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한 물질관리를 위한 자원순환정책 방안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김광임 -
dc.contributor.other 최진석 -
dc.contributor.other 임현곤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6Z -
dc.date.issued 200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RE-06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45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2006-06S Reforming Resource Circulation Policy for Sustainable Material Management .pdf -
dc.description.abstract Reforming Resource Circulation Policy for Sustainable Material Management The amount of waste has increased as people consume more goods in growing economy. Increase of waste contaminated environment. In order to solve environmental problems caused by increase of waste, policies regarding recycling and reducing waste have been developed and implemented. Even though these recycling policies achieved great success, the quantity of waste is still rising. Thus, the paradigm shift in waste policies has been discussed to reduce waste generation among OECD countries. The direction of paradigm shift is resource saving and material circulation. Since recycling rate of waste in Korea is already high, it would be difficult to increase recycling rate further under current waste management policy scheme. Also, low quality recycling rather than high quality recycling for construction waste is prevalent. Resource productivity of direct material input (GDP/DMI) is 1,000 thousand won/ton in 2000. This is lower than that of average EU countries (1,242 thousand won/ton) and is 1/3 of that of Japan (2,937thousand won/ton). This implies that consumption of material is large compared to economic production which is shown as GDP. Considering such trend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resource productivity by promoting material circulation and by saving resource and material input for the shortage of resourc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aradigm of waste management contrary to current recycling policies in order to increase value of waste as resource and circulation of resource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evaluate current waste recycling policies in terms of material management and to reform resource circulation policy for sustainable material management. Based on the evaluation of recycling policies in terms of material circulation found from this research, policy remedies are suggested as follows. 1) Reform of Waste Management Policies First of all, circulation of plastic packaging material need to be increased. The use of plastics among packaging materials is rapidly replacing recyclable packaging materials such as glass and metal. Such a trend is expected to be accelerated further. Thus, the policies to promote recovery of plastic materials are necessary. Secondly, target recycling rate for certain waste material should be set based on types of materials and recycling methods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s, recycling technology and environmental impacts. Material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so applicable recycling methods are different. Thus, more elaborated recycling targets for different material can enhance the value of waste resources and recovered materials. For example, recycling target for packaging waste under the EPR is set as total quantity without differentiating recycling methods, such as recovery of raw material or energy. Thirdly, life cycle of packaging materials should be analyzed to reduce the amount of waste. Through life cycle analysis of raw material input, production, consumption, disposal and circulation process, the