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Ⅲ-1)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노백호 -
dc.contributor.other 이창희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5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5Z -
dc.date.issued 200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RE-02-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39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9/기본_2006_03_노백호.pdf -
dc.description.abstract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Ⅲ(Current Status of Esturies and Estuary Management) Abstract In this first report for the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Project, the aim is to understand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 major estuaries in Korea, as well as strategies and measures to solve them.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general status of 17 estuaries. More in-depth studies were conducted in this study, and specific management strategies are suggested for four major estuaries, the Han, Youngsan, Sumjin, and Nakdong River estuaries. The human population density of the 17 Korean typical estuaries is 1,324 people per ㎢, which is 2.8 times the average population density in Korea. In addition, the population growth rate in estuarine regions increased more than the national growth rate of 2.8% to about 3.6% from 1997 to 2002, further suggesting that Korean estuaries are under high pressure from development. The First and Second ’Reclamation Plans to Publicly-Owned Water Surfaces’ (1991~2011) indicate that 22.6% (146 sites) of all planned reclamation areas are located in estuaries, and reclamation in estuaries accounts for 42.8% (427㎢) of all reclamation land. If reclamation projects are conducted as planned through 2011, 30% more remaining wetland be destroyed relative to the amount in 2002. More than 300,000 enterprises including 77 industrial and rural industrial parks are located on estuaries. The cargo volume of ports located in estuaries is 426,600 revenue tons, accounting for 46% of the total national cargo volume, and during the last decade this volume had an annual growth rate of 6.8%. High development pressure has led to common environmental problems in most of estuaries in Korea, including restricted water circulation, estuarine wetland destruction, decreased biological diversity and natural resources, and water quality deterioration. Most of the major Korean estuaries have estuary barrages that block water circulation and ecological pathways of fish travelling upstream and downstream. The water enclosed by the barrages is of very low quality, with level III and over. Levels of heavy metals in fish and shellfish in the Geum, Mankyoung, and Dongjin River estuaries exceeded the standards for marine products. In addition, some estuaries with steel mills or shipyards, such as the Han, Sumjin, Taehwa, and Hyoungsan River estuaries, are polluted with hazardous organic substances and tributyltin. The geomorphological and biological diversity of estuaries in Korea are lower than others worldwide; in particular, the biodiversity indices of estuaries heavily disturbed by river-mouth barrage are below 10 endangered species present, and geomorphological diversity is so low that fewer than three geomorphological components among 19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se common environmental issues, other problems such as solid waste inputs from stormwater and damage from salt water intrusion also urgently require solution. However, no policy exists to manage these environmental problems, and definition of "estuary" and estuarine management concept are absent from the more than 50 environmental laws in Korea. The administrative division of environmental management in Korea between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for lands and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OMAF) for sea has complicated Korean estuarine management. This Fragmented management system has been an obstacle to developing comprehensive national strategies to control unnecessary development of estuaries and mechanisms to solve conflicts related to the multi-purpose uses of estuaries. The lack of a strong knowledge base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policies for estuary management are also fundamental obstacles to effective estuary management. Research to date has only focused on determining the present status of estuarine ecosystems; therefore there are insufficient data, such as physical