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피해 추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채여라 -
dc.contributor.other 배수영 -
dc.contributor.other 김정은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0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06Z -
dc.date.issued 20061230 -
dc.identifier A 환1185 2006 RE-09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248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09_Estimating_Climate_Change_Damage_Using_PAGE_model_채여라.pdf -
dc.description.abstract It is vital to estimate potential impacts to establish effective policy measures to deal with climate change. The challeng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ool to the decision makers to estimate the implications of CO2 emissions over a range of policy options and provide a concise overview of the uncertainties involved. To explore damage costs of various emission scenarios, this study uses PAGE model. This study aims to estimate potential climate change damage costs in Korea. Based on avaiable studies, it could be said with caution that Korea seems to be slightly more sensitive to climate change than EU and USA. To see potential impacts of climate change over uncertain future, this study estimated climate change impacts for three scenarios, A2, B1, and Kyoto scenarios. If no action has been taken, climate change damage cost in Korea could be $million 12,928 ~ 57,900. Cumulative NPV of climate change impacts from 1990 to 2100 would be between $million 143,226 ~ 921,701 depending on emission scenarios. However, this result should be interpreted with extra caution as it draws damage function based on only a few studies available. Results show that an adaptation policy could decrease the degree of climate change impacts significantly. If adaptation policy were implemented, climate change impacts would be decreased by 11,355 million dollars in Korea in 2100. Uncertainty analysis shows that confidence of climate change damage estimation is very low. IPCC(2001) also mentioned sensitivity analysis reveals that climate sensitivity, Korean regional weight factor, global warming half-life has largest impact in estimating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Further research on this areas would enhance robustness of the resul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br> <br> 1. Background and objective <br> <br> 2. Methodology framework <br> <br> 2.1 Methodology overview <br> 2.2 The models <br> 2.3 Uncertainty analysis <br> <br>Chapter 2. Climate change in Korea <br> <br> 1. Climate change <br> <br> 1.1 The Observed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br> <br> 1.1.1 Temperature <br> 1.1.2 Precipitation <br> 1.1.3 Extreme weather events <br> <br> 1.2 Projected changes in Climate System <br> <br> 1.2.1 Temperature <br> 1.2.2 Precipitation <br> 1.2.3 Extreme Events <br> 1.2.4 Sea level <br> <br> 2. Korean Climate condition <br> <br> 2.1 Temperature <br> 2.2 Change of Season <br> 2.3 Change of precipitation <br> 2.4 Long term trends of main climatic elements <br> 2.5 Prospect and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br> 2.5.1 Long term trend prediction of Korea's climate by A2 scenario <br> <br>Chapter 3.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 <br> 1. Climate change impacts <br> <br> 1.1 Agriculture <br> 1.2 Water resource <br> 1.3 Human health <br> 1.4 Energy <br> 1.5 Forestry <br> 1.6 Sea level rise <br> <br> 2.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br> <br> 2.1 Agriculture <br> 2.2 Water Resource <br> 2.3 Human Health <br> 2.4 Energy <br> 2.5 Forestry <br> 2.6 Sea level rise <br> <br> 3.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 <br> 3.1 Climate change impacts by sector <br> 3.2 Aggregation of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br> 3.3 Relative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in Korea <br> 3.4 Economic damage function of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br> <br>Chapter 4. Model & Scenario <br> <br> 1. PAGE model <br> <br> 1.1 The PAGE2002 model <br> <br> 1.2 Parameter values in PAGE2002 <br> 1.2.1. Climate parameters <br> 1.2.2 Impact parameters <br> <br> 1.3 Climate Results from PAGE2002 compared to the IPCC <br> <br> 2. Scenario <br> 2.1 Assumption <br> 2.2 Environmental Policies <br> <br> 3. Emission scenarios for PAGE modeling <br> <br>Chapter 5.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 <br> 1. Economic impacts depending on scenarios <br> <br> 1.1 A2 scenario <br> 1.2 B1 scenario <br> 1.3 Kyoto scenario <br> 1.4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br> <br> 2. Climate change impacts depending on adaptation policy <br> <br> 3. Uncertainty analysis <br> <br>Chapter 6.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 <br> <br>References <br> <br>Appendix 1: PAGE2002 Equations <br>Appendix 2: Summary of Stern review <br> <br>국문요약 (Abstract in Korean)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Chapter 1. Introduction <br>1. Background and objective <br>2. Methodology framework <br>2.1 Methodology overview <br>2.2 The models <br>2.3 Uncertainty analysis <br> Chapter 2. Climate change in Korea <br>1. Climate change <br>1.1 The Observed Changes in the Climate system <br>1.1.1 Temperature <br>1.1.2 Precipitation <br>1.1.3 Extreme weather events <br>1.2 Projected changes in Climate System <br>1.2.1 Temperature <br>1.2.2 Precipitation <br>1.2.3 Extreme Events <br>1.2.4 Sea level <br>2. Korean Climate condition <br>2.1 Temperature <br>2.2 Change of Season <br>2.3 Change of precipitation <br>2.4 Long term trends of main climatic elements <br>2.5 Prospect and prediction of climate change <br>2.5.1 Long term trend prediction of Korea’s climate by A2 scenario <br> <br>Chapter 3.