detailed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on the step where we can reduce material consumption and increase material circulation. Fourthly, policy to promote circulation of disposable goods (containers and plates) should be strengthened. Plastic Material of disposable goods is replaced with paper material under the regulation to prevent pollution of landfill or incineration of plastics. However, circulation of waste disposable goods is little known. Thus, separate disposal and recycling status of waste disposable goods (containers) after use should be investigated and recycling policies should be established. Fifthly, recycling rate and method of construction and demolition (C&D) waste should be redefined. Recycling method of C&D waste includes use of C&D waste as cover soil of landfill site, which occupies 90 percent of C&D waste recycling currently. Recycling targets have to be set for various recycling methods in order to increase high quality recycling rather than low quality recycling of C&D waste such as cover soil. For last, policy to encourage material replacement for home electronics should be strengthened. Material saving and circulation is ought to be achieved through the change of material and structure in home electronics. 2) Policy for Consumption Pattern Change First of all, environment friendly products consumption policy should be redirected from promoting purchase of products to increase circulation of resources and to reduce material consumption. Secondly,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 friendly consumption policy and resource recycling policy should be evaluated. In other words, the policy to promote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of environment friendly goods is related to recycling policy in terms of resource circulation and material circulation. The relationship need to be evaluated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to avoid contradiction of the policies. Also, a policy to change consumption pattern of consumers needs to be developed and implemented. 3) Policy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Pattern of material consumption should be examined to strengthen policy for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ectors. Change of material type and structure, design of products should be promoted since it is effective to save and recycle resources. Participation of distribution businesses into resource circulation precess should be encouraged, since they are gradually taking important portion in the economy. Consequently, paradigm of resource circulation policy should be shifted from waste circulation after disposal to the direction of material circulation. These concept should be reflected in not only environmental policy but also non-environmental policy such as construction and industrial policie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연구 범위 <br> 나. 연구 방법 <br> 다. 용어 정의 <br> 3. 선행 연구 동향 <br> 가. 국내 연구 동향 <br> 나. 외국 연구 동향 <br> <br>제2장 자원순환정책의 현황과 특징 <br> <br> 1. 포장폐기물 순환정책 <br> 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br> 나. 폐기물예치금제도 <br> 다. 폐기물부담금제도 <br> 라. 포장재질과 포장방법 규제 <br> 마. 1회용품정책 <br> 바. 포장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 2. 가전폐기물 순환정책 <br> 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br> 나. 재질과 구조개선 <br> 다. 가전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 3. 건설폐기물 순환정책 <br> 가. 건설폐기물의 정의 <br> 나. 재활용 의무 <br> 다. 순환골재 사용의무 <br> 라. 건설폐기물 순환을 위한 부서별 역할 분담 <br> 마. 건설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 4. 친환경상품 생산 및 소비 정책 <br> 가. 친환경상품 인증제도 <br> 나. 친환경상품 우선구매제도 <br> 5. 자원순환정책의 종합 평가 <br> <br>제3장 자원순환정책의 물질순환 효과 <br> <br> 1. 