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이상범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6Z -
dc.date.issued 20071228 -
dc.identifier A 환1185 2007 RE-17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26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RE-17_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 연구_이상범.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Urbanization and other developments encroach natural green space and fragment ecological habitat significantly. As the economic development requires a land to build house and factory, it is inevitable to clear-cut forest and covert cropland into paved residential area or shopping mall. Because the excessive development itself threatens our own existence, it is required to control the development. To maintain a balance between development and conservation, many countries already adopt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EIA) and start to adopt Prior Environmental Review System (PERS). While EIA is focused on the environmental impact at the individual development project level, PERS is focused on minimizing environmental problem and conserving critical green space at the policy and plan level. Unlike a site-specific conservation at a local scale, the problem of habitat fragmentation aroused from the massive development plan like new urban development should be dealt at a large regional scale.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is especially appropriate to deal with the problems of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at regional/landscape scales. From 1980’s,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various tools to measure landscape com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landscape patches. Among many landscape ecological concepts, landscape connectivity is an important concept in ecosystem management to conserve and enhance biodiversity, but it is not easy to define what the landscape connectivity is. In addition to the difficulty to define the landscape connectivity, as landscape ecology itself is relatively new research field in ecology, the concepts and tools of landscape ecology are not applied effectively in PERS/EIA to minimize the effect of land development on ecosystem. Despite of the limited applicability, the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in PERS/EIA would be the most effective way to minimize the negative effect of land development on ecosystem at any scales. For a better landscape ecological evaluation in PERS/EIA, this study reviews the previous studies and defines the concept of landscape connectivity. The case study is the broad-scale forest protection plan of the new urban development and analyzes various pre-existing GIS data to grade forest patches based on various landscape ecological criteria and classifies the patches into three conservation classes: 1) absolutely protected forest, 2) relatively protected forest, and 3) buffering forest. By differentiating the classifying criteria, three different forest conservation plans are suggested and then analyzed the landscape ecological differences, especially landscape connectivity, of the alternatives of the forest conservation plan. The landscape ecological connectivity of forest patches is analyzed by using FRAGSTATS and USGS Digital Vision’s Connectivity and Fragmentation AML scripts.