aspects of estuarine circul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ecological functions, and structures of habitats in estuaries, for solving pending estuarine problems. We conducted more in-depth research in the Han, Youngsan, Sumjin, and Nakdong River estuaries, and provide indications on how to sustainably manage environmental problems in these areas. The Han River estuary has been well preserved because of political reason such as an establishment of demilitarized zone (DMZ), and we define the management objective of this estuary as "Preservation of the Unique Estuarine Ecosystem and Restoration of Abundant Natural Resources". The action goals of this management plan may include the designation of a wetland protection zone, environmental improvements to help the recovery of marine resources such as yellow puffer, and proper land-use management for sustainable estuarine uses. Specifically, to accomplish the above goals, five management strategies and 27 core projects are suggested. They include the designation and wise management of a Wetland Protection Area (inland wetland on the Han River, tidal flat on the south part of Ganghwa county); the implementation of a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to improve water quality; strict land-use regulations in sensitive areas such as riparian zones; the introduction of a development rights transfer system to compensate for stricter land-use regulations; and the implementation of an integrated estuary management program to strengthen the base of estuary management. The management objective for the Youngsan River estuary is defined as "Improvement of Youngsan Reservoir Water Quality and Restoration of Ecosystems and Culture", given the water quality problems and recent projects to recover endemic culture and associated historic sites in the area. Action goals for this objective include improving the water quality of the Youngsan Reservoir to better than level II, modifying the estuary barrage structure as a landmark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local identity, and reviving historical and cultural assets around the Youngsan River. To implement these goals, 28 core projects in five areas are suggested. The projects include modifying the estuary barrage structure to improve water quality and to provide for multi-purpose uses of the estuary, introducing a ’No Net Loss of Natural Shoreline" policy to establish a coastal eco-belt for tourism, designating Environmental Management Zones, and implementing land-use management. The Sumjin River estuary is one of the few natural estuaries remaining in Korea and has typical estuarine environmental problems, such as salt water intrusion to Corbicula habitat and variation in the range of salt water intrusion probably because of the excessive extraction of groundwater. The Sumjin River has been well preserved upstream; however, Gwangyang Bay near the downstream in the River is one of the most deteriorated coastal bodies of water in Korea. Considering thes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umjin River estuary, we suggest the management objective of "Maintaining Sound Estuary Circulation and Improving Ecosystem Health". Specific action goals include solving conflicts between stakeholders caused by increasing seawater intrusion, recovering specialized marine products such as Corbicula and sweetfish, and improving water quality in Gwangyang Bay for sustainable estuary use. We suggest 27 core projects based on five management strategies. Examples of core projects include modifying stream weirs to maintain and preserve the estuarine ecosystem, installing fish passages in weirs, redefining dry season streamwater flow, adjusting the amount of effluent water in the upstream dam, introducing a total pollution load management system in Gwangyang Bay, reconsidering development demands arising competitively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al agencies, reconsidering the validity of a reclamation plan as part of the environmentally-friendly development of a free economic zone, and developing an integrated estuary management modeling system for building an estuary management base. The Nakdong River estuary, which provides habitat for migratory birds and is a highly valuable natural environment, has many designated protection zones, and relatively large amount of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is system. However, since the free economic zone was designated around Busan, large-scale development projects