범위 설정, 개별 환경 협력에 대한 평가방법, 환경협력 전체에 대한 평가방법, 그리고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국내추진체계 및 국가간 협력체계에 대한 평가방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유효성 평가 범위는 동북아 지역에서 전개되고 있는 개별 환경협력, 환경협력 전체 및 개별 환경협력으로 구성된 환경협력체계가 각국 정부의 정책 및 제도의 변화, 기업 및 개인의 생산/생활 방식의 변화에 미친 제도적 유효성과 동북아 지역의 환경질 개선에 실질적인 효과를 미친 환경적 유효성으로 설정하였다.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방법은 크게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내·외부 영향요인(독립변수)에 대한 평가와 협력의 전개로 나타난 결과의 유효성(종속변수)에 대한 평가로 구분하였으며, 각각 평가대상, 평가영역, 평가지표 및 평가기준의 4가지 항목을 설계하였다. 평가영역은 각 평가대상에서 평가되어야 할 요소로 구성했으며, 평가지표는 평가영역에 존재하는 정량적 또는 정성적 정도, 규모, 능력 등에 대한 지표로 설계하였다. 그리고 평가기준은 강, 중, 약의 3가지 정성적 평가기준으로 설정하였다. 먼저 내·외부 영향요인(독립변수)에 대한 평가방법은 환경문제(주요의제)의 유형과 특성, 문제(주요의제) 해결 능력, 그리고 정치, 경제 등 외부요인의 3가지 평가대상을 설정했다. 그리고 각각 평가대상에 대한 평가영역 및 평가지표 및 평가기준을 개발하였다. 독립변수의 평가결과는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결과를 해석하는 자료로서 의미를 부여하였다. 다음으로 환경협력결과의 유효성(종속변수)에 대한 평가방법에서는 제도적 유효성 측면에서 환경협력의 학습 촉진자, 이해/권력관계 조정자, 이행 강화자로서의 3가지 역할을 평가대상으로 설정하였다. 환경상태의 개선효과를 발휘한 환경적 유효성측면에서는 환경문제 해결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을 평가대상으로 삼았다. 환경문제 해결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에 대한 평가는 동북아 환경협력의 수준을 고려하여 개별 협력을 대상으로 하지 않고 동북아 환경협력 전체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경협력의 유효성에 대한 평가결과는 개별 환경협력의 강화, 보완 또는 전환이 필요한 분야와 그 방안을 도출하는 근거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환경협력체계 평가방법은 협력체계의 문제(주요의제) 해결능력을 평가대상으로 하여 추진주체, 협력내용, 결정/집행 구조 및 자원조달구조의 4가지로 평가영역을 설정하고 각각에 대한 평가지표와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 환경협력체계에 대한 평가결과는 국내차원에서는 협력주체의 효율적인 역할분담 및 조정협의체계 구축 방안, 협력추진 기반강화 방안의 도출, 그리고 국가간 차원에서는 개별 환경협력의 역할조정, 통합 및 연계를 통한 구조개선 방안을 모색하는데 활용하고자 하였다. 4.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유효성 평가 1990년대 중반이후 동북아 지역에서 진행되어 온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는 포괄적 환경협력, 황사를 포함한 월경성 대기오염, 해양오염 등 세 가지 분야의 NEASPEC, TEMM, NEAC, EANET, LTP, SDS-Net, NOWPAP 등 총 7개의 개별 협력의 내·외 영향요인(독립변수)과 협력결과의 유효성(종속변수)을 평가하였다. 그리고 동북아 환경협력이 동북아 환경협력에 미친 전반적인 유효성에 대해서는 설문조사 등을 활용하여 정성적인 평가를 하였다. 또한 개별 환경협력으로 형성된 국내추진체계와 국가간 체계를 분석하고, 이러한 국내·외 협력체계가 동북아 환경협력의 전반적인 유효성에 미친 영향을 평가하였다. NEASPEC은 포괄적인 환경협력프로그램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지향하는 환경협력체이다. 포괄적 협력체 구축이라는 난제에 내재된 열악한 독립변수 조건의 영향으로 NEASPEC의 제도적 유효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핵심과제인 포괄적 환경협력체 구축을 위한 제도적 장치의 도입이 계속 지체됨으로 인하여 NEASPEC의 제도적 유효성은 낮게 평가되었다. TEMM은 한·중·일 3국 환경장관회의로서 동북아지역에서 환경협력과 관련한 최고위급 정부간 회의체이다. TEMM에서는 높은 대표성을 지닌 회의체에서 사업추진 동력이 양호한 독립변수의 여건을 가지고 각국의 환경현안 및 환경정책을 상호교류하고 역내 환경현안에 대한 공통인식의 형성, 실현가능한 소규모 사업 전개 등 문제 난이도가 낮은 사업이 전개되고 있다. 때문에 TEMM은 제도적 유효성, 특히 학습의 촉진자로서의 역할에 있어서 유효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평가됐다. NEAC은 동북아 5개국의 환경포럼 성격의 회의체이다. 재정자원의 빈약 등 전체적으로 독립변수의 악조건으로 인하여 동북아 환경협력에 대한 상호간의 이해도 제고 이외에는 협력의 유효성이 거의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EANET은 동아시아지역의 국가간 산성강하물질 모니터링 네트워크이다. EANET은 과학적 평가기법, 자원 등의 면에서 현재 규정된 EANET의 역할을 수행하기에는 호조건의 독립변수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제 이해도 제고, 이행/목표 달성, 자원투입 등에서 높은 유효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LTP는 한중일 3국이 진행하는 국가간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을 대상으로 한 공동연구사업이다. 