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 조성기법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 정흥락 -
dc.contributor.other 권영한 -
dc.contributor.other 최준규 -
dc.contributor.other 노백호 -
dc.contributor.other 이현우 -
dc.contributor.other 박하늘 -
dc.date.accessioned 2017-07-05T01:35:16Z -
dc.date.available 2017-07-05T01:35:16Z -
dc.date.issued 20071231 -
dc.identifier A 환1185 기초2007-05 -
dc.identifier.uri http://repository.kei.re.kr/handle/2017.oak/19333 -
dc.identifier.uri http://library.kei.re.kr/dmme/img/001/003/001/기초연구07-05_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 조성기법_정흥락.pdf -
dc.description.abstract Abstract Native Plant Community Restoration Based on Phytosociology This study aims to suggest strategies for constructing naturalized parks in heavily populated areas, particularly the design of native plant communities based on phytosociology in broader areas damaged by development projects. In Korea, non-native and exotic species have been planted in parks and small remnant areas that have been fragmented by road construc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These artificial parks are partially in conflict with the original structure and function of native forest ecosystems. To identify naturalized plant communities, we reviewed the concept of ecologically sound vegetation units developed through plant sociology studies and suggest processes and plans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vegetation units. The term 'eco-model forest' introduced here for the first time, refers to a constructed forest consisting of native plant species and original ecosystems. Sapling pots of all seedling mixtures with a variety of tree, sub-tree, and shrub plants were used to construct the eco-model forest. At the germination and plantation stage, we planted more seedling pots in the soil in order to get a high success rate and to assure rapid growth. After planting, we expect the constructed eco-model forests to be similar with natural vegetation communities in about 10 years. The constructed eco-model forests provide wildlife habitats, control extreme weather conditions at a micro-scale, provide clean air and water, prevent soil erosion, flooding, and global warming, and provide recreation opportunities. To construct an eco-model forest, we looked at the actual conditions and identified reference vegetation community in the area. The potential vegetation structure should be estimated in terms of the area's climate and soil conditions, as well as the community's potential plant species composition. The selected plants should be planted with spatial distribution in mind (i.e., direction and distance between seedlings). During the treatment, appropriate soil is accumulated to establish native plant species. The planted area should be maintained and continuously monitored to assure the development of ecologically sound vegetation in damaged areas. This study hopes to suggest ecologically sound and economically efficient ways to construct semi-natural parks in urban areas.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eco-model forest proved to be more successful than the ones used before. Furthermore, the eco-model forest can be applied to large areas, providing the most efficient way to develop ecologically friendly wildlife habitats. So far, aesthetic approaches are dominant in Korea to construct human-made parks in urban areas, but, in this study, the eco-model forest is proposed to develop an ecologically integrated system based on the theory of plant sociology. This study is theoretical, and the construction design, planting processes, and plant species selection have not been assessed in the field. We plan to apply the eco-model forest design obtained using plant sociology to pilot areas and to experiment with different combinations of plant species. Finally, monitoring of the constructed parks is essential to achieve ecological sound parks in urban areas.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제1장 · 서 론 <br>1. 연구의 목적 <br>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3. 연구 내용 <br> <br>제2장 · 생태모델숲의 개념과 기능 <br>1. 생태모델숲의 개념 <br>2. 생태모델숲의 기능 <br> <br>제3장 · 연구 및 조성사례 <br>1. 도시숲 및 생태숲 <br>2. 군락식재 및 생태적 식재기법, 모델식재 <br>3. 함양 상림 <br> <br>제4장 · 환경영향평가 녹지 조성사례 <br>1. 