have initiated high development pressure on the estuary. Therefore, preventative and integrated management strategies solving pending environmental problems and accepting a reasonable development pressure while preserving the estuarine eco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he management objective for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Creating an Estuary with Abundant Natural Resources and Promoting Harmony between Humans and Nature". To accomplish this objective, 26 projects have been outlined, such as the management of valuable ecosystems and habitats, comprehensive management considering human life and estuarine ecosystems, environmentally-friendly small-scale development and support for local residents, and implementation of a comprehensive estuary management scheme. The projects also include management of stream islands, the conversion of agricultural lands to wetlands, improvement of water quality in West Nakdong River, implementation of a land-use system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a land-use plan,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estuary maintenance plans, and implementation and operation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Program.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Ⅲ(Estuarine Wetland Loss and the Economic Value of Estuary) Abstract Despite intense debate concerning ecologically sound estuary management, strong foundations and progress in estuary management have been rare in Korea, probably because most people do not recognize the importance and ecological value of estuary function. Studies conducted in Korea and worldwide have shown the necessity of estuary conservation plans and management strategies. However, domestic Korean research on estuarine value is in the early phase. To effectively manage and conserve estuarine wetlands, this research has attempted to quantify estuarine wetland loss during the period from the 1910s to the present decade and to evaluate the environmental values of the representative estuaries. Different types of wetlands located in an estuary are considered important factors affecting the estuary ecosystem and its environmental value; however, analysis of topographic maps from the 1910s to the 2000s indicates that the diversity and amount of this wetland has decreased. The ratio of estuary wetland to entire estuary area was nearly 8.81% in the 1910s, but decreased to 7.96% in the 1970s and in the present decade is no more than 2.73%; most wetland loss has been caused by large-scale reclamation during the 1970s-1980s. The estuaries with relatively higher percentages of wetlands in the 2000s are the Gahwa(5.96%), Han(3.94%), and Tamjin(3.20%). The Sumjin and Youngsan estuaries have been developed intensively in the past few decades, with 0.71 and 1.00% wetlands remained in the 2000s, respectively. To promote environmental policies and management plan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economic value of estuarine wetlands. Here we first attempted to understand the factors affecting wetland value using a meta-regression analysis. Analysis of existing data showed that the wetland value per unit area is not greatly influenced by wetland function but valuation method. Moreover, there was a clos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wetland size and ecological valu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benefit-transfer method, which was used in the second year of the this study, is consistent for evaluating the economic value of estuarine environments in Korea. Although the value of the whole estuarine environment depends on estimation methods, the national economic environmental value of the Sumjin River estuary is 28.95 billion won per year, using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That of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51.34 billion won per year. Interestingly, most people who think that either the Sumjin or the Nakdong River estuary is valuable have not actually been there, indicating that estuary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s meaningful to the public in aspects of non-use values, such as existence itself or conservation for future generations. The estimated emergy (renewable emergy+nonrenewable emergy) of the estuary environments based on an emergy model is as follows; Han estuary, 5 trillion 260 billion Em; Youngsan estuary, 930 billion Em; and Sumjin estuary, 2 trillion 70 billion Em. To extract the relative importance of a