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 clear differences among three alternatives in landscape connectivity and fragmentation and the problem of FRAGSTATS in comparing the alternatives with different patch numbers. This study suggests the feasibility of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ecological methodology to evaluate the alternatives of the spatial land use planning for PERS/EIA with very limited pre-existing GIS data. With more accurate field data, the methodology and result can be further defined and assessed accurately. Although the result of this study is limited and less applicable in practice at this point, this study clearly shows the applicability of the landscape ecological concepts in PERS/EIA evaluation process. Further studies should be followed to consider more landscape ecological indices, the connectivity between forest patches and watershed streamlines, and the importance of individual forest patch in regional landscape connectivity.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서론 <br>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가. 연구의 필요성 <br> 나. 연구의 목적 <br> 2. 연구 범위 <br> <br>제2장 생태축 분석을 위한 기존 사례연구 <br> 1. 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개념 <br> 가. 경관변화에 따른 서식지 파괴 <br> 나. 인간의 간섭에 따른 서식지 훼손 <br> 다. 개발에 의한 서식지 고립과 파편화 <br> 라. 파편화에 따른 가장자리 효과 <br> 마. 식생패치 간 경관연결성 <br> 2. 생태계 보전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원칙 <br> 가. 개별군집단위 (Patch Scale) <br> 나. 경관단위 (Landscape Scale) <br> 다. 지역단위 (Regional Scale) <br> 3. 식생패치의 경관연결성 계량화와 생태축 설정 <br> 가. 경관패턴지수의 종류 <br> 나. 경관연결성 분석을 위한 경관패턴지수의 한계 <br> 다. 식생패치 간 경관연결성과 생태축 설정 <br> <br>제3장 식생패치 분석을 통한 생태축 설정 사례 <br> 1. 사례 대상지역의 선정 및 연구자료 <br> 2. 식생패치 등급 분류 및 보전 우선순위 부여 <br> 가. 개별 식생패치 분석을 통한 식생패치 등급 분류 <br> 나. 개별 식생패치의 세 가지 보전등급 산정 <br> 다. 세 가지 대안 도출과 경관연결성 비교 <br> 3. 식생패치 분석에 따른 대안과 생태축 설정 <br> 가. 개별패치 등급 분석결과 <br> 나. 대안 간 패치의 수와 면적 비율의 비교 <br> 다. 대안 간 경관연결성 비교 <br> 라. 선정된 식생보전방안을 토대로 한 생태축 설정 <br> <br>제4장 생태축 분석 및 정책적 적용방안 <br> 1. 식생패치 평가를 통한 생태축 분석방안 <br> 가. 생태친화적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원칙 <br> 나. 경관연결성 분석법에 따른 문제점 <br> 2. 생태축 분석의 정책적 적용방안 <br> 가. 토지이용계획의 대안 비교 <br> 나. 광역생태축 설정 <br> <br>제5장 결론 및 제언 <br> 1. 결론 <br> 2.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 <br> 가. 패치 모양의 경관지수 고려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례 - <br> 제1장 서론 <br>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br> 가. 연구의 필요성 <br> 나. 연구의 목적 <br>2. 연구 범위 <br> 제2장 생태축 분석을 위한 기존 사례연구 <br>1. 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개념 <br> 가. 경관변화에 따른 서식지 파괴 <br> 나. 인간의 간섭에 따른 서식지 훼손 <br> 다. 개발에 의한 서식지 고립과 파편화 <br> 라. 파편화에 따른 가장자리 효과 <br> 마. 식생패치 간 경관연결성 <br>2. 생태계 보전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원칙 <br> 가. 개별군집단위 (Patch Scale) <br> 나. 경관단위 (Landscape Scale) <br> 다. 지역단위 (Regional Scale) <br>3. 식생패치의 경관연결성 계량화와 생태축 설정 <br> 가. 경관패턴지수의 종류 <br> 나. 경관연결성 분석을 위한 경관패턴지수의 한계 <br> 다. 식생패치 간 경관연결성과 생태축 설정 <br> 제3장 식생패치 분석을 통한 생태축 설정 사례 <br>1. 사례 대상지역의 선정 및 연구자료 <br>2. 식생패치 등급 분류 및 보전 우선순위 부여 <br> 가. 개별 식생패치 분석을 통한 식생패치 등급 분류 <br> 나. 개별 식생패치의 세 가지 보전등급 산정 <br> 다. 세 가지 대안 도출과 경관연결성 비교 <br>3. 식생패치 분석에 따른 대안과 생태축 설정 <br> 가. 개별패치 등급 분석결과 <br> 나. 대안 간 패치의 수와 면적 비율의 비교 <br> 다. 대안 간 경관연결성 비교 <br> 라. 선정된 식생보전방안을 토대로 한 생태축 설정 <br> 제4장 생태축 분석 및 정책적 적용방안 <br>1. 식생패치 평가를 통한 생태축 분석방안 <br> 가. 생태친화적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원칙 <br> 나. 경관연결성 분석법에 따른 문제점 <br>2. 생태축 분석의 정책적 적용방안 <br> 가. 토지이용계획의 대안 비교 <br>나. 광역생태축 설정 <br> 제5장 결론 및 제언 <br>1. 결론 <br>2. 향후 연구가 필요한 부분 <br> 가. 패치 모양의 경관지수 고려 <br> 나. 대안 비교에 적용 가능한 추가적인 경관지수 <br> 다. 수계와의 연관성 <br> 라. 패치 간 상호작용적인 연결성 분석 <br> 참고문헌 <br> 부 록 <br>부록 I USGS Digital Vision Connectivity & Fragmentation <br> Abstract -