포장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 가. 재활용 효과 <br> 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 2. 가전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 가. 재활용 효과 <br> 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 3. 건설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 가. 재활용 효과 <br> 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 4. 친환경상품정책의 효과 <br> 가. 친환경상품 인증 확대 <br> 나. 친환경상품 시장 확대 <br> 다. 소비 증가 <br> 5. 자원순환정책 효과 분석의 시사점 <br> 가. 재활용 <br> 나. 생산패턴 <br> 다. 친환경상품 소비0 <br> <br>제4장 물질관리 강화를 위한 자원순환정책 방안101 <br> <br> 1. 폐기물부문 정책 개선 방안 <br> 가. 포장재질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가. 연구 범위 <br>나. 연구 방법 <br>다. 용어 정의 <br>3. 선행 연구 동향 <br>가. 국내 연구 동향 <br>나. 외국 연구 동향 <br> 제2장 자원순환정책의 현황과 특징 <br>1. 포장폐기물 순환정책 <br>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br>나. 폐기물예치금제도 <br>다. 폐기물부담금제도 <br>라. 포장재질과 포장방법 규제 <br>마. 1회용품정책 <br>바. 포장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2. 가전폐기물 순환정책 <br>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 <br>나. 재질과 구조개선 <br>다. 가전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3. 건설폐기물 순환정책 <br>가. 건설폐기물의 정의 <br>나. 재활용 의무 <br>다. 순환골재 사용의무 <br>라. 건설폐기물 순환을 위한 부서별 역할 분담 <br>마. 건설폐기물 순환정책의 물질흐름 개입 단계 <br>4. 친환경상품 생산 및 소비 정책 <br>가. 친환경상품 인증제도 <br>나. 친환경상품 우선구매제도 <br>5. 자원순환정책의 종합 평가 <br> 제3장 자원순환정책의 물질순환 효과 <br>1. 포장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가. 재활용 효과 <br>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2. 가전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가. 재활용 효과 <br>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3. 건설폐기물 순환정책의 효과 <br>가. 재활용 효과 <br>나. 생산패턴 변화효과 <br>4. 친환경상품정책의 효과 <br>가. 친환경상품 인증 확대 <br>나. 친환경상품 시장 확대 <br>다. 소비 증가 <br>5. 자원순환정책 효과 분석의 시사점 <br>가. 재활용 <br>나. 생산패턴 <br>다. 친환경상품 소비 <br> 제4장 물질관리 강화를 위한 자원순환정책 방안 <br>1. 폐기물부문 정책 개선 방안 <br>가. 포장재질의 대체에 대한 대책 마련 <br>나. 재활용 목표 설정 시 용도별 목표율 설정 <br>다. 포장 물질의 라이프사이클 흐름 분석 <br>라. 1회용품 재질 대체와 분리 배출·재활용 유도 <br>마. 건설폐기물 순환 방법과 순환율 재정의 <br>바. 가전제품의 재질개선 강화 <br>2. 소비단계의 정책 강화 <br>가. 친환경제품 소비정책의 방향성 제고 <br>나. 친환경제품 소비정책과 자원순환정책과의 연계성 평가 <br>다. 소비패턴 변화 정책 도입 <br>3. 생산 및 유통단계의 정책 강화 <br>가. 물질사용 패턴 파악 <br>나. 제품의 설계, 재질과 구조, 디자인 변화 유도 <br>다. 유통업계의 참여 강화 <br> 제5장 요약 및 결론 <br> 참고문헌 <br> 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dc.format.extent 12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Recycling (Waste -
dc.subject etc.)- Korea (Republic of) -
dc.title 지속가능한 물질관리를 위한 자원순환정책 방안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Reforming Resource Circulation Policy for Sustainable Material Management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6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소득 수준이 증가하면서 소비가 늘고 폐기물 발생량 또한 자연스럽게 증가하였다. 폐기물 발생량 증가로 인한 환경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폐기물 재활용정책이 도입되었지만 폐기물 발생량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폐기물을 줄이기 위해서는 자원절약 및 물질순환을 유도할 수 있는 방향으로 재활용정책을 전환해야 한다는 논의가 OECD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OECD나 유럽연합에서는 폐기물의 재활용뿐만 아니라 폐기물을 물질순환의 틀 속에서 관리하는 정책을 수립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국내 폐기물의 재활용 현황을 보면 생활폐기물은 2004년 현재 49.2%, 사업장폐기물은 69.7%, 건설폐기물은 90.7%로 높은 수준으로 매우 높지만, 재활용률 수치가 갖는 한계점도 있다. 첫째 폐기물 재활용률은 이미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현재의 폐기물관리나 재활용정책만으로는 재활용률을 더 이상 높이기 어렵다. 둘째 건설폐기물은 재생골재와 같이 양질의 재활용은 매우 적고 매립지 복토재 등 부가가치가 낮은 용도로 재활용되는 비중이 높아서 실질적으로 자원으로 회수되는 효과는 적다. 셋째 우리나라의 직접물질투입 대비 자원생산성(GDP/DMI)은 2000년에 1,000천 원/톤으로 EU15개국 평균 1,242천 원/톤에 비해 낮으며, 일본의 2,937천 원/톤에 비해서는 1/3수준에 불과하다. 