대표성, 리더십, 조직집행력에서 LTP 활동에 양호한 조건을 가지고 있으며, 문제이해도 제고, 갈등완화, 이행/목표 달성에서 높은 유효성이 확인되었다. SDS-Net은 문제의 유형 및 특성, 주체의 대표성, 외부요인 등에서 사업을 이행하는데 좋은 여건을 지니고 있으며, 현재 합의된 사업범위 안에서 높은 유효성을 나타낸 것으로 평가되었다. NOWPAP은 UNEP 주관하에 북서태평양보전 및 보전사업의 지역협력 강화를 목적으로 한 정부간 상설 환경협력체이다. NOWPAP은 제도화 수준에서 높은 유효성이 평가되지만 문제의 난이도가 높고 가동자원이 충분하지 못하여 사업의 지체로 실천사업 이행에 있어서의 유효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개별 환경협력의 평가결과를 종합하면 문제(주요의제)의 난이도가 높은 경우, 대체적으로 제도적 유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런데 문제(주요의제)의 난이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사업의 범위를 낮은 수준에 한정한 경우에는 사업이행에 갈등정도가 약하고 실현가능성이 높아 제도적 유효성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문제(주요의제) 해결능력에 있어서 협력주체의 리더십 및 가용자원의 정도가 제도적 유효성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독립변수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부분의 개별 환경협력은 문제(주요의제)의 이해도를 제고하는 학습 촉진자로서의 역할에서 제도적 유효성이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상당수의 개별 환경협력이 참가국간의 이해/권력 조정자로서의 역할을 적지 않게 수행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다음으로 우리나라, 중국, 일본, 몽골 4개국의 동북아 환경협력 담당자, 전문가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동북아 환경협력의 전반에 대한 유효성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다. 동북아 지역 환경협력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장거리이동 월경성 대기오염문제를 동북아 각국의 공동대응이 가장 시급한 지역 환경현안으로 응답하였다. 다음으로 동북아 지역에서 환경문제를 야기하는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무분별한 개발과 경제성장 일변도의 정책을 들었다. 이는 4개국 모두의 일치된 의견으로 동북아 환경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개발과 경제정책의 전환이 근본적인 대책임이 확인된 것이다.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에 대한 인식과 관련하여 응답자의 대다수(87%)가 과거 10년간 동북아 환경협력이 발전해 왔다고 응답하여, 환경협력이 각국의 환경정책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해 온 것으로 평가되었다. 동북아 환경협력의 실질적인 성과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68%가 긍정적으로 답하였다. 하지만 무응답을 포함하여 약 1/3에 해당하는 32%의 응답자가 부정적인 응답을 하였다. 동북아 지역 환경협력의 직간접적인 관련자들의 주관적인 인식에서도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은 그리 높지 않게 나타난 것이다. 유효성의 분야에 있어서는 동북아 환경문제에 대한 공통인식의 증진을 가장 큰 성과로 응답했으며, 지역 환경협력 필요성 공감확산을 두 번째로 들었다. 이는 본 연구의 개별 환경협력의 유효성 평가에서 높은 유효성이 확인된 학습 촉진자와 이해/권력 조정자의 역할과 일치하는 것이다. 환경협력의 실질적인 환경개선 효과에 대한 설문에서는 응답자의 절반이하인 47%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이는 가시적이고 정량적인 환경협력의 효과가 부재한 때문으로, 동북아 환경협력은 문제해결의 촉진자로서 환경 개선효과의 유효성이 낮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동북아 환경협력의 국내추진체계에 대한 평가는 아래와 같이 요약된다. 