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정책의 고용 영향 분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황욱 -
dc.contributor.other 황석준 -
dc.contributor.other 조장율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6Z -
dc.date.issued 200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RE-0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4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07_Job_Creation_and_Environment_policy_황욱.pdf -
dc.description.abstract Chapter 1. Introduction 1. Introduction Because the Korean economy is in recession, the Korean government is in a dilemma between improving the environmental quality and developing the economy. But, in 2004, Hwang and Kang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demand and environmental policy and showed that there is at least no trade-off between economic development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Two years later, we had the opportunity to collect more data, and we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olicy and job creation in more depth. In this study, we classify environmental policies into three big categories: first, a policy that can affect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cond, public expenditure for natural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ird, the effect of renewable energy industry on job creation. And we try to analyse the effect of these policies on job creation. 2. Literature Review Even though a regulation raises the production cost, it provides strong incentives for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sometimes it enhances labor demand in that sector. Two OECD reports suggest that the effect of policies on employment will be small but having potential for greater effects. Some papers also support that at least environmental policies do not have serious negative effects on the labor market. Chapter 2. Job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in Korea 1. Environment-related Jobs in the Overall Industry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KEIS) has annually published the Occupational Employment Statistics(OES) since 2001. The occupa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environment in the OES are categorized as environmental engineers, environment/health hygiene workers, operator of environmental facilities, managers, and cleaners. 2.4 percent of total workers in OES had environment-related jobs in 2003. Among them, high-skilled workers are about 10 percent and the remaining 90 percent are low-skilled labor. This indicates that the majority of workers in the environment-related labor market are low-skilled labor. Using this categorization, the distribution of low-skilled and high-skilled workers in each sector is shown below Table 1. Table 1. Distribution of Worker Skill by Category (2003) This suggests that if the government focuses on the improvement in environment-related labor structure, then it had better spend its money on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or industrial restructuring for an environment-friendly industry structure. 2. Job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The statistics about environmental industry is collect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Korea. In 2004, 15 percent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is engaged in the manufacturing sector, 5 percent in construction, and the remaining 80 percent of the companies are in the service sector. Total sales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in 2004 was 21,428 billion won. Forty percent of total sales came from the manufacturing sector, 17 percent from construction, and 43 percent from the service sector. The distribution of workers is provided in Table 2; Table 2. Worker Distribution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Chapter 3. Job Creation by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Public Investment 1. Some Background of the Estimated Model Ordinary labor demand function (here, labor demand means the labor demand in the environmental sector of each environmental industry) is derived from the profit maximization condition of firms. We adopt the panel data technique. Generally, we follow the widely accepted estimation methods;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 with heteroskedasticity, panel generalized least square with autocorrelation, random effect model, and random effect model with autocorrelation. 2. Job Creation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On the average, each industry is estimated at the elasticity of sales on labor demand as from 0.193 to 0.259. So, when we define 0.193 as minimum elasticity estimator and 0.259 as maximum value for that, it means that at one percent change of sales on the average level, it gives 0.193 percent to 0.259 percent increase of labor demand in each environmental industry. The following Table 3 shows the labor demand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with regard to the sales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sector. Table 3. Total Labor Demand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according to One Billion Won Sales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Sector When we compare the result with the direct induced employment coefficient of the overall manufacturing industry presented in the with Input/ Output tables, we can find that the job creation ability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is not that small. 