wetland using comparative analysis of emergy per unit area (ha) of estuary, the environmental value of emergy represents the contribution to the region’s economy; that of the Han estuary is 11.85 million Em. and the Youngsan estuary is 5.97 million Em. The value for the Sumjin estuary is 17.63 million Em., i.e., higher than that of the other two estuaries. Therefore, based on this comparative analysis, the Sumjin estuary has the greatest conservation potential. Benefit transfer through meta-analysis, the contingent valuation method, emergy models, and other methods used in this study to quantify the environmental value of estuaries should be appli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goals, assumptions, and uncertainty of each method, as there are limits to the quantitative abilities of each method. However, more effective estuarine environment management and policies will be possible with increased knowledge of estuarine wetlands and environmental value.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Ⅲ(Estuary Management Plans and Programs) Abstract The Problems with managing estuaries include the following; the lack of definition or geographic boundary of estuaries, a lack of integrated management of terrestrial- and aquatic-estuarine ecosystems, inadequate management systems for dealing with complex tradeoffs between environmental quality and economic development, a superficial knowledge of estuary management, and not incorporating local opinion in estuary management systems to resolve existing issues. This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stuary policy to effectively overcome these problems. Estuaries are expected to be treated as management units, and the management strategies should be developed rationally in this study. Moreover,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should be improved by the conservation of estuarine ecological value. First, to embody a concep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we envision estuaries as bountiful residential zones, and the target of estuary policy will be an effective use of estuary resources. The development system based on local opinion and current estuary status can result in an ecologically healthy estuary. To achieve these goals, five major management strategies are suggested: estuary preservation, estuary enhancement, estuary restoration, fundamental knowledg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estuary management systems. An estuary conservation policy is proposed to raise the effectiveness of estuary ecosystem management through effective management plans for protected areas. This nationwid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consists of 13 factors: the additional delineation of protected areas near small- or medium- scale estuaries, the construction of a National Institute for Integrated Coast and Ocean Protected Areas to obtain the management goals, the adoption of new guidelines to maintain natural coastlines to protect estuary ecosystems through ’set-back’ systems, and the proposed zoning of a buffer area 500 or 1,000m from the coastline. In addition, to limit misuse of nearby rice paddies within estuaries, strict regulation and eco-friendly agricultural systems are encouraged both at the national and local levels. We also examined introduction of a Transferable Development Rights (TDR) in land purchase system. These systems do raise the effectiveness of estuary habitat management, especially can be used to rationally manage land use and land ownership around protected areas. The development of special management programs is proposed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by considering the type and degree of problem. Four socio-economic programs and 108 projects are included: in the Han estuary, an estuary ecosystem preservation and natural resources restoration program; in the Youngsan estuary, a water quality improvement and water circulation restoration program; in the Sumjin estuary, a program to protect estuary against salt water intrusion and to restore estuary resources; and in the Nakdong estuary, a utilization and development model program. Each program and each estuary is ssociated with different objectives, management targets, policy directions, action plans, and projects. A national policy for two aspects of estuarine restoration is proposed, i.e., the restoration of degraded estuarine wetlands and the restoration of estuary circulation interrupted by artificial constructions such as weirs, dams, and