먼저 협력주체의 측면에서 협력주체의 적합성은 높으나, 구성에 있어서는 정부에 편중되어 있어 협력주체의 다양성은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협력의 내용은 국가간 공동대응이 필요한 지역 환경현안을 대상으로 집중되어 있다는 측면에서는 적절하지만, 장거리이동 월경성 대기오염문제와 황사 등 일부 분야에 협력이 집중되어 중복현상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에 환경산업의 비중이 매우 낮으며, 분야별 다자간 협력과 환경산업 협력의 주요 통로인 양자간 협력 간에 협력내용의 긴밀한 연계와 역할분담이 미비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부 분야에 있어서는 협력의 내용이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는 등 각 분야별로 핵심 목표의 달성 정도가 불균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협력의 결정/집행체계에 있어서는 동북아 환경협력의 기본계획과 분야별 중장기 추진계획이 부재한 상태에서 단기성 계획과 대응책을 결정/집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또한 협력을 주관하는 정부 부처간 업무협의 및 조정은 사안별로 기술적 수준에서 진행되는 정도이며, 다양한 협력주체 사이의 효율적인 역할분담체계는 사실상 부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마지막으로 자원조달구조에 있어서 다양한 재원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협력사업을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자금주관부문과 협력주관 부문간의 유기적인 협의체계가 구축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간 협력체계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내용은 아래와 같다. 먼저 협력주체 면에서 협력주체의 적합성은 높지만, 국내 추진체계와 마찬가지로 정부 위주로 협력이 진행되어 협력주체의 다양성이 매우 낮다. 다음으로 협력의 내용은 황사, 산성비 등 동북아의 지역 환경현안을 대상으로 집중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적절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협력의 형식과 성격에 있어서는 자발적인 의사에 근거한 협력체가 대부분으로 구속력이 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는 모니터링 네트워크의 구축, 오염물질 저감 등 분야에서 구속력이 높은 형태의 협력체 구축이 동북아 환경협력의 핵심과제로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의미한다. 국가간 환경협력 결정/집행 체계에 있어서 포괄적 지역협력체와 리더십을 갖춘 포괄적 환경협력체의 부재 등 환경협력의 결정/집행체계상의 지원 기반이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 경제개발협력기금(EDCF)과 일본의 공적개발기금(ODA)과 같은 공공개발자금, 각국 협력주관부문의 협력추진 자금 등 동북아 환경협력의 재원조달 구조는 다양하지만 양자간 협력에 대부분 투입되기 때문에 다자간 협력의 재원조달 구조는 매우 취약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5. 동북아 환경협력체계 효율화 방안 동북아 환경협력의 발전을 위한 협력체계의 효율화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먼저 동북아 환경협력 추진의 기조 및 전략목표를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와 유효성 평가결과를 근거로 우리나라가 추진해야할 분야별 중점 협력분야 및 우선협력사업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국내 환경협력 추진체계의 효율화를 위한 구조개선 방안으로서 정부 주관부문 사이의 추진체계 개선 및 참여주체 사이의 협력체계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북아 환경협력의 효율화를 위해 분야별로 개별 협력의 역할조정을 통한 연계·통합 및 협력체계의 단계적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내 환경협력의 기반강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동북아 환경협력 추진 기조로서 실현가능한 목표 설정, 주요 지역 환경현안 및 우리나라가 당면한 피해방지 분야를 중심으로 한 선택과 집중, 성과와 효율성을 평가기준으로 한 협력사업의 선정, 개별 협력 사이의 상호 연계와 통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 달성, 다양한 주체의 참여 촉진 및 협력 강화, 동북아 환경협력의 강화를 출발점으로 하여 지역/지구 차원의 협력과 연계강화 등 6가지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전략목표로서 첫째, 동북아 각국의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환경정책 및 제도의 개선, 둘째, 산성비, 황사, 해양오염 및 생태변화 등 주요한 지역 환경현안에 대한 대응체계 구축, 셋째, 동북아지역 환경협력체제의 제도화 진전 등 3가지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 중점협력 분야와 협력우선사업 선정에 있어서는 분야별 중점협력 분야 및 협력우선사업과 중점 제도개선 분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우리나라가 추진해야할 중점협력분야 및 우선협력사업은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산성비 포함) 분야, 해양보전분야 및 황사대응 분야의 세 가지 분야로 구성되어 있다.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분야의 우선협력사업은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 모니터링네트워크 구축, 에너지 분야 등 대기오염물질저감 산업기술 교류협력, 해양보전 분야는 해양오염 모니터링 및 정보공유 네트워크 구축, 육상기원 오염방지사업 전개, 황해, 제주도 해역 등 해양생태계공동조사 및 보전사업, 황사대응 분야는 양자간 황사 공동 관측망 및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의 상설화, 다자간 황사관측 및 예·경보 네트워크 건설 및 사막화 방지사업 등을 제시하였다. 