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연구 Ⅰ

Title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연구 Ⅰ
Authors
이정호
Co-Author
윤정호; 문유리; 김훈미; 황상일
Issue Date
2007-12-28
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Series/Report No.
연구보고서 : 2007-13
Page
172 p.
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22
Language
한국어
Keywords
Water resources development- Korea (Republic of)
Abstract
Abstract An Integrated Management Plan for Groundwater Resources in the Coastal areas of Korea (I) As the growth of industry and population has been concentrated in coastal areas that have good access to ports, groundwater development has been accelerated in order to meet the increased demand for water demand. Because of this, the groundwater level has declined and the intrusion of saltwater has expanded which poses a threat to the public water supply and deteriorates the quality of groundwater. Consequently, public concern has risen regarding saltwater intrusion and proper management has been requested.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public complaints have accelerated as their water supply system has been contaminated and closed by saltwater intrusion. In addition, a variety of development projects such as Enterprise Cities, Saemangeum Tideland Reclamation, and National Industrial Estates, further threaten the areas groundwater. This study aimed (1) to comprehend the current situation of groundwater development and its management in the southwestern coastal area of Korea, (2) to investigate the state-of-the-art techniques and the case studies from the U.S. and Europe and (3) to suggest policy recommendations. For the groundwater management of coastal areas, there are diverse efforts by governmental agencies and research institutes being carried out. A ’Saltwater Intrusion Monitoring Network System’ has been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Agriculture and Forestry, and local governments have performed basic surveys of groundwater and prepared management plans based on guidelines from the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While remarkable outcomes have been achieved by the various research groups, their efforts have resulted in incompatible policies and repeated investments. On the other hand, the management systems of the U.S and Europe were developed by integrating the available techniques for prevention and remediation, the current status of saltwater intrusion, and socio-economic situations. As each investigation and policy implementation was supervised by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their outcomes contributed to ensuring the supply and quality of groundwater. A similar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in Korea in order to provide consistent policies, increase the efficiency of collected data and information, and encourage relevant researches.

Table Of Contents

- 차 례 -
제1장·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표, 내용 및 범위
제2장·해안지역 지하수 유동 특성
1. 해수침투의 이론적 배경
가. 염수의 발생원인
나. Ghyben-Herzberg(G-H) 이론
다. 해안지역에서 양수에 의한 해수체 경계면의 상승추 형성
라. 국내 해수침투 유형
2. 지하수 해안 유출량 평가기법
가. 복잡한 해안선에 대한 해안 유출량 산정
나. 지하수 해안 유출량 평가기법의 적용
다. 해안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
라. 해안지역의 지하수 개발가능량-적용사례
제3장·국내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 현황
1. 법·제도 현황
가. 지하수보전구역의 지정
나. 지하수 관측망의 운영
2. 해수침투 관측망
가. 배경 및 필요성
나. 관측망 설치 목적 및 효과
다. 해수침투 관측망 구성 및 운영 과정
라. 해수침투 관측망 위치선정 기준
마. 해수침투 분류 기준
바. 해수침투 관측망 설치 내역 및 운영 결과
3. 국가 지하수 관측망
가. 국가 지하수 관측망 관리 체계
나. 지하수 관측망의 종류
다. 국가 지하수 관측망 설치 현황
라. 국가 지하수 관측망 운영 관리
4. 지하수 관련 DB구축 현황
5. 전국 해안지역 지하수 이용량 관측 결과
6.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계획 및 기초조사 추진 현황
7. 국내 서남해안지역 개발사업 계획
8. 국내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현황 문제점 분석
가. 현황 자료 및 예산의 과부족
나. 지자체 단위의 지하수 관리
다. 자료의 다양성 부족
제4장·국·내외 사례 조사
1. 국내 여건과 유사한 사례지역 선정
2.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방안
가. 미국 동부의 조지아 연안
나. 유럽의 북해연안
3. 국내 연구사례 : 모델링(전라북도 부안)
가. 수치모델
나. 연구지역
다. 수치모델링
라. 결론
4. 국내 연구사례 : Pilot 분석사례 (새만금 지역)
가. 분석자료의 생성
나. Pilot Site 분석 결과 및 문제점
5. 시사점
제5장·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 구축 방안
1. ‘해안 지하수’에 대한 시각 및 인식 전환
2. 해안지역 지하수 수자원 통합관리방안 수립을 위한 정책방향
제6장·결론 및 제언
1. 국내 해안지역 지하수의 유출 및 개발 가능성
2. 해안지역 지하수 관리 현황 및 예측
3. 해안지역 관리의 문제점
4. 해외사례를 통한 시사점
5. 국내사례를 통한 연구의 한계 및 해결책 제안
6. 향후 연구 계획
참고 문헌
Abstract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