dc.format.extent 122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Landscape ecology -
dc.title 생태축 분석을 위한 경관생태학적 방법론 연구 -
dc.type 기본연구 -
dc.title.original Landscape ecological methodologies to evaluate landscape connectivity -
dc.title.partname 연구보고서 -
dc.title.partnumber 2007-17 -
dc.description.keyword 정책일반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국문요약 개발사업이 수반하는 환경적 영향을 평가하는 사전환경성검토 (PERS)와 환경영향평가(EIA)는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른 문제를 사전에 평가하고 그 환경적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개발사업에 따른 토지이용변화는 인간의 거주환경에도 피해를 주게 되지만, 동 식물 서식지 잠식으로 인한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게 되어, 종 다양성을 비롯한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 다양한 대안을 제시하여, 각 대안 간 차이점을 계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가장 친환경적인 대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규모 개발계획이나 도시기본계획과 같은 공간계획의 수립은 그 규모 및 영향 범위가 커서 광역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야 하나, 아직까지 PERS/EIA에서 이러한 생태적 영향에 대한 계량적 분석을 통한 평가가 활발하게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거시적인 관점에서 광역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계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경관생태학적 접근이 필요하며, 우선적으로 현재 가용한 자료를 사용하는 방법론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각종 개발사업 및 공간계획 수립 시 사전에 제시된 토지이용계획에 관한 대안들을 경관생태학적 접근법으로 비교 평가하여 광역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은 대안을 선택하기 위한 방법론 연구이다. 경관변화에 의해서 나타나게 되는 경관생태학적 변화는 서식지 파괴와 훼손, 서식지 고립과 파편화, 주변부의 증가에 따른 가장자리 효과, 그리고 서식지 간 연결성의 감소 등이 있다. 이러한 경관변화의 영향은 공간단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며, 이러한 공간단위는 개별군집단위, 경관단위, 그리고 지역단위로 나누어지게 된다. 각 공간단위 별로 고려되어야 할 경관생태학적 원칙들이 있으며, 토지이용대안에 관한 평가를 위한 경관생태학적 분석에서는 이러한 원칙들을 중점적으로 고려하여야 할 것이다. 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경관생태학에서 강조하는 세 가지 중요한 요소는 식생패치의 면적, 패치 간 거리를 비롯한 패치의 분포, 그리고 식생패치의 질이다. 환경지리정보자료는 이러한 세 가지 경관생태학적 요소에 관한 기본적인 자료를 제공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자료의 수집이 없이도 기본적인 경관생태학적 분석이 가능하다. 토지피복도를 사용하여 패치의 면적과 분포를 고려하고, 현존식생도의 보전등급을 고려하여 식생패치의 질적인 측면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세 가지 요소를 고려하여 식생패치의 등급을 산정하고, 식생패치 등급에 따라 보전 우선순위를 분류하여 식생보전계획에 관한 대안을 제시하고, 각 대안이 가지는 연결성의 차이를 계량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가장 양호한 패치 간 연결성을 보이는 대안을 바탕으로 광역생태축을 설정하여 보았다. 사례연구에서 제안된 세 가지 대안은 식생패치 간 연결성에서 차이를 보였으며, 육안에 의한 비교와 같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핵심적인 절대보전녹지를 중심으로 보전계획을 수립하면 최소한의 패치연결성은 확보할 수 있음을 증명하였고, 제시안을 기본으로 한 생태축을 설정하여 공간계획수립에 필요한 보전방향을 제시하였다. 제시된 식생분석결과를 행정구역 별로 분석하면, 광역생태축 보전을 위해 중요한 지역을 파악할 수 있으므로, 대상지역은 개발계획을 위한 토지이용계획 수립 시 광역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보다 면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가 가지는 정책적 중요성은 기존 환경지리정보자료를 활용하여, 사전에 토지이용계획의 대안을 계량적으로 비교 평가하여 최선의 대안을 선택할 수 있는 경관생태학적 방법론이 실제 PERS/EIA에 적용 가능함을 제시한 것이다. 개발사업의 규모와 범위에 따라 적용방식은 차별화될 필요가 있으며, 이론적 근거를 가지는 경관생태학적 특성을 세심하게 선택하여 적합한 경관연결성 분석법을 적용하여야 한다. 향후 수계와의 연관성 그리고 Graph 이론을 이용한 연결성 분석 등이 연구되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개별패치가 가지는 중요성이 보다 정확하게 분석될 수 있을 것이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Lee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Sang bum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Research Report(연구보고서)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