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환경적 고찰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선효성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3Z -
dc.date.issued 200707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7-01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0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환경적 고찰.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Environmental consideration on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Because many people suffer physical and mental damage from the noise of the traffic facilities including road, rail, airport, the advanced countries have conducted the researches of predicting and solving the impact of the human health exposed to traffic nois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fundamental plans which can assess the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on the ba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prediction results about the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The domestic and foreign exposure-response expressions including the noise units and the health impact indicators of annoyance, sleep disturbance, and heart disease(%HA, %HSD, etc.) are compared, and it is found that the domestic people show the more sensitive response about traffic noise. Based on the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and case study about the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the fundamental plans to assess the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cover the preparation of objective assessment standards through the improvement of exposure-response models,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reduction measures which can advance the quality of traffic noise environmen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br>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 2. 연구목표 및 내용 <br> <br>제2장 교통소음에 의한 건강영향 <br> <br> 1. 심리적인 영향 <br> 2. 청취방해 <br> 3. 수면방해 <br> 4. 생활 및 활동방해 <br> 5. 신체적 영향 <br> <br>제3장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방법 <br> <br> 1. 성가심(annoyance) <br> 가. 국외의 성가심 평가방법 <br> 나. 국내의 성가심 평가방법 <br> <br> 2. 수면방해(sleep disturbance) <br> 가. 국외의 수면방해 평가방법 <br> 나. 국내의 수면방해 평가방법 <br> <br> 3. 심장혈관의 위험(cardiovascular risk) <br> <br>제4장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적용방안 <br> <br> 1. 국내외 건강영향평가의 현황 <br> 2.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예측모델 개선 <br> 3.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기준 마련 <br> 4.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저감대책 수립 <br> <br>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br> <br> 1. 결론 <br> <br> 2. 향후 연구방향 <br> 가.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예측 모델 개선 <br> 나.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기준 마련 <br> 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저감대책 수립 <br> <br>참고문헌 <br> <br>부록: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Schiphol 공항의 건강영향평가(1994) <br> <br>Abstract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2. 연구목표 및 내용 <br>가. 연구목표 <br>나. 연구내용 <br> <br>제2장 교통소음에 의한 건강영향 <br>1. 심리적인 영향 <br>2. 청취방해 <br>3. 수면방해 <br>4. 생활 및 활동방해 <br>5. 신체적 영향 <br> <br>제3장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방법 <br>1. 성가심(annoyance) <br>가. 국외의 성가심(annoyance) 평가방법 <br>나. 국내의 성가심(annoyance) 평가방법 <br>2. 수면방해(sleep disturbance) <br>가. 국외의 수면방해(sleep disturbance) 평가방법 <br>나. 국내의 수면방해(sleep disturbance) 평가방법 <br>3. 심장혈관의 위험(cardiovascular risk) <br> <br>제4장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적용방안 <br>1. 국내외 건강영향평가의 현황 <br>2.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예측모델 개선 <br>3.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기준 마련 <br>4.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저감대책 수립 <br> <br>제5장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br>1. 결 론 <br>2. 향후 연구방향 <br>가.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예측모델 개선 <br>나.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평가기준 마련 <br>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 저감대책 수립 <br> <br>참고 문헌 <br>부록 네덜란드 암스테르담 Schiphol 공항의 건강영향평가(1994) <br> <br>Abstract -
dc.format.extent 59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Traffic noise -
dc.title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환경적 고찰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Environmental consideration on health impact of traffic noise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 -
dc.title.partnumber 2007-01 -
dc.description.keyword 위해성관리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도로, 철도, 공항을 포함하는 교통시설에 의한 교통소음으로 인하여 많은 사람들이 신체적 및 정신적인 피해를 받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의 경우에 교통소음에 노출되어진 인체 건강의 위험성을 인지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예방적인 차원의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국내외 예측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교통소음에 의한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정도를 파악하고자 국내외적으로 가장 많이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는 교통소음에 의한 성가심, 수면방해, 심장질환발병에 대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외의 소음단위와 건강영향지표(%HA, %HSD 등)에 대한 노출-반응 예측식을 비교하였으며 우리나라 사람들이 교통소음에 대해 더 민감한 반응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통소음의 건강영향에 대한 연구결과 및 국외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통소음의 건강위해성을 평가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는데 국내의 교통소음 건강영향 예측모델의 개선을 통한 객관적인 평가기준의 마련과 아울러 교통소음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정도나 소음환경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저감대책의 수립이 필요하다. 이러한 발전방안을 토대로 하여 교통환경에 대한 개선된 정책 및 관리 등과 같은 선진국형의 종합적인 환경평가가 이루어지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u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yosung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