3. Job Creation by the Public Environmental Expenditure and the Renewable Energy 3.1.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Natural Resource Preservation Area We investigate the job creation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first. Kim(2006) suggests the detailed job availability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as follows; Table 4. Job Creation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Based on this scenario we can guess the size of expenditure for the job creation in Table 5 by simple multiplication. Table 5. Expected Annual Government Expenditure for Job Creation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So when we compare the job creation ability between public expenditure in the natural environmental sector with that of the environmental industry sector, the effect of job creation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is very large in view of job creation size. 3.2.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n 2004, Soo-Jin Kim studied the employment effect of solar and wind energy industry in Korea with 1998 Input/Output table. Based on her scenario and calculation we can get the following Table 6. Table 6. Job Creation in Wind and Solar Power Plant (2015) Chapter 4. Policy Implications Environmental policy will be heading toward an integrated approach to pollution management instead of managing each pollutant separately. This change requires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to control the pollution. Given this point of view, it is desirable for government policies to focus on job creation in the environmental sector. Furthermore, the government needs to upgrade the labor quality in the environment-related sectors, and it is timely for the government to consider the ways to enhance the high-skilled labor force. The following Table 7 shows the job creation possibility by spending 1 billion won for the environmental industry, public expenditure for natural resource protection, and power generation of renewable energy (wind and solar). Table 7. Job Creation per One Billion Won Spending This suggests that, in the short run, the best policy to create jobs is related to the policy that enhances private business services and public services industry. But when we consider that a large portion of created jobs from expenditure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is low-skilled workers. In the long run and in view of the size of the market for the industry, the desirable policy is to promote the environmental industry. For example, if the government wants to create jobs by developing the environmental industry, it is appropriate for the policy to focus on the construction and other machinery industry sector. However, if the government wants to directly increase environment-related jobs, then it is effective for the policy to support other sectors. In the case of the renewable energy sector, it has a reasonable job creation ability if the conditions for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are satisfied. But, the development of renewable energy is very restricted in Korea. The last thing that we consider is the change of location of manufacturers or production site of industries according to the stringency of an environmental policy. But it is not easy to indicate the stringency of the environmental policy because of employment loss according to production site change. Chapter 5. Conclusion When we consider that the policy direction has changed to an integrated approach from treating each pollutant separately, so it is time to consider that labor policy in the environmental sector pursues the way to enhance labor quality in the environmental service section. One of best ways to achieve job creation is to support the environmental industry. The environmental industry has a high potential to be a major industry in the future. Because the environmental industry itself is relatively technology or research oriented, it is quite an appropriate place to improve the labor quality. Job creation through public expenditure spending looks more effective than that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support. But when we consider labor quality and job duration, it is useful for the government to solve only the temporary unemployment problem. When we look at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it is also effective to invest in this sector in the view of job creation and labor quality improvement. But when we consider the climate condition and demand for energy in Korea, the job creation effect in this sector is limited. So the government chooses the policy effectively according to