즉, 외국과 비교하였을 때 물질 사용량 대비 생산성이 낮은데 이는 생산액에 비해 물질 사용량이 많음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여건을 감안하면 경제성장과 함께 자원 부족을 대비하여 자원의 투입을 줄이고 물질순환을 유도하여 자원생산성의 향상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따라서 폐기물의 자원으로서 갖는 가치를 높이고 자원의 순환적 이용을 국가 전체적으로 높이기 위해서는 지금까지의 자원순환정책과는 다른 자원순환정책의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물질관리의 시각에서 자원순환정책을 평가하고 자원절약과 물질순환을 강화할 수 있도록 자원순환정책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1) 자원순환정책의 특징 첫째, 자원순환정책이 개입하는 물질의 라이프사이클 단계를 생산단계(공정이나 원료 이용), 유통단계, 소비단계, 폐기단계로 구분해 보면 포장폐기물 EPR, 가전폐기물 EPR, 건설폐기물 재활용목표 설정 제도는 물질의 폐기단계에 개입하고 있다. 둘째, 포장폐기물 순환정책 중 원료이용단계에 개입하는 정책으로서 재활용지정사업자제도는 종이, 유리, 금속캔의 대규모 생산자에게 이들 폐물질을 원료로 사용해야 하는 목표율을 정하고 달성할 의무를 부여한다. 대상물질은 종이, 유리, 금속캔 등 유가성이 높은 자원에 두고 있으며 합성수지 등 유가성이 낮거나 최근에 사용이 증가하는 품목은 포함하지 않고 있다. 셋째, 자원화정책은 주로 폐자원의 재활용이나 재이용 촉진 등에 두고 있으며 자원화 된 제품의 수요 촉진이나 폐기물이 회수된 이후 투입되는 과정에 대한 정책은 부족하다. 넷째, 생산이나 소비패턴을 변화시키기 위한 정책이 부족하다. 다섯째, 폐기물이 회수되는 총량은 파악되지만 폐자원이 재활용되는 과정에서 물질흐름의 어느 단계로 회수되는지는(동일한 생산원료로 투입, 다른 제품의 원료로 투입, 에너지회수 등) 파악되지 않고 있다. 2) 자원순환정책의 물질순환 효과 자원순환정책의 효과를 재활용, 생산패턴변화, 소비패턴변화의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첫째 자원순환정책의 재활용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금속캔의 재활용률은 1992년 8.8%에서 1998년 68.3%로 상승하였으나, 2004년에 44.2%로 1998년에 비하여 하락하였다. 유리병의 재활용률은 1992년 42.8%에서 1997년 67.8%, 2004년 71.6%로 상승하였다. 종이류의 재활용률은 1991년 43.0%에서 2004년 69.4%로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종이팩의 재활용률은 1998년 8.7%에서 2004년 27.4%로 증가하였으나, 다른 포장재 품목에 비해서는 상당히 낮은 재활용률을 보이고 있다. PET병의 재활용률은 1996년 22.4%에서 2004년 71.3%로 상승하였으나, 플라스틱은 내수량 대비 재활용률(생활폐기물 폐플라스틱의 재활용량을 대상으로 함)이 2004년 현재 11.0%로 낮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률은 1996년 58.3%에서 2004년 90.7%로 크게 증가하였다. 가전폐기물에 대해 EPR 정책 도입으로 폐가전제품의 회수량과 재활용량이 크게 증가하였고, 특히 생산자인 전자업체에 의한 회수량이 크게 증가했다. 포장폐기물 순환정책의 재활용 효과를 보면 실효성이 있었던 것으로 분석되지만, 그 효과가 앞으로 지속적으로 유지되기 힘들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종이팩이나 플라스틱의 경우에서처럼 재활용률이 저조하여 이에 대한 대책 마련도 시급하다. 건설폐기물의 재활용 용도가 주로 부가가치가 낮은 성토용이나 복토용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실질적으로는 자원회수 효과가 낮다. 둘째 생산패턴 변화 효과를 보면 금속캔의 경우 폐기물예치금제도 시행으로 뚜껑분리형의 생산량은 감소하고, 재활용 효과가 큰 뚜껑부착형의 생산이 증가하여 생산 구조가 전환되었다. 또한 금속캔, 유리병 등 원물질로의 회수율이 높았던 용기류 사용량은 감소하는 추세이며 운반이 편리하고 디자인이 용이한 PET나 플라스틱용기 사용량은 매년 증가하고 있다. 가전제품의 재질과 구조개선 정책에 대한 효과는 그 실효성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합성수지 용기의 재활용 패턴을 보면 생산과정의 원료 물질로 재활용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물질 회수보다는 에너지로 회수되는 양이 많아서 이 같은 물질회수 패턴의 변화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포장재질과 관련하여 포장용 완충재 감량화정책 시행 이후 발포스티렌의 사용량은 감소하고 골판지의 사용량은 증가하여 재질 대체 측면에서 실효성을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친환경상품 소비 효과를 보면 환경마크제도, 재활용마크제도,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제도는 친환경상품의 인증대상 품목을 확대하고 인증업체 및 인증제품수를 증가시키고 친환경상품의 시장규모를 성장시키는 효과를 가져왔다. 또한 공공기관 친환경상품 의무구매제도의 영향으로 공공기관의 친환경상품 소비가 증가하고 있으며, 산업계에서는 녹색구매 자발적 협약 등을 통해 친환경상품의 소비가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친환경상품의 소비는 사무용품에 치중되어 있으며, 내구성이 있는 친환경상품 소비는 부족한 상황이다. 3) 자원순환정책 방안 물질의 라이프사이클을 생산, 유통, 소비, 폐기 단계로 구분할 때 기존의 자원순환정책이 폐기단계의 정책에 중점을 두고 있는데, 앞으로는 생산단계나 폐기 이전의 단계에서 자원순환을 촉진할 수 있는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즉 제품의 폐기 이전에 폐기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정책 효과를 높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폐기물부문의 자원순환정책 변화뿐만 아니라 생산 및 소비부문 정책의 변화도 필수적이다. 부문별 정책방안을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폐기물부문 정책 개선방안은 포장재질이 유가성 물질에서 합성수지류로 바뀌는 추세에 따른 대책 강화, 용도별 재활용목표 설정, 포장 물질의 라이프사이클 흐름 분석, 1회용품 재활용 강화, 건설폐기물 순환율 재정의, 가전제품의 재질과 구조개선 의무 강화 등이다. 둘째, 소비단계의 정책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친환경제품 소비정책의 방향성 제고, 친환경 소비정책과 자원순환정책과의 연계성 강화, 소비자의 소비패턴 변화를 유도하는 정책이 도입되어야 한다. 셋째, 생산 및 유통단계의 정책으로서 제품의 설계와 재질구조 변화, 제품의 내구 연한이나 수리기간 연장, 물질사용 패턴 파악, 유통업계의 참여를 유도하는 정책이 강화되어야 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Kwang-Yi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