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1. Climate change impacts <br>1.1 Agriculture <br>1.2 Water resource <br>1.3 Human health <br>1.4 Energy <br>1.5 Forestry <br>1.6 Sea level rise <br>2.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br>2.1 Agriculture <br>2.2 Water Resource <br>2.3 Human Health <br>2.4 Energy <br>2.5 Forestry <br>2.6 Sea level rise <br>3.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3.1 Climate change impacts by sector <br>3.2 Aggregation of economic damage of climate change <br>3.3 Relative sensitivity to climate change in Korea <br>3.4 Economic damage function of climate change damage in Korea <br> Chapter 4. Model & Scenario <br>1. PAGE model <br>1.1 The PAGE2002 model <br>1.2 Parameter values in PAGE2002 <br>1.2.1. Climate parameters <br>1.2.2 Impact parameters <br>1.3 Climate Results from PAGE2002 compared to the IPCC <br> <br>2. Scenario <br>2.1 Assumption <br>2.2 Environmental Policies <br>3. Emission scenarios for PAGE modeling <br> Chapter 5. Economic impacts of climate change in Korea <br>1. Economic impacts depending on scenarios <br>1.1 A2 scenario <br>1.2 B1 scenario <br>1.3 Kyoto scenario <br>1.4 Climate change impacts in Korea <br>2. Climate change impacts depending on adaptation policy <br>3. Uncertainty analysis 140 <br> Chapter 6. Conclusion and policy implication <br> References <br> Appendix 1: PAGE2002 Equations <br> Appendix 2: Summary of Stern review <br> 국문요약 (Abstract in Korean) -
dc.format.extent 182 p. -
dc.language 영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Climatic change -
dc.title PAGE 모델을 이용한 기후변화의 피해 추정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Estimating climate change damage using PAGE model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6-09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기후변화는 오늘날 가장 심각한 환경문제의 하나로 이에 따른 영향이 우리 사회 전반에 걸쳐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효과적인 정책 수립을 위해서는 기후변화 영향을 파악하고, 이에 따른 피해를 산정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정책 입안가들에게 온실가스 배출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산정하기 위한 도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여러 온실가스 배출 시나리오의 피해 비용을 계산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PAGE (Policy Analysis of Greenhouse Effect) 모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목표는 여러 배출 시나리오에 따른 한국의 기후변화 피해비용을 산정하는 데 있다. 기후변화는 농업, 산림, 건강, 수자원, 산업 등 여러 분야에 영향을 미치며 이에 따른 피해는 각 분야별, 지역별로 상이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각 분야별 피해를 추정하기 위해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러나 현재까지 한국에서는 소수의 연구만이 수행되었기 때문에 분야별 정량적인 피해 함수의 추정이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나, 해외 연구와 국내 연구를 종합해 볼 때 한국의 기후변화에 대한 민감도는 대략 유럽과 북미에 비해 약간 더 민감하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소수의 연구에 기초한 의견이므로 앞으로 각 분야별로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정확한 피해 함수의 추정이 가능할 것이다. 온실가스 배출량, 이산화황 배출량, 적응정책의 정도, 경제 성장, 인구 성장 등 많은 인자들이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PAGE 모델을 이용해 미래의 여러 상황에 따른 기후변화의 피해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A2, B1, Kyoto 세가지 시나리오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만일 전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해 아무런 대책도 실행하지 않는다면 2100년 한국은 약 3도 정도의 온도상승이 예측되며, 이로 인해 12조에서 58조 정도의 피해가 발생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1990년에서 2100년까지 기후변화로 인한 누적 피해비용은 약 143조에서 921조에 이를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이는 소수의 피해함수에 대한 연구결과만을 반영해 산정한 결과로 상당한 불확실성을 내재하며 분야별로 더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야 높은 신뢰도를 가진 피해비용을 산정할 수 있을 것이다. IPCC도 3차 보고서에서 현재의 기후변화의 영향과 이에 따른 경제적 피해에 관한 이해는 불완전하며 신뢰도 역시 낮다고 언급하고 있다. 표. 2100년 한국의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비용의 현재값 (백만 $) 이러한 연구결과는 한국의 실정에 맞는 피해함수 개발의 필요성을 보여주고 있다.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기후변화의 피해비용에 관한 불확실성은 매우 크며, 피해비용은 어떠한 함수를 적용하느냐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는다. 적응정책의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적응정책 실시여부에따른 기후변화 피해비용을 산정하였다. 본 연구의 모델링 결과에 따르면 적응정책은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을 상당부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정책이 실시된다면, 2100년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를 약 11조 정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적응정책의 중요성을 보여주며, 적응정책이 온실가스 감축 대책과 비견할만한 중요한 기후변화 영향 완화 정책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의 기후변화 피해비용을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분야의 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각 분야별 기후변화 피해함수의 개발이 시급하다. 분야별 정량적인 피해함수의 개발은 기후변화의 피해비용을 추정하는데 있어 필수적인 것으로 농업, 산림, 수자원, 산업, 건강 등 각 분야에서 한국의 실정을 반영한 피해함수 도출은 향후 분야별 취약성 평가와 대응 정책 마련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둘째, 적응정책의 효과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 결과가 보여주듯이 적응정책은 온실가스 감축과 비견할만한 기후변화 영향 완화 효과가 있다. 어떠한 적응 정책이 가장 비용 효율적이며 어떠한 분야가 가장 우선 순위가 있는가에 관한 개별 적응 정책의 효과와 비용에 대한 과학적 경제적인 분석이 요구된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a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Yeo-Ra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Bae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Soo Young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Kim -
dc.contributor.otheralternativename Jeong Eu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