제도개선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추진해야할 우선협력사업으로는 월경성 오염물질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협정 체결, NEASPEC, TEMM 역할 조정 및 협력체계 구조 개선, LTP/EANET 연계통합, 민간단체 참여 촉진 체계 구축, 자금부문과 협력부문간 협력체계 구축 및 부처간 상설 협의체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우선협력사업의 구체적인 실시를 위한 국내 추진체계 구조개선 방안으로 정부 부처간 추진체계의 개선과 부문별 주체간 협력체계 강화에 대한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먼저 부처간 추진체계 구조개선은 국내의 담당업무에 근거한 주관부문의 조정 필요성과 환경, 외교, 해수, 기상, 산림 5개 부처간의 역할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으로 구성되어 있다. 환경부는 환경관리 주관부문으로서 지역 환경협력계획의 수립, 지역차원의 환경비전 수립 및 집행, 매체별/분야별 보전전략 수립 및 집행 등의 업무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환경부는 매체별/분야별(환경부소관) 협력, 환경산업 분야에 집중하고, TEMM, LTP, EANET, 환경산업협력을 전담하면서 환경데이터베이스, 환경교육훈련 등 환경보전 기반 구축 등의 업무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황사정보공유 협력은 동북아 다자간 황사 관측 및 예경보 네트워크 구축의 시점에서 기상청에 이관하고, 조림사업 위주의 서부생태복원 사업은 산림청이 전담할 수 있도록 역할 조정이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외교통상부에 대해서는 대외정책의 주관부문으로서 지구 또는 지역의 전체 대외전략의 한 구성분야로 동북아지역 환경협력의 전략적 가이드라인 제공, 관련 부처 및 부문의 조직자로서의 역할, 포괄적 환경협력체의 구축 및 운영 등의 업무에 집중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외교통상부는 특정 환경현안에 관한 개별적인 사업성 협력추진은 가급적 지양하고, NEASPEC의 포괄적 협력체로서의 발전계획 추진, 양자간 환경협력공동위의 활동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차원에서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협의체인 NOWPAP을 국내 해양환경보전 담당부처인 해수부에 주관부문의 역할과 업무를 이관하는 문제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수부에 대해서는 NOWPAP을 외교통상부로부터 이관 받아 동북아 해양환경보전 협력 업무를 총괄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기상청은 황사 예경보 주관부처로서 다자간 황사 모니터링 및 예경보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기반으로서 양자간 사업을 담당하고, 환경부의 「황사정보공유사업」을 적절한 시점에서 다자간 네트워크 구축 차원으로 흡수하여 동북아 황사 예·경보의 총괄기관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 산림청은 기존의 업무와 큰 차이 없이 중국과 몽골의 사막화 지역의 조림사업을 중심으로 한 생태복원사업을 총괄하여 관련 업무를 전담해야 할 것이다. 개별 협력의 역할 조정 및 협력체계의 구조개선 방안에 대해서는 개별 협력의 조정 및 협력체계 효율화 방안의 예로서 역할 조정 및 통합의 관심 대상 되고 있는 포괄적 협력체로서의 NEASPEC, TEMM 및 NEAC, 그리고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산성비)에 대응하고 있는 EANET와 LTP 간의 역할 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포괄적 협력체로서의 역할 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에 있어서 먼저 NEASPEC을 동북아의 포괄적 환경협력체로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동북아지속가능발전행동계획’을 수행하는 환경협의체로 그 역할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양자간 협력(환경공동위)간에 상호교류를 통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네트워크의 역할도 강화해야 할 것이다. TEMM은 동북아 지역차원의 환경보전계획을 수립 집행하는 포괄적 환경협력체로 성장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와 같은 느슨한 형태의 회의체 성격에서 탈피하고 동북아지역 전체의 ‘환경보전전략’을 수립하고 이를 실행할 수 있는 협력체로 전환되어야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TEMM은 한중일 3국의 범위를 단계적으로 확대하여 북한, 몽골, 러시아가 참여하는 명실상부한 ‘동북아환경장관회의’로의 발전이 필요하다. 