estuary dikes. Habitat restoration to create floodplains is required to comply with recent flood control policy changes. The restoration of water circulation in estuaries is proposed through the improvement of existing estuarine structures. Estuary facilities and operations should be modified to achieve various goals such as floodwater storage, water quality, ecological corridor, stream flow, and environmental education. In particular, management to restore water circulation in estuaries involves the removal of estuary dikes/weirs and changes to the operation of estuary facilities. Management improvements should proceed gradually and in steps, such as estuary facility function estimation, development of an estuary circulation restoration model project, and an estuary dike structure improvement project. In this study, we recommend the Sapgyo and Youngsan Reservoirs as targets for estuary dike structural improvement projects. Because of the various kinds of knowledge required to effectively manage estuaries, we propose a monitoring program and systematic support for estuarine research related to estuary management. Included in estuary-related studies are techniques for the cutting-edge implementation of wetland creation and restoration. Both the Ministry of Environment (MOE) and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MOMAF) should cooperate with estuarine investigations and research, detailed investigations of small- and medium-scale estuaries,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estuary monitoring systems, and the establishment of estuary research groups. To support systematic progress in estuary management, 10-year milestones should be developed for field-based surveys, research projects, and restoration techniques. To more effectively support estuary management, we propose an estuary management system integrating the management plans of the MOE and the MOMAF. The goal of this plan, the Estuary Management Master Plan, is to improve communication and coordination between central ministries and agencies, and to manage funds for estuarine research, surveys, and awareness programs. For this purpose, an estuary management committee will be organized at the local level to coordinate environmental conflicts and develop estuarine management plans. Also, the estuary management advisory committee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building estuary programs and policies, such as establishment and estimation of estuary management action plans for the control of complex problems, as well as estuary investigations, research, and public awareness on estuarine ecosystems. To systematically support estuary management and policy, the following four legislative options are compared and examined. The revision and update of an existing law, the establishment of an estuary management law, the establishment of an estuary restora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a ’○○ estuary management special law’ are described as four alternative ways to solve estuarine management problems. The enactment of an estuary restoration law is needed for the organization of an estuary restoration plan. Executive office at the national level, called ’an estuary restoration task force team’, should be created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mong stakeholders. A task force team for estuarine water circulation and another for wetland restoration should be organized. Continuous discussion between government agencies and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is desirable for the most effective determination of estuary management polic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서 언 <br>국문요약 <br> <br>제1장 서론 <br>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2. 연구범위 및 방법 <br> <br>제2장 우리나라 하구역 개황 <br> <br> 1. 대상 하구 개황 <br> <br>제3장 하구역 이용·개발 압력 <br> <br> 1. 한강 <br> 2. 영산강 <br> 3. 섬진강 <br> 4. 낙동강 <br> 5. 시사점 <br> <br>제4장 하구역 환경 현황 <br> <br> 1. 한강3 <br> 2. 영산강 <br> 3. 섬진강 <br> 4. 낙동강 <br> 5. 시사점 <br> <br>제5장 하구역 관리 현황 <br> <br> 1. 하구역 관리 현황3 <br> 2. 향후 대응방안 <br> <br>제6장 요약 및 결론 <br> <br>참고문헌 <br>Abstract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 1권(하구의 현황) 차례 <br> 제1장 서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2. 연구범위 및 방법 <br> 제2장 우리나라 하구역 개황 <br>1. 대상 하구 개황 <br> 제3장 하구역 이용·개발 압력 <br>1. 한강 <br>2. 영산강 <br>3. 섬진강 <br>4. 낙동강 <br>5. 시사점 <br> 제4장 하구역 환경 현황 <br>1. 한강 <br>2. 영산강 <br>3. 섬진강 <br>4. 낙동강 <br>5. 시사점 <br> <br>제5장 하구역 관리 현황 <br>1. 하구역 관리 현황 <br>2. 