the situation which the government is confronted with. Sometimes, some can argue that if money is spent on other sections that can create more jobs, then it is not an efficient way to invest or spend mone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nvironmental sector in the view of job creation. But when we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environment, unpredictable, asymmetry of recover and destruction, the value of environmental protection can be larger than some job creatio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FOREWORD <br>ABSTRACT <br> <br>Chapter 1. Introduction <br> <br> 1. Introduction <br> 2. Literature Review <br> <br>Chapter 2. Job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in Korea <br> <br> 1. Environment-related Jobs in the Overall Industry <br> 2. Job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br> <br>Chapter 3. Job Creation by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Public Investment <br> <br> 1. Some Background of the Estimated Model <br> 2. Job Creation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br> 3. Job Creation by the Public Environmental Expenditure and the Renewable Energy <br> 3.1.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Natural Resource Preservation Area <br> 3.2.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br> <br>Chapter 4. Policy Implications <br> <br>Chapter 5. Conclusion <br> <br>Reference <br> <br>Appendix <br> <br>Abstract in Korea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br>1. Introduction <br>2. Literature Review <br> Chapter 2. Jobs in the Environmental Sector in Korea <br>1. Environment-related Jobs in the Overall Industry <br>2. Jobs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br> Chapter 3. Job Creation by the Environmental Industry and Public Investment <br>1. Some Background of the Estimated Model <br>2. Job Creation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br>3. Job Creation by the Public Environmental <br>Expenditure and the Renewable Energy <br>3.1.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Natural Resource Preservation Area <br>3.2. Job Creation by Public Expenditure in the Renewable Energy Industry <br> Chapter 4. Policy Implications <br> Chapter 5. Conclusion <br> Reference <br> Appendix <br> Abstract in Korean -
dc.format.extent 60 p. -
dc.language 영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Job Creation- Korea (Republic of) -
dc.title 환경정책의 고용 영향 분석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Job creation and environment policy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7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제1장 서 론 1. 서론 한국 경제는 현재 경기침체기를 벗어나고 있으나 실업 문제 등 여러 가지 경제현안에 쌓여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는 환경보호와 경제발전 간에 상충관계(trade-off)가 있다고 쉽게 오해할 여지가 많다. 그러나 2004년 황석준과 강만옥은 그들의 연구를 통해 노동수요와 환경정책 간에 trade-off의 관계 보다는 상호 긍정적인 작용이 있었다는 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이 연구 이후 2년이 지난 지금 환경산업과 환경직무에 대한 새로운 자료가 추가되었고, 따라서 이들 자료를 바탕으로 환경정책과 고용간의 관계에 대한 좀 더 자세한 연구를 진행할 수 있어 본 연구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환경정책과 고용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한편 환경정책은 너무 광범위하여 정의하기가 어렵고 각 환경정책 하나하나가 한 연구의 과제가 되므로 우리는 환경정책을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첫째는 환경산업진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책, 둘째는 자연자원보호를 위한 공공투자에 관련한 지출, 셋째는 신재생에너지산업 분야이다. 이들은 각각 민간, 공공 및 에너지 분야의 대표적인 환경보호 관련 정책이므로 이들의 고용에 관한 효과를 알아보는 것은 전체 고용효과를 가늠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2. 선행연구 여러 문헌에서 이미 검증되었듯이 규제가 생산비용을 올릴 수 있지만 반면에 규제는 환경보호를 위한 강력한 동기를 제공하고 경우에 따라서 산업경쟁력을 강화시켜 고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거나 오히려 고용을 창출하기도 한다. 두 번의 환경정책과 고용에 관련된 OECD 보고서는 고용에 대한 환경정책의 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긍정적인 영향이 있다고 보고하여 고용창출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이 밖에도 많은 실증적인 또는 이론적인 연구들이 노동시장에 있어 환경정책의 고용효과는 적어도 부정적인 영향이 없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 제2장 환경부문의 고용 1. 전 산업의 환경관련 고용 중앙 고용 정보원은 2001년 이후부터 연간 한국고용직업분류표를 작성하여 보고하고 있다. 고용직업분류표를 통해 환경관련 직종을 살펴보면 환경공학엔지니어, 환경/위생 관련 노동자, 환경기기조작원, 환경관련 사무원 및 청소원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이들 직업종사자들은 고용직업분류표의 2.4%에 달하고 있으며 이들 중 10% 는 숙련기술노동자들이고 90%는 비숙련단순노동자들이다. 이러한 점은 환경관련고용시장에 있어 비숙련단순노동자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어 환경고용시장에서의 노동자들에 대한 질적 전환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아래의 표 1은 이들 노동자들의 분포를 각 분야별로 살펴본 것이다. 표 1 Distribution of Worker Skill by Category (2003) 이 표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듯이 정부가 환경분야 노동자들의 기술구조를 증진시키려 한다면 단순한 고용확대보다도 환경기술의 발전과 환경우호적인 산업구조로의 전환 등에 정부지출을 증대시킬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2. 환경산업의 고용 환경산업에 대한 통계는 환경부가 2년 주기로 수집하며 발표하고 있다. 2004년 환경산업통계를 보면 환경산업 종사기업의 15% 는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고 5%의 환경산업에 속하는 기업은 건설업, 나머지 80%는 서비스 분야에 종사하고 있다. 환경산업의 매출액은 2004년도에 21조에 달하고 있으며 총 매출액의 40%는 제조업분야에서 17%는 건설업 그리고 43%는 서비스 분야에서 발생하고 있다. 환경산업 종사자의 분포는 아래의 표 2와 같다. 표 2 Worker Distribution in the Environmental Industry 제3장 환경산업 및 공공투자에 의한 고용창출 1. 