그리고 분야별로 환경현안해결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분야별 환경협력체에서 구체적인 행동계획을 수립 이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NEAC은 환경포럼의 역할을 계속 유지하되, 현재와 같은 독자적인 형태로는 회의 지속성이 담보되지 않고 있기 때문에 “황사특별회의(3+1)”와 유사하게 TEMM의 특별회의 형태의 “NEAC(3+2) 정책대화(Policy Dialogue)"로 전환하여 각국의 환경정책, 지자체의 환경관리, 민간단체의 활동을 교류하는 장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과 산성비에 대응한 협력체의 역할 조정 및 연계·통합을 통한 구조개선에 대해서는 LTP와 EANET의 역할 조정 및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LTP의 역할은 현재와 같은 독립적인 공동연구사업 성격에서 ‘동북아 장거리이동 대기오염 연구센터’로서의 발전전망과 위상을 정립하고 기존의 연구를 강화하여 동북아의 국가간 대기오염물질 장거리 이동 및 통합평가모델을 자신의 연구 분야로 특화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LTP사업은 EANET과 통합하여 EANET의 해당 분야의 연구와 협력을 담당하는 지역 센터의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다음으로 EANET의 역할을 현재와 같은 각국의 일부 산성비 측정소를 연결하는 단순한 네트워크에서 벗어나 동북아지역 범위에서 산성비 원인 대기오염물질의 배출, 이동, 침적 및 영향을 관측 평가하는 네트워크로의 장기적인 발전전망을 갖고 단계적으로 구축해 나가야 한다. 이러한 역할 조정을 통해 LTP와 EANET으로 이루어진 장거리 이동대기오염 물질 협력체계의 구조개선에 대해서는 양자가 상호 연계된 형태로 지역범위의 산성물질 배출, 이동 침적 및 영향을 측정 평가할 수 있는 모니터링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EANET 조직체계의 구조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EANET 조직체계 구조개선의 핵심은 바로 모니터링 네트워크의 사업별로 주요사업을 담당하는 지역 센터의 전면적인 재구축에 두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재구축 방안으로서는 유럽의 EMEP의 분야별 센터의 구성체계와 유사하게 동북아지역에서도 현재 일본의 ADORE가 전담하고 있는 지역 센터를 사업의 확대에 따라 분야별로 분담하여 각각 우리나라와 중국에 설치하는 형태로 EANET 지역 센터의 역할분담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즉 일본의 ADORE는 기존의 산성물질 강하를 측정하는 화학분석종합센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우리나라는 LTP 사업을 전환하여 EANET의 장거리이동/통합평가 연구역할을 담당하는 장거리이동/통합영향평가 센터를 설치 운영하며, 중국은 오염물질 최대배출국가로서 오염물질 배출원/배출량 분석센터를 설치·운영하는 형태의 EAENT 지역센터 역할분담체계를 구축해 나가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앞에서 제시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인력, 정보, 조사연구의 측면에서 개괄적으로 국내의 환경협력 추진기반의 강화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전문 인력 양성의 측면에서는 각부처에 전문적인 능력을 갖춘 담당자를 육성할 수 있는 인사대책, 정부부처, 지자체, 기업, 민간단체 등의 인력에 대한 교육훈련 또는 해외 파견사업, 해외 연수인력에 대한 관리 및 활용시스템 운영 등의 정책이 추진될 필요가 있다. 또한 국내의 동북아 환경협력 전문 인력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적재적소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동북아 환경협력 전문가 등록제’를 도입해야 할 것이다. 둘째, 동북아 환경정보망을 구축하여 동북아 각국의 환경현황, 역내 협력현황 및 주요 협력수요에 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서 지역 협력을 촉진하는 인프라 구축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특히 우리나라가 주관하고 있는 중국환경시장 정보 사이트에 직접 진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설치하여 각 사이트간 정보교류를 활성화해야 한다. 그리고 역내 환경협력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는 ‘환경협력가이드북’을 제작하여 정부부처, 기업, 연구기관 및 민간단체 등에 제공하여 환경협력의 ‘시장진입 비용’ 및 위험부담을 줄여야 할 것이다. 셋째, 조사연구 기능의 강화 차원에서 우리나라 환경협력의 전략 수립에 필요한 자료 확보를 위해 동북아 각국의 환경현황 및 협력의 여건에 대한 연구조사를 강화하고 정기적으로 ‘동북아환경보고서’를 발간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가환경종합계획(2006-2015)의 동북아 환경보전 및 협력강화 부분에서 제시한 주요과제의 효율적인 실천방안을 수립하여 장래 동북아 환경협력의 유효성을 제고해야 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u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Jang-M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