향후 대응방안 <br> 제6장 요약 및 결론 <br> 참고문헌 <br> Abstract <br> <br> <br>제 2권(하구의 가치) 차례 <br> 제1장 서론 <br>1. 연구배경 및 목적 <br>2. 연구범위 및 방법 <br> 제2장 하구습지 훼손실태 <br>1. 개요 <br>2. 하구습지의 관리현황 <br>3. 하구별 습지현황 및 변화분석 <br>가. 대상지역 <br>나. 하구습지 유형분류 <br>다. 연구 재료 <br>라. 연구 방법 <br>4. 하구별 습지변화 분석결과 <br>가. 하구역별 습지변화 <br>나. 한강하구의 습지 <br>다. 금강하구의 습지 <br>라. 영산강하구의 습지 <br>마. 탐진강하구의 습지 <br>바. 섬진강하구의 습지 <br>사. 가화천하구의 습지 <br>아. 낙동강하구의 습지 <br>5. 하구습지의 훼손방지 및 개선방안 <br>가. 습지훼손의 원인 <br>나. 하구습지의 보전을 위한 정책제언 <br> 제3장 습지가치의 요인분석 <br>1. 서론 <br>2. 습지의 가치 <br>가. 습지의 정의와 유형 <br>나. 습지의 생태적·경제적 가치 <br>3. 습지 가치추정 선행연구 <br>가. 자료의 수집 및 처리 <br>나. 자료의 특성 <br>4. 메타회귀분석 <br>가. 모델 개요 <br>나. 모델설정 <br>다. 변수선택 및 모델추정 <br>라. 추정결과 <br>5. 시사점 <br> 제4장 조건부 가치측정법에 의한 하구의 평가 <br>1. 연구의 목적, 필요성 및 내용 <br>2. 하구의 경제적 환경가치 <br>가. 경제적 의미의 가치 <br>나. 하구의 환경가치 추정을 위한 기본 경제이론 <br>3. 환경가치 추정 방법론 <br>가. 연구방법론의 선정 <br>나. 선정된 연구방법론의 개요 <br>다. 설문지 작성절차 <br>라. MAUT/CVM의 적용 <br>마. 표본설계 및 설문조사 <br>4. 섬진강 및 낙동강하구의 환경가치 평가 <br>가. WTP 추정모형 <br>나. 섬진강하구의 환경가치 추정 <br>다. 낙동강하구의 환경가치 추정 <br>라. 결과의 종합화 및 환경가치의 확장 <br>5. 시사점 <br> 제5장 하구역의 에머지 평가 <br>1. 에머지 개념 <br>2. 에머지 평가과정 <br>가. 에너지시스템 다이어그램 <br>나. 에머지 평가표 <br>다. 에머지 지수 <br>3. 하구역의 에머지 평가 <br>가 평가모델 <br>나. 하구역의 에머지 유입 특성 <br>다. 하구역의 에머지 지수 <br>라. 하구역의 Emvalue <br> 제6장 결론 <br> 참고문헌 <br> Abstract <br> <br> <br>제 3권(하구의 관리) 차례 <br> 제1장 서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범위 및 방법 <br> 제2장 하구현황 및 전망 <br>1. 하구현황 <br>2. 관리여건 및 전망 <br> 제3장 하구역 관리를 위한 비전 및 주요 정책 <br>1. 비전 및 정책방향 <br>2. 목표 및 추진전략 <br>3. 중점 추진과제 선정 <br> 제4장 주요 정책과제 <br>1. 보호구역 지정확대 및 연계관리 강화 <br>2. 하구별 환경현안 해결을 위한 특별프로그램 개발 <br>3. 하구 복원전략 수립 및 복원사업 추진 <br>4. 하구역 관리기반 강화를 위한 조사·연구 및 기술개발 <br>5. 통합성 확보를 위한 하구환경관리체제 구축 <br> 제5장 하구관리를 위한 법제 정비방안 <br>1. 목적 및 필요성 <br>2. 하구환경관리체계의 법적 성격 <br>3. 하구관리 관련 법제의 구조와 정비방안 <br>4. 하구관리를 위한 법제화 방안 검토 <br>5. 하구관리를 위한 법제화 방안 <br> 제6장 하구포럼 운영과 시사점 <br>1. 배경 및 목적 <br>2. 하구포럼의 구성 및 운영방법 <br>3. 하구포럼 운영의 시사점 <br> 제7장 요약 및 결론 <br> 참고문헌 <br>부록 <br>부록 1 하구역 관리를 위한 환경관련 법률의 검토 <br>부록 2 하구역 관리를 위한 해양·수산 분야 법률 검토 <br>부록 3 하구역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관련법의 검토 <br>부록 4 하구역 관리를 위한 토지관리 분야에서의 개정·보완 사항 <br>부록 5 하구역 관리를 위한 농업분야 법령의 개정·보완 <br>부록 6 하구역 지역포럼 운영 결과 <br>부록 7 미국 CALFED의 협동 거버넌스(Collaborative Governance) <br> 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21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Estuaries- Korea (Republic of) -
dc.title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Ⅲ-1) -
dc.title.alternative 하구의 현황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Development of Sustainable Estuary Management Strategy in Korea (III)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2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제 1권(하구의 현황) 국문 요약 본 보고서는 ‘지속가능한 하구역 관리방안’에 대한 연구내용 중 우리나라 주요 하구역의 환경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책을 다루고 있다. 하구현황에 대한 일반적인 현황분석은 지방 1급 규모 이상의 17개 하구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한강, 영산강, 섬진강 및 낙동강 등 4대강 하구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인 환경현안 및 관리실태 분석을 토대로 구체적인 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17개 주요 하구역의 인구밀도는 1,324명/㎢로 우리나라 평균 인구밀도의 2.8배에 이르며, 하구역의 인구증가율은 1977~2002년 5년 간 약 3.6% 증가하여 동 기간 전국평균증가율 2.8%를 상회하고 있어 하구역에 개발압력이 집중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제1·2차공유수면매립계획(1991~2011)에 의하면 주요 하구역의 매립 대상지구와 면적은 각각 전체매립의 22.6% 인 146개소, 42.8%인 427㎢을 차지하고 있으며 2011년까지 계획대로 매립이 진행될 경우, 2002년말 대비 습지면적의 30% 이상이 추가적으로 훼손될 전망이다. 17개 하구역에는 현재 77개의 산업 및 농공단지를 포함하여 30만개 이상의 사업체가 입지하고 있으며, 항만 물동량은 426,600RT로 전국 무역항 물동량의 46%를 차지하고 과거 10년간 물동량 증가율은 연평균 6.8%에 이른다. 이러한 집중적인 이용·개발로 인해 우리나라 대부분의 하구는 하구순환의 차단, 하구습지의 파괴, 생물다양성의 감소, 수질의 악화 및 자연자원의 감소라는 공통적인 환경문제에 노출되어 있음이 확인되었다. 대부분의 대규모 하구에는 하구둑이 건설되어 하구순환 및 생태통로가 단절되었고, 이렇게 형성된 하구호는 대부분 III등급 또는 등급 외의 낮은 수질을 보이고 있다. 금강, 만경강, 동진강의 수산물 안전기준을 초과하는 어패류의 중금속 오염, 제철소 및 조선소가 위치하는 한강, 섬진강, 태화강, 형산강에서 관측되는 유기독성물질, TBT로 인한 오염 문제가 야기되고 있다. 하구역의 지형 및 생물다양성은 여타 환경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하구둑이 건설되고 대규모 매립이 진행된 하구역의 생물다양성 지표는 10 이하로 낮고, 19개 지형요소 중 3개 이하의 지형요소만 관찰될 정도로 지형다양성도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통적인 환경문제와는 별도로 강우 시 비점형태로 유역에서 배출된 강우쓰레기 처리, 해수침투에 따른 염해(鹽害) 등과 같이 지역특성에 기인한 문제에 대한 대책도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러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구정책은 여전히 부재한 실정이다. 50여개의 법률에서‘하구’라는 용어에 대한 정의조차 부재할 정도로 공간단위의 관리개념이 형성되어 있지 못하고, 육상과 해양환경의 관리가 각각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로 이원화되어 육상-해양의 전이지역인 하구는 관리의 사각지대로 남아 있다.