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Ⅲ 부록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한화진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3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3Z -
dc.date.issued 20071228 -
dc.identifier A 환1185 2007 RE-01 sup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08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 론 <br>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br>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br> 가. 주요 연구내용 <br> 나. 연구 추진체계 및 방법 <br>3. 3차년도 보고서 구성 체계 <br> <br>제2장 국내외 기후변화 적응 논의 동향 및 해외 적응전략 수립 사례 <br> 1. 국제사회에서의 기후변화 적응 논의 동향 <br> 가. 기후변화협약에서의 적응 관련 조항 <br> 나. 기후변화당사국총회에서의 논의 과정 <br> 다. 국제적 기금 확대를 통한 적응 지원 강화 <br> 2.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적응에 대한 대응실태 <br> 가. 기후변화 국가보고서 체계상 <br> 나. 기후변화협약 대응 정부종합대책(1차, 2차, 3차) <br> 다. 기후변화 대응 종합대책(제4차, 2008-2012 예정) <br> 라. 지방자치단체의 기후변화 적응을 위한 대응 <br> 3. 개발도상국의 취약성 평가, 적응 사례(UNEP 협동연구 결과) <br> 가. 중국 <br> 나. 인도 <br> 다. 브라질 <br> 라. 남아프리카공화국 <br> 마. 방글라데시 <br> 4. 해외의 국가적응전략 구축 사례 <br> 가. 영국 <br> 나. 호주 <br> 다. 미국 <br> 라. 방글라데시 <br> <br>제3장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현상과 기후변화로 인한 영향·취약성 <br> 1.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기후변화 현상 <br> 2. 우리나라에서 관측되는 기후변화의 영향 및 취약성 <br> <br>제4장 우리나라에서의 기후변화 예측과 부문별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평가 <br> 1. 기후변화 예측 및 영향평가 적용 단계 <br> 가. 기후변화 예측 시나리오 설정 <br> 나. 기후변화 예측 결과 <br> 다. 부문별 영향 및 취약성 평가 <br> 2. 농업생태계 부문 <br> 가. 영향 및 취약성 평가에 대한 기존 국내 연구 사례 <br> 나.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예측 <br> 다. 농업생태 부문 기후변화 영향 및 취약성 예측의 정책적 시사점 <br> 3. 산림생태계 부문 <br> 가. 영향 및 취약 -
dc.format.extent 201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Climatic changes -
dc.title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시스템 구축 Ⅲ 부록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Climate Change Impact Assessment and Development of Adaptation Strategies in Korea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7-01 부록 -
dc.description.keyword 대기환경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an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Wha-Jin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