훼손수목의 이식 <br>2. 식재에 의한 녹지 조성 <br>3.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 <br>제5장 · 일본의 환경보전림 <br>1. 환경보전림의 창조와 발전 <br>2. 환경보전림의 기능 <br>3. 환경보전림의 조성과정 <br>4. 환경보전림의 조성사례 <br>제6장 · 식물사회학과 한국의 식생 <br>1. 식물사회학 <br>2. 한국의 식생 <br> <br>제7장 · 생태모델숲의 조성과정 <br>1. 현황조사 <br>2. 잠재자연식생의 추정 <br>3. 식재수종의 선정 <br>4. 배식설계 <br>5. 유묘생산 <br>6. 식재기반조성 <br>7. 식재시기 및 방법 <br>8. 식재 후 관리방안 <br>9. 기술개발방안 <br> <br>제8장 · 기대효과 및 향후 과제 <br> <br>참고 문헌 <br> <br>Abstract <br> <br>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차 례 - <br> 제1장 · 서 론 <br>1. 연구의 목적 <br>2.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br>3. 연구 내용 <br> 제2장 · 생태모델숲의 개념과 기능 <br>1. 생태모델숲의 개념 <br>2. 생태모델숲의 기능 <br> 제3장 · 연구 및 조성사례 <br>1. 도시숲 및 생태숲 <br>2. 군락식재 및 생태적 식재기법, 모델식재 <br>3. 함양 상림 <br> 제4장 · 환경영향평가 녹지 조성사례 <br>1. 훼손수목의 이식 <br>2. 식재에 의한 녹지 조성 <br>3. 문제점 및 개선방안 <br> 제5장 · 일본의 환경보전림 <br>1. 환경보전림의 창조와 발전 <br>2. 환경보전림의 기능 <br>3. 환경보전림의 조성과정 <br>4. 환경보전림의 조성사례 <br>제6장 · 식물사회학과 한국의 식생 <br>1. 식물사회학 <br>2. 한국의 식생 <br> 제7장 · 생태모델숲의 조성과정 <br>1. 현황조사 <br>2. 잠재자연식생의 추정 <br>3. 식재수종의 선정 <br>4. 배식설계 <br>5. 유묘생산 <br>6. 식재기반조성 <br>7. 식재시기 및 방법 <br>8. 식재 후 관리방안 <br>9. 기술개발방안 <br> 제8장 · 기대효과 및 향후 과제 <br> 참고 문헌 <br> Abstract -
dc.format.extent 54 p. -
dc.language 한국어 -
dc.publisher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
dc.subject Plant communities -
dc.title 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 조성기법 -
dc.type 기초연구 -
dc.title.original Native plant community restoration based on phytosociology -
dc.title.partname 기초연구 -
dc.title.partnumber 2007-05 -
dc.description.keyword 자연환경 -
dc.description.bibliographicalintroduction - 요약 - 본 연구는 도심의 녹지공간에 자연림과 유사한 숲을 조성하고,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숲을 보다 현실적으로 복원하기 위하여 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을 조성하는 방안을 소개하였다. 연구를 하게 된 배경은 도시의 공원과 개발사업에 의한 녹지공간의 조성과정에서 입지에 부적절한 수종을 도입하거나 자연림에서 볼 수 있는 숲의 구조와 기능이 무시됨으로써 초래되는 비현실적인 식생복원사업을 개선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연구의 접근방법은 우선 식물사회학적 이론에 의한 생태모델숲의 개념을 정리하였고, 국내외의 사례를 통하여 생태모델숲의 특성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생태모델숲의 조성과정을 간략히 소개하여 실제 적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생태모델숲은 본 연구에서 최초로 도입되는 개념이며, 자연림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정보를 토대로 자연림과 유사하게 조성된 숲을 의미한다. 영어로는 생태를 의미하는 ecology와 model을 합성하여 eco-model forests로 용어를 정의하였다. 생태모델숲은 식재 당시에 포트에 의해 양묘된 개체를 이용한다. 그리고 교목류, 아교목류, 관목류를 동시에 구성하여 밀도를 높임으로써 양호한 활착률과 개체의 빠른 생장을 도모하게 된다. 식재 후에는 자연발달을 유도하여 약 10년이 경과하면 거의 안정된 숲으로 발달하게 됨으로써 자연림과 유사한 생태모델숲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여주게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생태모델숲은 생물서식공간 제공, 미기후 조절 및 대기정화 기능, 방음 기능, 지구온난화 예방 기능, 어메니티 향상 기능, 생태환경 교육기능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생태모델숲 조성과정은 먼저 조성할 예정지역 및 그 일대의 현존식생을 조사하고, 이를 토대로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한다. 잠재자연식생을 추정하는 것은 그 지역의 기후와 토양에 적합한 식생 유형을 파악하는 것이므로 이를 통하여 식재할 수종을 선정하게 된다. 수종을 선정한 다음에는 배식 간격 등의 배식설계를 하여야 하며, 토양기반을 조성하고 식재를 실시하도록 한다. 또한, 식재 후에는 적절한 유지관리방안이 있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생태모델숲은 자연림과 유사한 숲으로서 비용이 적게 들고 고사율도 낮아서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넓은 면적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어 기존의 유사한 기법보다도 훨씬 효율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를 통하여 자연림의 모델에 의한 숲의 조성기법이 제공됨으로써 생물서식공간의 창출과 함께 각종 주택단지나 자연공원 등의 환경생태계획 수립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된다. 생태모델숲의 가장 큰 의미는 저비용으로 단기간에 자연림과 유사한 숲을 복원하는 데 있다. 더욱이 식물사회학적 식생 조성 기술은 국내에서 구체적으로 개발된 바가 없으므로 기존의 조경계획 및 기술에 획기적인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생태모델숲의 식재기술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여 일반 시민들의 참여에 의한 대규모 식재행사가 가능하다. 또한, 개발사업에서도 지역주민들을 식재행사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기업과 지역주민들의 유대 강화도 기대된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생태모델숲의 조성은 국내에서는 아직 이론적인 수준에 그치고 있으므로 향후 실질적인 현장 적용을 통한 시범사업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실험과 모니터링을 하는 등 추진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다.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Choung -
dc.contributor.authoralternativename Heung-Lak -
Appears in Collections:
Reports(보고서) > Working Paper(기초연구)
Files in This Item:

qrcode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