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해 지나친 하구 이용·개발을 제어할 수 있는 통합된 국가전략은 물론 다양한 하구의 이용과 관련된 환경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아직까지 개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하구와 관련된 갈등 해소를 위한 과학적인 기준 제시 및 투명한 하구정책의 개발을 지원할 수 있는 지식기반이 매우 취약한 것도 관리의 근본적인 문제 중 하나로 파악되었다. 지금까지의 조사·연구가 하구의 자연생태계 현황 파악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하구의 물리적 순환, 서식지 특성, 생태적 기능 및 구조에 대한 연구 등 하구현안 문제해결에 직접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조사·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한강, 영산강, 섬진강 및 낙동강 하구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인 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의 관점에서 하구환경관리의 문제점과 이에 따른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한강하구는 지정학적 이유로 잘 보전된 하구생태계의 훼손을 예방하고 자연하구가 주는 혜택을 누리자는 관점에서‘고유한 하구생태계 보전 및 풍부한 자연자원의 회복’이라는 관리목적을 설정하고 실천목표로서 습지보호지역의 관리 강화, 황복 등 수산자원 회복을 위한 환경개선, 지속가능한 하구이용을 위한 토지이용관리 등을 제시하였다. 또한 이를 달성하기 위해 5개의 추진전략과 27개의 중점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는데 대표적인 내용으로서 하구생태계 보전을 위한 습지(한강하구, 강화남단)보호지역 지정 및 관리강화, 하구오염종합관리를 위한 수질오염총량제의 시행(잠실수중보 하류), 토지이용의 계획적 관리를 위한 하천 제외지에 대한 환경관리권역 설정 및 이에 따른 용도구역 지정, 지역수익모델의 하나로 토지이용 규제에 따른 개발권양도제의 도입, 하구관리기반의 강화를 위한 통합관리체제의 구축 등이 포함된다. 영산강 하구의 관리방안으로는 가장 큰 현안 중 하나인 영산강 하구호의 수질 문제와 최근 이슈화 되는 고대문화권복원사업을 고려하여 관리목적을‘영산강 하구호의 수질개선 및 생태·문화 복원’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관리목표로서 수질환경기준 II등급 수준으로의 하구호 수질개선, 지속발전의 랜드마크 또는 지역의 대표적인 브랜드화를 위한 하구둑 구조개선, 영산강 하구의 역사·문화 복원을 제시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한 5개 부문의 28개 중점 추진과제를 제안하였다. 대표적인 추진과제를 보면 다양한 하구호 이용지원을 위한 수질개선 목적의 하구둑 구조개선, 연안해양의 관광생태벨트 조성을 위한 자연해안선총량제 도입, 하구생태계 복원을 위한 하구 배후습지 복원, 계획적 토지이용을 통한 환경성 제고방안으로서 환경관리권역 설정 및 이에 따른 토지이용 관리, 지역발전을 이끄는 문화권 정비의 일환으로 하구둑 구조개선 등이 그 예이다. 섬진강 하구는 자연하구로서 해수의 육상 침투에 따른 재첩채취에 대한 영향, 상류 하천수 취수에 따른 해수침투 범위의 변화 및 지하수 염해 등의 전형적인 하구환경문제가 제기되는 지역이다. 또한 하천구간은 환경이 가장 잘 보전된데 반해 광양만은 환경훼손이 가장 심한 해역의 하나로 지리적 위치에 따라 환경문제가 극명하게 대비되어 나타나고 있다. 이런 특성을 고려하여 섬진강 하구의 관리목적은‘건강한 하구순환 유지 및 생태건강성 개선’으로 설정하였으며 구체적인 목표로서 해수침투범위 확장에 따른 이해당사자 간의 갈등 해결, 재첩, 은어 등의 특화된 하구수산자원의 회복 및 지속가능한 하구이용을 위한 광양만 수질개선을 제시하였다. 5개 부문의 27개 중점 추진전략을 제시하였는데 자연하구 생태계 유지·보전을 위한 하천 보 구조개선 및 어도 설치, 하구환경 개선을 위한 하천 유지유량 재산정, 상류댐 방류량 조정 및 광양만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 부처간 또는 지자체간 경쟁적으로 추진되는 개발수요의 재검토를 통한 이용·개발의 합리적 조정, 경제자유구역 등의 친환경적 개발의 일환으로 미진행 공유수면매립계획의 타당성 재고, 하구관리기반 구축의 하나로 통합적 하구관리모델링 시스템 개발 등이 대표적인 예이다. 낙동강 하구는 철새도래지로서 뿐만 아니라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보존가치가 높은 곳이며, 이 때문에 다른 하구에 비해 많은 지역이 보전·보호구역으로 지정되었고, 상대적으로 하구에 대한 활발한 조사·연구가 수행되었다. 반면 경제자유구역 지정에 따른 대규모 지역개발 등에 의해 환경에 대한 압력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에 하구생태계의 보전과 더불어 다양한 개발압력을 합리적으로 수용함으로써 환경과 관련된 현안을 해결할 수 있는 예방적이고 통합적인 관리방안의 수립이 절실히 요구되는 하구이기도 하다. 따라서 하구관리의 목적을‘인간과 자연이 공존하는 천혜의 하구환경 조성’으로 제시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보존 가치가 높은 생태계 및 서식지 관리, 생태계와 생활권을 고려한 종합관리, 환경친화적인 지역발전 및 주민지원, 통합적 하구관리체제 구축 등의 정책분야별로 26개 추진사업을 제시하였다. 여기에는 하중도 관리 및 농경지의 습지복원, 서낙동강 수질개선사업, 토지이용계획 수립을 통한 친환경적 토지이용체계 구축, 하구관련 정비계획의 통합적 운영, 낙동강 하구프로그램의 구축 및 운영 등과 같은 사업이 포함된다. 제 2권(하구의 가치) 국문 요약 하구환경에 대한 수많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하구정책이 부재한 근본적인 원인의 하나로 하구환경의 가치에 대한 인식부족이 꾸준히 지적되어 왔다. 최근 하구환경 가치에 대한 외국의 연구결과가 알려지면서 이용과 개발의 대상으로만 여겨져 왔던 하구의 보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나 국내의 하구가치에 대한 연구는 아직까지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인식전환을 구체적인 하구정책에 반영시키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압축적인 성장과정에서 훼손된 국내의 하구습지 변동추이를 파악하고 현존하는 하구환경의 가치를 추정하였다. 하구생태계 및 환경가치를 결정하는 주요 요소의 하나인 하구습지는 지난 1910년부터 2000년대까지의 지형 변화를 분석한 결과 그 면적이 크게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이 되었던 한강, 금강, 영산강, 탐진강, 섬진강, 가화천 및 낙동강 하구습지의 변화를 보면 1910년대에 하구역 전체의 약 8.81%를 차지하였으나, 1970년대에는 7.96%, 그리고 1970년대 이후의 대규모 매립·간척사업으로 인해 2000년대에 이르러서는 2.73%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0년대 현재 전체 하구역 면적 대비 하구습지의 비율은 가화천(5.96%), 한강(3.94%), 탐진강(3.20%)은 상대적으로 높으나, 섬진강(0.71%) 및 영산강(1.00%) 하구에서는 매우 낮아 그동안 이들 하구에 집중적인 개발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하구습지에 대한 적극적인 보전정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하구습지의 가치 추정이 요구되며 본 연구에서는 우선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어떤 인자들이 습지가치에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였다. 기존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의 경우 습지기능보다는 어떤 가치추정기법을 사용했는지가 단위면적당 습지가치 추정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으며, 습지면적과 습지가치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혀냈다. 이 결과는 메타분석 및 편익이전을 통해 하구습지의 가치를 정량적으로 추정한 2차년도 연구결과의 활용 가능성이 긍정적임을 시사한다. 