추정모형의 이론적 배경 일반적인 노동수요 함수( 본 연구에서는 노동수요라 함은 환경산업에서 환경부문에 종사하는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의미한다.)는 기업의 이윤극대화 조건에서 도출된다. 우리는 패널분석방식을 통해 환경산업의 환경부문종사자에 대한 노동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주된 분석기법으로 각 오차항에 이분산성과 자기상관을 고려한 패널 일반회귀분석방법과 임의효과 모형 등을 이용하여 노동수요함수를 추정하였다. 2. 환경산업의 고용창출 먼저 환경산업부문의 환경부문종사자에 대한 노동수요를 추정한 결과 환경부문의 매출액증가에 대한 노동수요의 탄력도는 최저 0.139에서 최대 0.259로 추정되었고 이는 환경부문 매출액이 평균수준에서 1% 증가할 경우 환경부문 종사자에 대한 노동수요가 평균을 기준으로 0.193~0.259%로 증가함을 의미한다. 아래의 표 3은 이들 추정결과를 바탕으로 환경부문의 매출액이 십억원 증가할 때 각 탄력도에 따라 환경산업의 고용자에 대한 수요가 얼마나 증가할 것인가를 계산한 결과이다. 표 3 Total Labor Demand Increase in Environmental Industryaccording to One Billion Won Sales Increase in the Environmental Sector 우리가 위에서 계산된 결과를 2000년 산업연관분석표의 산업별 고용유발계수와 비교해 보면 2000년 제조업의 전반적인 고용유발계수가 십억원당 4.9명임을 볼 때 (서비스업의 경우에는 18.2명) 환경산업의 고용창출능력이 적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3. 공공부문의 환경지출 및 신재생에너지 부문에 의한 고용창출 3.1. 자연자원 보존을 위한 공공지출에 의한 고용창출 아래의 표는 김재현(2006)에 의해 제시된 자연자원분야에 대한 공공부문의 고용창출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여 본 것이다. 주로 크게 이들 직종은 에코-가이드, 자연자원 감시 및 복원관련직무, 자연자원의 친환경적상품개발 등과 관련된 직종에 대한 고용창출 가능 인원이다. 표 4 Job Creation 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이러한 표 4의 시나리오에 맞춰 고용을 창출할 경우 정부가 지출해야하는 환경관련 정부지출액을 표 5와 같이 계산하여 보았다. 표 5 Expected Annual Government Expenditure for Job Creationin the Natural Resource Sector 표 5에 따르면 예를 들어 2012년에 683억원을 지출하여 8130명의 고용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환경산업의 고용창출 능력과 비교하여 보면 정부의 공공지출은 고용창출능력이 크다고 하겠다. 그러나 고용의 질과 안정성 등을 고려해 볼 때 공공지출을 통한 고용창출능력은 다소 한계가 있어 이 점을 고려하여 정책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3.2. 신재생에너지산업에 대한 공공지출에 의한 고용창출 2004년 김수진은 1998년 산업연관표를 이용하여 한국에서 태양광과 풍력에너지 발전에 따른 고용효과를 연구하였다. 김수진의 시나리오에 기초하여 2015년 태양광과 풍력발전에 따른 설치비용 및 전략생산비용과 고용창출인원을 표 6에서 보여주고 있다. 표 6 Job Creation in Wind and Solar Power Plant (2015) 제4장 정책적 시사점 환경정책은 현행의 개별 환경오염매체에 대한 관리에서 통합적인 오염관리방식으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정책의 변화는 통합오염매체를 관리하기 위한 환경기술의 발전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환경보호와 지속적인 고용창출을 위한 정부정책은 직접적인 환경분야에서의 고용창출을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더욱이 나아가 환경관련분야에서의 고용자들의 능력과 질을 높일 필요가 있고 따라서 정부에서는 상위환경기술노동자들을 확장하기 위한 방법을 고려할 시점이 되었다. 아래의 표 7은 각각 환경산업, 자연자원에 대한 정부의 공공지출 그리고 신재생에너지(태양광과 풍력)발전을 위해 정부가 재정을 지출할 경우 단위 지출액 (십억원) 당 고용창출 인원수를 계산 또는 추정한 것이다. 표 7 Job Creation per One Billion Won Spending 이 계산 결과에 따르면 단기적으로는 고용창출에 효과적인 정책은 민간 또는 공공부문의 서비스와 관련된 고용창출을 유도하는 정책이 된다. 그러나 우리가 공공지출에 따라 창출된 고용의 많은 부문이 비숙련단순노동자로 구성되어 있음을 상기할 때 장기적으로는 또한 시장상황을 비추어 보면 환경산업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이 보다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자면 정부가 환경산업을 통해 전반적인 산업의 고용을 증대시키기를 원한다면 건설부문과 기계산업분야의 환경산업을 지원할 경우 전반적인 산업에 대한 효과적인 고용창출을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환경과 관련된 직접적인 고용창출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환경산업의 다른 부문에 대한 투자를 늘리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경우, 이 분야에서의 고용창출능력은 신재생에너지의 발전여건이 성숙되어지면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아직 신재생에너지 분야에 대한 발전이 초기 단계이고 여러 기후 및 기술관련 조건 상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제약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환경정책의 강화에 따른 기업의 해외이전을 생각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환경정책강화가 기업이전의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하기는 쉽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환경적인 고려는 기업 경영의사결정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음을 고려할 때 이를 통한 고용감소는 적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다. 제5장 결 론 앞으로의 환경정책이 통합적인 환경정책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되므로 환경 분야에 있어서의 고용정책은 환경서비스분야의 환경관련 노동자의 기술 및 전반적인 수준을 향상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한 가장 좋은 방법은 환경산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전반적으로 환경산업은 미래에도 주요 산업이 될 여지가 많고 환경산업은 상대적으로 기술과 연구 관련분야에 집중되어 있어 상위 기술 노동자에 대한 수요를 증대시킬 여지가 크기 때문이다. 공공지출을 통한 고용창출은 환경산업지원에 비해 규모면에서는 효과적인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종사자의 기술수준과 직업의 안정성 등을 고려하면 공공지출을 통한 고용창출은 단기적인 실업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으로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는 고용창출 및 노동자의 기술수준 향상 측면에서는 효과적인 정책이다. 그러나 우리가 우리나라의 기술수준이나 에너지 수요구조를 고려한다면 신재생에너지 분야를 통한 고용창출은 효과가 제한적일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정부가 처한 상황에 맞게 정책을 효과적으로 추진해야한다. 이 때 한편으로는 만약 다른 산업에 투자가 이루어진다면 더 많은 고용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에 부딪히게 된다. 그러나 우리가 환경의 특수적인 성격, 즉, 예측불가능성, 파괴는 쉬운데 비해 복원은 어려운 비대칭성 등을 고려하면 단지 규모면에서 고용을 많이 창출한다는 점에 기초하여 정책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는 없다. 따라서 환경의 가치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무시되어져 환경관련 산업을 통한 고용창출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것은 정책의 선택기준으로 바람직하지 않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wa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Uk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Hwa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eok-Joon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Cho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angyul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