하구환경 전체에 대한 가치는 추정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으나 조건부 가치추정법을 통해 추정한 섬진강하구의 경제적 환경가치는 전국적으로 289.5억원/년 이며, 낙동강하구의 경우는 513.4억원/년으로 나타났다. 특징적인 사항 중의 하나는 섬진강하구나 낙동강하구에 가치가 있다고 생각하는 대부분의 응답자들이 실제 하구를 방문해 본 경험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는 사실이다. 이는 하구를 꼭 직접적으로 이용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하구의 존재 자체나 미래 세대를 위한 보존 등을 고려한 비사용가치의 측면에서 하구의 보존 및 관리가 일반인들에게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음을 반영한 것이다. 에머지모델을 이용해 추정한 평가대상 하구역의 자연환경이 하구역의 경제활동에 연간 제공하는 에머지(재생가능에머지+재생불가능에머지)는 한강하구역이 5조 2600억 Em, 영산강하구역이 9300억 Em, 섬진강하구역이 2조 700억 Em으로 나타났다. 이를 단위면적당(ha)으로 나타내면, 한강하구역의 자연환경이 지역의 경제에 기여하는 가치는 1185만 Em, 영산강하구역은 597만 Em, 섬진강하구역은 1763만 Em으로 섬진강하구역이 가장 높았다. 이와 같은 기여가치로 볼 때 현재 환경여건과 경제구조에서는 섬진강하구역이 우리나라 전체 경제에 기여하는 잠재력이 가장 높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하구환경가치 추정을 위해 본 연구에서 사용된 메타분석을 통한 편익이전, 조건부 가치추정법, 에머지 모델 등은 근본적으로 대상, 범위 및 불확실성 등이 모두 다르기 때문에 각 방법을 통해 얻어진 정량적 수치는 직접적인 비교가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된 자료와 더불어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하구습지 및 하구환경의 가치에 대한 자료가 지속적으로 축적된다면 향후 하구정책을 수립하고 추진하는데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제 3권(하구의 관리) 국문 요약 하구 환경관리의 문제점으로서 하구라는 공간단위의 관리개념의 부재, 육상-해양으로 분화된 관리체제로 인한 통합성 결여, 환경보전과 개발 간 갈등에 대한 조정체계 미비, 하구관리를 위한 지식기반의 취약, 현안 해결을 위한 지역기반의 하구관리체제 부재 등이 드러났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극복함으로써 합리적인 하구 이용·개발을 유도함과 동시에 하구의 생태적 가치를 보전하며 지역주민의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통합적 관점에서의 하구정책을 개발하는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우선 지속가능한 하구역관리라는 개념을 구현하고자 ‘다양함과 생명력이 넘치는 풍요로운 삶의 터전으로서의 하구 조성’이라는 비전을 제시하고 쾌적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하구조성 및 사회적 합의에 기초한 하구 이용·개발체계 구축을 하구정책의 목표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하구생태계 보호, 하구환경 개선, 하구환경 복원, 지식기반 확충, 및 하구관리체제 구축 등 5개 전략부문별로 주요 정책추진 과제를 제시하였다. 하구생태계 보호정책은 하구보호구역 확대 및 기존 보호구역 관리효율화를 통한 하구생태계 관리의 실효성 제고라는 방향으로 추진하는 것으로 13개 과제가 제안되었다. 여기에는 중소규모 하구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를 통해 추가적인 보호구역 지정, 관리의 실효성 확보를 위한 ‘국가연안·해양보호구역통합기구’의 구축, 토지이용관리를 통해 하구생태계 보호를 담보할 수 있는‘자연해안선순손실방제도’,‘해안선용도지정제도’ 등의 전향적 제도 도입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보호지역 지정의 실효성을 담보하기 위해 주변농지의 전용 억제, 환경친화적 농업장려, 용적이전방식의 개발권양도제의 도입 검토 등 보호지역 주변의 합리적인 토지이용규제의 강화전략이 제시되어있다. 하구환경 개선정책은 자연 및 사회·경제적인 여건에 따라 하구별로 직면하고 있는 환경문제의 종류 및 정도가 크게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여 하구현안문제 해결을 위한 하구별 특별관리프로그램의 구축을 제안하였다. 여기에는 ‘한강하구 생태계보전 및 자연자원복원 프로그램’, ‘영산호 수질개선 및 하구순환복원 프로그램’, ‘섬진강하구 염해방지 및 자연자원복원 프로그램’ 및 ‘생태적으로 건강한 낙동강하구 이용·개발 시범프로그램’ 4개 프로그램에 총 108개 추진사업이 포함되어 있다. 물론 하구별로 하구프로그램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적, 관리목표, 정책방향, 추진전략 및 정책사업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하구복원정책은 훼손된 하구습지의 복원, 즉 서식지 복원과 하구둑 등 인공구조물로 인해 차단된 하구순환을 복원하는 두 방향으로 추진할 것으로 제안하였다. 하구서식지의 복원은 최근의 치수정책 변화와 연동하여 홍수터 조성 및 범람원 농지의 습지전용 방향으로, 하구순환 복원은 치수, 수질개선, 생태통로 확보, 용수확보 및 뱃길복원 등의 다양한 목적이 동시에 달성될 수 있도록 기존에 설치된 하구시설물의 구조 및 운영개선을 통해 추진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특히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하여 하구둑의 해체 및 구조개선을 포함한 전향적 하구순환복원정책은 하구시설물 기능평가, 하구순환복원 시범사업 개발, 대형 하구둑 구조개선 사업 시행 등 단계적으로 추진하되, 우선적인 하구둑 구조개선사업의 대상으로는 삽교호, 영산호 등을 제안하였다. 지식기반의 확충정책은 과학적인 하구관리기반 강화를 위한 하구조사·연구의 체계적 지원을 목표로 하여 환경부-해수부 공동조사연구지침개발, 중소규모 하구에 대한 정밀조사, 하구측정망 구축 및 운영, 하구역공동조사단 설치·운영 및 하구복원 등 새로운 정책수요를 지원할 수 있는 복원기법 및 기술개발 등의 사업을 제안하였다. 또한, 조사·연구의 체계적 추진을 지원하기 위해 기초조사·연구사업 및 기술개발사업 등의 분야별로 2015년까지의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실질적 하구관리를 지원하기 위한 통합적 하구환경관리체제 구축(안)을 제시하였다. 중앙부처 차원의 정책조율, 하구사업을 위한 통합재원의 조성 및 하구관리의 통합성 확보를 위한 하구관리기본계획(가칭)’의 수립을 위해 국무조정실 내에 ‘하구관리위원회(가칭)’를 설치하고 이와 병행하여 하구별로 하구프로그램을 구축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경우 하구프로그램은 주요 하구별로 ‘하구관리시행계획(가칭)’의 수립 및 평가, 하구현안과 관련된 갈등의 조정, 현안 해결을 위한 하구조사/연구/홍보 등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구정책을 제도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기존 법제의 개정·보완, 독립통합법인 ‘하구관리법(가칭)’의 제정, 하구복원을 위한 ‘하구복원법(가칭)’ 제정 및 그 외의 문제는 기존 법제의 개정·보완, 및 현안문제 해결이 급박한 하구별로 ‘○○하구관리특별법(가칭)’ 제정하는 등의 4개의 법제화 방안을 비교·검토하였다. 검토결과 기존 법에서 다루고 있지 않으며, 범정부적인 추진체계가 필요하며, 막대한 재원의 조성이 요구되는 하구복원사업의 추진을 위해서는 ’하구복원법(가칭)’을 제정하고, 그 외의 사항들은 기존의 관련 법률의 개정·보완을 통해 해결하는 방안이 다소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구체적인 법제화 방안은 국무조정실 내에 ‘하구복원기획단(가칭)’을 설치하고 여기에 환경개선TF(하구제도개선팀, 하구특별프로그램팀)과 하구복원TF(하구습지복원팀, 하구순환복원팀)을 두어 정부 차원의 지속적인 논의와 의견수렴을 거친 후에 확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Rho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Paik Ho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